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잎의 열수추출 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Conditions for Hot Water Extraction of Camellia japonica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6 = no.190, 2006년, pp.823 - 828  

정진호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이형제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이숙영 (조선대학교 단백질소재 연구센터) ,  김광상 (식물보호기술(주)) ,  임요섭 (순천대학교 환경농업과학부) ,  신수철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  정경희 (전남생물산업지원센터) ,  박근형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문제학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백잎에 함유된 유용 성분을 식품 소재로 이용 또는 제품화 하는데 필요한 열수추출 조건을 추출물의 회수율, 함유성분의 안정성 및 항산화 활성을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동결건조 시료 5.26g(신선중량 30g 상당량)에 대해 추출 용액(증류수)의 용량(100-600 mL, 6단계)을 달리하여 $90^{\circ}C$에서 30분 추출한 결과, 추출물의 회수율 변화는 1% 이내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들 각 시료를 HPLC로 분석한 결과, 추출물 중에 함유된 화합물들에도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그들 각 시료의 항산화 활성은 추출 용매의 용량 증가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00 mL 추출 군(73.99%)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던 600 mL 추출 군(79.83%)에 근접한 2번째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동결건조시료 5.26g에 증류수 100 mL를 가한 시료에 대해 추출시간(10, 30, 60, 120분)을 달리하여 용량별 추출조건의 검토시와 동일 사항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의 회수율은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추출 시간이 30분 이상이 되면, HPLC 상에서 화합물들의 변화 경향이 현저해짐을 알 수 있었고, 항산화 활성 또한 30분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되어짐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동결건조 동백잎의 열수추출조건은 건조시료(g)의 약 60배(mL) 양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90^{\circ}C$에서 30분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stablish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hot water extraction of Camellia japonica compounds based on the yield, the stability (observed by peak changes on an HPLC chromatogram), and the 1,1-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The extracts were prepared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비교적 넓은 극성범위의 화합물들의 profile을 비교할 수 있는 용매조건(5% MeOH에서 100% MeOH까지 gradient용출)에써 215, 254, 280 및 375 nm의 4 파장 동시 검출법을 이용하여 ODS 컬럼에 의한 HPLC 분석을 각 추출물을 대상으로 행하였다. 본 논문에는 네 검출 파장 중 전반적으로 가장 검출 감도가 우수한 215 nm에서의 분석 결과만을 제시하였다.
  • 그래서 동백잎 추출물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또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가장 효율적인 추출조건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출물의 회수율, HPLC chromatogram 상에서의 화합물 변화 경향 및 항산화 활성을 기준으로 동백잎의 열수추출조건의 검토를 행하여 일련의 결과들이 얻어졌기에 그 내용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orea Ministry of Education. Korean Animals and Plants Pictorial Book. Samhw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65 (1974) 

  2. Song JT, Jung HB, Bong HS. Korean Resources Plants. Mido Munhwasa, Seoul, Korea. p. 650 (1984) 

  3. Song JT. Korean Resources Plants. Korea Plant Resource Institute, Seoul, Korea. p. 650 (1978) 

  4. Lee CB. Korean Plants Pictorial Book. Hya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43 (1982) 

  5. Cha YJ, Lee JW, Kim JH, Park MH, Lee SY. Major components of teas manufactured with leaf and flower of Korean native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 Crop Sci. 12: 183-190 (2004) 

  6. Hong SC, Byun SH, Kim SS.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Kemyung Press, Seoul, Korea. pp. 220-221 (1987) 

  7. Fujita Y, Fujita S, Yoshikawa H. Comparative biochemical and chemotaxonomical studies of the plants of Theaceae (I). Essential oils of Camellia sasanqua Thunb., C. japonica Linn., and Thea sinensis Linn. Osaka Kogyo Gijutsu Shidensho Kigo. 25: 198-202 (1973) 

  8. Sakata Y, Nagayoshi S, Arisumi KI. Studies on the flower colours in the Camellia. Mem. Fac. Agr. Kagoshima Univ. 17: 79-94 (1981) 

  9. Itokawa H, Nakajima H, lkuta A, Iitaka Y. Two triterpenes from the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Phytochemistry 20: 2539-2542 (1981) 

  10. Bhakuni DS, Goel AK, Jain S, Mehrotra BN, Patnaik GK, Prakash V. Screening of Indian plants for biological activity (part XIII). Indian J. Exp. BioI. 26: 883-904 (1988) 

  11. Yoshikawa M, Harada E, Murakami T, Matsuda H, Yamahara J, Murakami N. Camellia saponnins B1, B2, C1 and C2, new type inhibitors of ethanol absorption in rats from the seeds of Camelliajaponica L. Chem. Pharm. Bull. 42: 742-749 (1994) 

  12. Hahn YS.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13-121 (2005) 

  13. Lee SY, Hwang EJ, Kim GH, Choi YB, Lim CY, Kim SM.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 Crop Sci. 13: 93-100 (2005) 

  14. Hwang EJ, Cha YJ, Park MH, Lee JW, Lee SY.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 of Camellia (Camellia japonica) te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87-493 (2004) 

  15. Kim JH, Lee SY, Cho SI. Anti-proliferative effect of Camellia japonica leaves on human leukemia cell line. Korean J. Herbology 18: 93-98 (2003) 

  16. Kim BS, Choi OJ, Shim KH.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81-68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