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뜰보리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을 조사하여 식품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잎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뜰보리수 잎의 수분, 탄수화물, 조단백, 조지방 및 조회분의 함량은 각각 71.6, 24.1, 1.4, 0.4 그리고 2.5%이었다. 뜰보리수 잎의 환원당과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460.0, 503.3 mg/100 g이었으며, 항산화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의 함량은 805.6mg/100 g이었다. 뜰보리수에 함유된 유리당은 fructose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 arabinose, maltose, glucose 순이었으며, trehalose는 미량 검출되었다. 뜰보리수 잎은 mal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으며, 이외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succinic acid순으로 높았다. 뜰보리수 잎의 무기질 성분중 K의 함량이 840.5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Ca과 Ma도 많은 양 함유되어 있었다. 뜰보리수 잎의 구성아미노산 중 alanine의 함량이 112.0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threonine, leucine, valine, phenylalanine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57.3 mg/10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arginine, leucine, glycine, phenylalanine 순이었다. 아미노산의 유도체는 11종이 검출되었으며, ornithine의 함량이 48.5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components of the leaves of Elaeagnus multiflora as part of studies on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materials of fruits and leaves of this plan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eaves was 71.6% and the carbohydrate, crude protein, lipid and ash contents were 24.1, 1.4, 0.4 and 2.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뜰보리수 잎의 영양성분을 분석, 연구하여 식품재료 및 기능성물질의 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조무생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아카데미, 서울, p.372 

  2. 고경식 (1991) 한국식물검색도감. 아카데미, 서울, p.224 

  3.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198 

  4. Kim, J.G. (1984) I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 Vol 1, Namsadang, Seoul, p.279 

  5. Sakamura, F., Suga, T. (1987)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ripening oleaster fruits. Phytochemistry, 26, 2481-2484 

  6.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7. Lowry, O.H., Rosebrough, N.J., Fair, L.A., and Randal, R.J. (1951) Protein measurment with folin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8. Nelson, N. (1994) A photometric adop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375-381 

  9. Singleton, V.L., Rossi, 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0. Palmer, J.K. and Brandes, W.B. (1974) Determination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2, 709-715 

  11. Gancedo, M.C. and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80 

  12. Kim, J., Jeong, C,H., Bae, Y.I., and Shim, K.H. (2000) Chemical componen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iperitum leav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89-194 

  13. Jeong, C.H. and Shim, K.H. (1999) Chemical components in leaf and fruit stalk of Hovernia dulcis Thunb..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69-471 

  14. Kim, J.B., Cui, C.B., Lee, D.S., and Ham, S.S. (2004) Studies on the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 of leaves from Korean Rasa davurica Pall. Korean J. Food Preserv., 11, 106-110 

  15. Kim, N.W., Joo, E.Y., and Kim, S.L. (2003)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ean J. Food Preserv., 10, 534-539 

  16. Jeong, C.H., Hur, J.Y., and Shim, K.H. (2002)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9, 234-239 

  17. Aoshima, H., Tsunoue, H., Koda, H., and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s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18. Shaw, D.V. (1988) Genotypic variation and correlation for sugars and organic acids of strawberries. J. Am. Soc. Hortic. Sci., 113, 770-774 

  19. Ayza, F.A., Kadioglu, A., and Dogru, A.(1999) Soluble sugar composition of Elaeagnus angustifolia L. var. orientalis (L.) Kuntze (Russian olive) fruits. Tr. J. Botany, 23, 349-354 

  20. Hur, J.Y., Jeong, C.H., and Shim, K.W (2003) Chemical components of Humulus japonicus leaves and stalks. J Agric. Life Sci., 37, 1-7 

  21. Mau, J.L, Chyau, C.C., Li, J.Y., and Tseng, Y.H. (1997) Flavor components in straw mushrooms Volariella volvacea harvested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J. Agric. Food Chem., 45, 4726-4729 

  22. Solms J. (1969) The taste of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J. Agric. Food Chem., 17, 686-6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