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 장류에서 점성물질을 분비하는 유산균을 분리하고 높은 활성을 보이는 N45-10, K6-7 및 N58-5의 3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3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N45-10은 Leuc. citreum, K6-7, N58-5는 Leu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산 저항성과 인공위액 저항성은 3균주 중에서 Leuc. citreum N45-10이 높은 생균수($10^5-10^6$ CFU/ml)를 나타내어 산 저항성과 인공위액 저항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인공 담즙 저항성은 Leuc. citreum N45-10은 높은 생균수($10^3-10^4$ CFU/ml)를 유지하여 담즙액 저항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3균주들 중에서 Leuc. citreum N45-10은 EPS 생성량이 가장 많았고, MRS 배지에서 배양하여 EPS가 생성되지 않았을 때보다 슈크로오스 배지에서 배양하여 EPS를 생성하였을 때 생균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EPS 생성이 유산균의 세포벽 주위에 보호막으로 작용한 결과로 생각된다. 선발 유산균 3주의 EPS 생산량은 슈크로오스 액체배지에서 각각 16.173, 8.167, 3.652 g/L였으며, Leuc. citreum N45-10은 글루코오스로만 이루어진 homo-polysaccharide, Leuc. mesenteroides K6-7과 N58-5는 프락토오스, 글루코오스로 구성된 hetero-polysaccharides로 동정되었다. 선발 유산균 3주 모두는 용혈 음성반응을 나타내고, 젤라틴 액화능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slime-forming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nd shown to produce exopolysaccharides (EPS) in sucrose media. By isolating the strains, examining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mining their 16S rDNA sequences, N58-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장류에서 분리한 유산균 중 EPS 생산 유산균을 선별하였고, 내산성, 인공위액 및 인공 담즙 저항성 시험을 통하여 선발 유산균의 장내 생존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며, EPS를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이란? 유산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탄수화물을 혐기적으로 이용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미생물로서 유제품, 육류, 채소 등의 다양한 발효식품 가공에 종균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식품의 보존성 향상뿐만 아니라 관능적 특성 및 영양적 가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일부 유산균 속은 다당류를 생합성하여 제품의 조직과 점성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25].
미생물 유래 다당류는 세포벽 위치에 따라 어떻게 나뉩니까? 미생물 유래 다당류는 크게 세포벽의 일부로 존재하는 intracellular polysaccharide, 세포벽 구조성분인 structural polysaccharide, 세포벽 외부에 존재하는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extracellular polysaccharide는 세포와의 구조적 관계에 따라 slime, capsular, microcapsular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을 총칭하여 exopolysaccharide (EPS)라 한다[30].
미생물의 exopolysaccharide는 어떤 역할을 합니까? EPS는 세포벽의 일부로서 세포벽 주위에 협막을 형성하거나 세포벽 외부에 점질 형태로서 발효 중에 축적되는 미생물 다당류로, 1차 또는 2차 대사산물이다[14]. EPS는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고 건조, 식균작용, 항생제, 독성 화합물, 삼투압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13]. EPS는 미생물이 가장 많이 생성하는 다당류로, 배양액으로부터 회수가 쉽고 정제비용이 적어 상업적인 잠재력이 가장 높은 다당류이다[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guirre, M. and M. D. Collins. 1993.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clinical infection. J. Appl. Bacteriol. 75: 95-107. 

  2. Ahn, Y. S., Y. S. Kim, and D. H. Shin. 2006.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 with high protease activity from traditional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82-87. 

  3. Bernard, F. G., Z. Alexandre, M. Robert, and M. Catherine. 2004.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peptides from soy hydrolysate and soy-fermented food. Food Res. Int. 37: 123-131. 

  4. Brook, I. 1996. Isolation of non-sporing anaerobic rods from infections in children. J. Med. Microbiol. 45: 21-6. 

  5. Chou, L. S. and B. Weimer. 1999. Isolation and chraracterization of acid- and bile-tolerant isolates from strain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J. Dairy Sci. 82: 23-31. 

  6. Duboc, P. and B. Mollet. 2001. Applications of expolysaccharides in the dairy industry. Int. Dairy J. 11: 759-768. 

  7. Dufresne, R., J. Thibault, A. Leduy, and R. Lencki. 1990. The effects of pressure on the growth of Aureobasidium pullulans and the synthesis of pullulan. Appl. Microbiol. Biotech. 32: 526-532. 

  8. Fu, J. F. and Y. H. Tseng. 1990. Construction of lactose-utilizing Xanthomonas campestris and production of xanthan gum from whey. Appl. Environ. Microbiol. 56: 919-923. 

  9. Gasser, F. 1994. Safety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occurrence in human clinical infections. Bull. Inst. Pasteur. 92: 45- 

  10. Hood, S. K. and E. A. Zittola. 1998. Effect of low pH on the 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to survive and adhere to human intestinal cells. J. Food Sci. 53: 1514-1516. 

  11. Isenberg, H. D. 1992. Gelatin liquefaction test. Clincal Microbiology Procedures Handbook. Vol. 1, pp. 1.19.42-1.19.43. American Socity of microbiology, Washington D.D., USA. 

  12. Jeanes, A., D. A. Wilham, H. M. Tsuchiya, and W. C. Haynes. 1957. Properties of dextrans isolated from whole cultures at various stages of incubation. Arch. Biochem. Biophys. 71: 293-302. 

  13. Kang, H. J., S. C. Baick, and J. H. Yu. 2005.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the stirred yogurt manufactured by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84-91. 

  14. Kim, D. J. and S. Y. Lee. 2001. Isol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terobacter sp.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370-375. 

  15. Kim, H. J. and H. C. Chang.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 196-203. 

  16. Kim, Y. M., U. K. Park, J. S. Mok, and D. S. Chang. 1995.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YM-7. J. Korean Fish Soc. 28: 443-450. 

  17. Kimmel, S. A., R. F. Roberts, and G. R. Ziegler. 1998. Optim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RR grown in a semidefined medium. Appl. Environ. Microbiol. 64: 659-664. 

  18. Kobayashi, Y., K. Tohyama, and T. Terashima. 1974.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II. Tolerance of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strain, L. casei PSR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ds. Jpn. J. Microbiol. 29: 691-697. 

  19. Lee, J. J., Y. M. Lee, H. C. Chang, and M. Y. Lee. 2007.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J. Life Sci. 17: 561-567. 

  20. Lee, Y. and H. C. Chang.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howing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06-114. 

  21. Lee, Y. N., M. J. Sin, and B. N. Kim. 1991.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raditional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6: 71-81. 

  22. Oh, J. H., B. J. Lee, H. R. Paik, S. C. Jung, K. S. Baik, and S. K. Choi. 2009. Isolation of bacteria from chunggukjang prepared by rice straw and identification of protease secreted. J. Life Sci. 19: 397-402. 

  23. Paik, H. D., M. Y. Jung, H. Y. Jung, W. S. Kim, and K. T. Kim. 2002.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3-78. 

  24. Park, J. G., S. Y. Yun, S. Oh, J. G. Shin, and Y. J. Baek. 2003.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Y1909 isolated from Korean breast-fed inf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44-1247. 

  25. Patricia, R. M., J. Hugenholtz, and P. Zoon. 2002. An overview of the functionality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nt. Dairy J. 12: 163-171. 

  26.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 joining-methods: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27. Shin, H. J. 2004. Studies on the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 paracasei LA44 isolated from Korean feces.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ersity. 

  28. Shin, M. S., J. J. Lee, S. H. Na, H. S. Bae, C. S. Huh, and Y. J. Baek. 1998. Characteristics of Bifidobacterium spp. Isolated from korean faces for probiotics. Korean J. Dairy Sci. 20: 273-282. 

  29. Smitinont, T., C. Tansakul, S. Tanasupawat, S. Keeratipibul, L. Navarini, M. Bosco, and P. Cescutti. 1999.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d acid bacteria streins from traditional thai fermented foods: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xopolysaccharide characterization. Int. J. Food Microbiol. 51: 105-111. 

  30. Sutherland, I. W. 1972. Bacterial exopolysaccharides. Adv. Microbiol. Physiol. 8: 143-213. 

  31. Sutherland, I. W. 1998. Novel and established applications of microbial polysaccharides. Trends in Biotechnol. 16: 41-46. 

  32. Sutherland, I. W. 1996.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p. 613-657, In H. J. Rehm and G. Reed (eds.), Biotechnology: A Multi-Volume Comprehensive Treatise. 2nd, completely revised ed., vol. 6, VCH, Verlagsgesellschaft, Weinheim, Germany. 

  33. Van den Berg, D. J. C., G. W. Robijn, A. C. Janssen, M. L. F. Giuseppin, R. Vreeker, J. P. Kamerling, J. F. G. Vliegenthart, A. M. Ledeboer, and C. T. Verrips. 1995. Production of a novel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y Lactobacillus sake 0-1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olysaccharide. Appl. Environ. Microbiol. 61: 2840-2844. 

  34. Yang, Z., E. Huttunen, M. Staaf, G. Widmalm, and H. Tenhu. 1999. Separ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slime-forming Lactococcus lactis ssp. cremoris strains. Int. Dairy J. 9: 631-6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