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 녹차의 채취시기별 활성물질 및 항산화능 변화
Changes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Kore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with Different Harvesting Peri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4 no.6, 2007년, pp.709 - 715  

강성구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손미예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산 녹차의 채취시기별 주요 화학성분과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데아닌,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항산화 및 라디칼 소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중작 37.16 mg/g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세작 24.65 mg/g, 대작 23.28 mg/g, 우전 19.55 mg/g 순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는 대작이 350.83 mg%으로 중작 270.36 mg%, 세작 256.88 mg%, 우전 220.81 mg%에 비하여 비교적 높았다. Theanine과 총 유리아미노산은 우전에서 각각 14.11 mg/g, 23.62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에 나오는 녹차는 그 함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수확시기에 따른 항산화능linoleic acid peroxidation, DPPH 및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으로 조사한 결과, 녹차 중 중작이나 대작에서는 높았지만, 우전과 세작은 항산화 활성과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거의 없었고, 그 환원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작과 대작의 항산화능과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green tea has been claimed to have health-promoting effects, which may be related to the antioxidant activity in vitro. Korean green teas (Woojeon, WJ ; Sejak, SJ ; Jungjak, JJ ; Daejak, DJ) were subjected to different harvested times and yet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ir bioactive com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during different harvesting periods for the purposes of maximizing the nutraceutical benefits of green tea consump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hon, M.Y., Kim, S.H., Nam, S.H., Park, S.K. and Sung, N.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reen and fermented tea extracts. J. Life Sci., 14, 920-924 

  2. Ohe, T., Marutani, K. and Nakase, S. (2001) Catechins are not major compounds responsible for anti-genotoxic effects of tea extracts against nitroarenes. Mutation Research, 496, 75-81 

  3. Stensvold, I., Tverdal, A., Solvoll, K. and Foss, O.P. (1992) Tea consumption. Relationship to cholesterol, blood pressure, and coronary and total mortality. Prev. Med., 21, 546-553 

  4. Kono, S., Shinchi, K., Ikeda, N., Yanai, F. and Imanishi, K. (1992) Green tea consumption and serum lipid profiles : A cross sectional study in Northern Kyushu, Japan. Preventive Medicine, 21, 526-531 

  5. Yang, T.T.C. and Koo, K.M.L. (2000) Inhibitory effect of Chinese green tea on endothelial cell induced LDL oxidation. Atheroscleorosis, 148, 67-83 

  6. Higdon, J.V. and Frei, B. (2003) Tea catechins and polyphenols : Health effects, metabolism and antioxidant functions. Critical Reviews Food Sci. Nutr., 43, 89-143 

  7. Terao, J., Piskula, M. and Yao, Q. (1994) Protective effect of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quercetin on lipid peroxidation in phospholipid bilayers. Archives Biochem. Biophy., 308, 278-284 

  8. Riemersma, R.A., Carruthers, K.F. and Elton, R.A. (2001) Plasma ascorbic acid and risk of heart disease and cancer. Lancet, 357, 2136-2137 

  9. Barnham, K.J., Masters, C.L. and Bush, A.I. (2004)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oxidative stress.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3, 205-214 

  10. Cooke, M.S., Evans, M.D., Dizdaroglu, M. and Lunec, J. (2003) Oxidative DNA damage: mechanism, mutation and disease. FASEB J., 17, 1195-1214 

  11. Brash, D.E. and Harve, P.A. (2002) New careers for antioxida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9, 13969-13971 

  12. Surh, Y.J. (2003) Cancer chemoprevention with dietary phytochemicals. Nature Reviews Cancer, 3, 768-780 

  13. Hou, Z., Lambert, J.D., Chin, K.V. and Yang, C.S. (2004) Effects of tea polyphenols on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related to cancer chemoprevention. Mutation Research, 555, 3-19 

  14. Mitscher, L.A., Jung, M., Shankel, D., Dou, J.H., Steele, L. and Pillai, S.P. (1997) Chemoprotection : a review of the potential therapeutic antioxidant propertie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nd certain of its constituents. Medicinal Research Reviews, 17, 327-365 

  15. Zhou, B., Wu, L.M. and Liu, Z.L. (2005) Evidence for ${\alpha}$ -tocopherol regeneration of green tea polyphenols in SDS micelles. Free Radical Biol. Med., 38, 78-84 

  16. Arabbi, P.R., Genovese, M.I. and Lajolo, F.M. (2004) Flavonoids in vegetable foods commonly consumed in Brazil and estimated ingestion by the Brazilian population. J. Agric. Food Chem., 52, 1124-1131 

  17. Wang, H., Provan, G.J. and Helliwell, K. 2003. HPLC determination of catechins in tea leaves and tea extracts using relative respones factors. Food Chemistry, 81, 307-312 

  18. Yoshida, T.K., Mori, T., Okumura, I., Uehara, K. Komagoe, Y. and Fuijita, T. (1989) Studies on inhibition mechanism of autoxidation by tannins and flavonoids. Chem. Pharm. Bull., 37, 1919-1921 

  19. Re, R., Pellegrini, N.,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0. Mitsuda, H., Yasumoto, K. and Iwami, K. (1996) Antioxidative action of indole compounds during the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Eiyo to Shokur, 19, 210-214 

  21. Yen, G.C. and Duh, P.D. (199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peanut hulls. J.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70, 383-386 

  22. Shahidi, F. and Wanasundara, P.K.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ical Review Food Sci. Nutr., 32, 67-103 

  23. Nakama, T., Yamada, M., Osawa, T. and Kawakishi, S. (1993) Suppression of active oxygen-induced cytotoxicity of flavonoids. Biochem. Pharmacol., 45, 265-267 

  24. Pietta, P. and Simonetti, P. (1999) Dietary flavonoids and interaction with physiologic antioxidants. In: Packer, L., Hiramatsu, M., Yoshikawa, T. : Antioxidant food supplements in human health.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 p.283-3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