$\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4 no.3, 2006년, pp.196 - 203  

김효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해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로부터 3종의 EPS 생성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Leuconostoc kimchii,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각각 Leuconostoc kimchii GJ2, Leuconostoc citreum C3, Leuconostoc mesenteroides C11로 명명하였다. EPS생성 김치유산균의 장내 정착성 여부 확인 결과 pH 3.0의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와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였으며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며 3종의 EPS생성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이 장내 정착하면서 probiotics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서 분리균주가 EPS를 생성하지 않았을 때의 경우에는 내산성, 인공위액, 인공담즙에서 처리 후 생균수가 $10^{1-2}\;CFU/ml$ 감소현상을 보여 균체의 EPS생성 여부가 probiotics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결정적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Leu. kimchii GJ2의 경우 E. coli, Pseudomonas, Listeria, Micrococcus, Salmonell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속 등의 유해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산 항균물질은 단백질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로부터의 EPS 생성량은 sucrose(5%) 배지에서 각각 21.49 g/l, 16.46 g/l, 22.98 g/l 였으며, 정제 시에도 각각 14.61 g/l, 7.73 g/l, 4.77 g/l로 기존의 EPS 생성 유산균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10배 이상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TLC 및 HPLC를 이용한 EPS 구성 당 확인 결과 3균주 모두 glucose로만 구성된 homopoly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EPS 생성량이 가장 좋은 Leu. kimchii GJ2의 평균 분자량은 360,606 Da이었으며, 나머지 두 균주에 대해서는 생성 EPS 형태와 점도의 차이로 미루어 보아 생성 EPS의 분자구조와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slime-forming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shown to produce viscous exopolysaccharides (EPS) in sucrose media. The isolated strains, GJ2, C3 and C11, were identified as Leuconostoc kimchii, Leuconostoc citre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respectively, by examining th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하였다. 나아가 기능성 소재로 개발이 가능한 EPS를 분리균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EPS가 극한 생존환경에서 자기 방어 물질로서 작용흐]는 것에 착안하여 EPS생성 유산균이 낮은 pH의 위산에서와 소장에 분비된 담즙에서 생존하여 probiotics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여,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중 3종의 EPS생성 유산균주를 선별하고 내산성, 인공위액 및 인공담즙 저항성 시험을 통하여 분리균주의 장내 생존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나아가 기능성 소재로 개발이 가능한 EPS를 분리균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an, D. W and I. S. Maddox. 2003. Exopolysaccharides from lactic acid bacteria: perspectives and challenges. Trends in Biotechnol. 21: 269-274 

  2. Bae, I. H. and J. W. Huh. 2002. Isolation of Lactobacillus ssp. producing exopolysaccharide and optimization of its production. Kor. J. Biotechnol. Bioeng. 17: 169-175 

  3. Baek, Y. J. 1993.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health. Kor. J. Food Nutr. 6: 53-65 

  4. Cerning, J., C. Bouilanne, M. J. Desmazeaud, and M. Landon. 1988. Exo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Streptococcus thermophilus. Biotechnol. Lett. 10: 255-260 

  5. Chou, L. S. and B. Weimer. 199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 and bile-tolerant isolates from strain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J. Dairy Sci. 82: 23-31 

  6. Chung, W. B., W. S. Soe, J. Y. Cha, and Y. S. Cho.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 FF-3 for probiotics production from korean dongchimi. Kor. J. Food Preserv. 10: 406-410 

  7. Duboc, P. and B. Mollet. 2001. Applications of exopolysaccharides in the dairy industry. Int. Dairy J. 11: 759-768 

  8. Dubois, M., K. A. Gilles, J. K. Hamilton, P. A. Rebers, and F. Smith.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9. Eom, H. J., D. M. Seo, H. S. Yoon, H. B. Lee, and N. S. Han. 2002. Strain selection of psychrotrophic Leuconostoc mesenteroides producing a highly active dextransucrase from kimchi. Kor. J. Food Sci. Technol. 34: 1085-1090 

  10. Faber, E. J., P. Zoon, J. P. Kamerling, and J. F. G. Vliegenthart. 1998. The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Streptococcus thermophilus Rs and Sts have the same repeating unit but differ in viscosity of their milk cultures. Carbohydr. Res. 310: 269-276 

  11. Jeanes, A., W. C. Haynes, C. A. Williams, J. C. Rankin, E. H. Melvin, M. J. Austin, J. E. Cluskey, B. E. Fisher, H. M. Tsuchiya, and C. E. Rist. 1954.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dextrans from ninety six strains of bacteria. J. Am. Chem. Soc. 76: 5041-5052 

  12. Kang, H. J., S. C. Baick, and J. H. Yu. 2005.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the stirred yogurt manufactured by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Kor. J. Food Sci. Ani. Resour. 25: 84-91 

  13. Kim, B. J., B. H. Min, J. H. Kim, and H. U. Han. 2001. Isolation of dextran-producing Leuconostoc lactis from kimchi. J. Microbiol. 39: 11-16 

  14. Kim, D. J. and S. Y. Lee. 2001. Isol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terobacter sp.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Kor. J. Biotechnol. Bioeng. 16: 370-375 

  15. Kim, S. I., I. C. Kim, and H. C. Chang.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microorganisms and sensitive strain from soil. J. Kor. Soc. Food Sci. Nutr. 28: 526-533 

  16. Kim, S. J. 200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Food Culture 20: 337-340 

  17. Kimmel, S. A., R. F. Roberts, and G. R. Ziegler. 1998. Optim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RR grown in a semidefined medium. Appl. Environ. Microbiol. 64: 659-664 

  18. Kobayashi, Y., K. Tohyama, and T. Terashima. 1974. Studies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II. tolerance of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strain, L. casei PSR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ds. Jpn. J. Microbiol. 29: 691-698 

  19. Lee, S. H. and M. J. No. 1997. Viablility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617-622 

  20. Paik, H. D., M. Y. Jung, H. Y. Jung, W. S. Kim, and K. T. Kim. 2002.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Kor. J. Food Sci. Technol. 34: 73-78 

  21. Park, C. S. and C. H. Lee. 1992. Effect of reaction time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extran formed solution produced by crude dextransucrase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ikha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316-323 

  22. Park, J. G, S. Y. Yun, S. Oh, J. G. Shin, and Y. J. Baek. 2003.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Y1909 isolated from korean breast-fed infant. Kor. J. Food Sci. Technol. 35: 1244-1247 

  23. Patricia, R. M., J. Hugenholtz, and P. Zoon. 2002. An overview of the functionality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nt. Dairy J. 12: 163-171 

  24. Schacterle, G. R. and R. L. Pollack. 1973. A simplified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ssay of small amounts of protein in biologic material. Anal. Biochem. 51: 654-655 

  25. Shin, M. S., J. J. Lee, S. H. Na, H. S. Bae, C. S. Huh, and Y. J. Baek. 1998. Characteristics of Bifidobacterium spp. isolated from korean feces for probiotics. Kor. J. Dairy Sci. 20: 273-282 

  26. Sim, J. H., S. J. Oh, S. K. Kim, and Y. J. Baek. 1995. Comparative tests on the acid tolerance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isolated from lactic fermented products. Kor. J. Food Sci. Technol. 27: 101-104 

  27. Smitinont, T., C. Tansakul, S. Tanasupawat, S. Keeratipibul, L. Navarini, M. Bosco, and P. Cescutti. 1999.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from traditional thai fermented foods: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xopolysaccharide characterization. Int. J. Food Microbiol. 51: 105-111 

  28. Sutherland, I. W. 1998. Novel and established applications of microbial polysaccharides. Trends in Biotechnol. 16: 41-46 

  29. Vaningelgem, F., M. Zamfir, F. Mozzi, T. Adriany, M. Vancanneyt, J. Swings, and L. D. Vuyst. 2004. Biodiversity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Streptococcus thermophilus strains is reflected in their production and their molecular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ppl. Environ. Microbiol. 70: 900-912 

  30. Yang, Zhennai., E. Huttunen, M. Staaf, G. Widmalm, and H. Tenhu. 1999. Separ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slime-forming Lactococcus lactis ssp. cremoris strains. Int. Dairy J. 9: 631-6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