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콩(Glycine max L.)자원의 lutein 함량
Lutein Contents of Soybeans (Glycine max L.) Cultivat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5 = no.195, 2007년, pp.580 - 583  

최용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임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우선희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김홍식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정승근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콩 자원의 lutein 함량 변이를 분석함으로써 우수 품종을 선발하고 신품종 육성연구와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우수 품종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려품종 23종과 육성품종 140종(장콩품종 56종, 나물콩품종 44종, 지역재래품종 40종)을 lutein 분석에 사용하였다. 검화방법을 이용하여 lutein을 추출하였고 역상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려품 23종의 평균 lutein 함량은 $240.27{\pm}90.74{\mu}g/100g$으로 IT No. 24634가 $402.48{\mu}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장콩은 $777.73{\mu}g/100g$으로 IT No. 153398이, 나물콩은 $588.88{\mu}g/100g$으로 IT No. 25490이, 지역재래종은 $861.07{\mu}g/100g$으로 IT No. 22564가 높은 lutein 함량을 나타내었다. 장려품종과 육성품종간의 그 평균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장려품종 보다는 육성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lutein 함량을 나타내는 품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콩 유전자원의 품종개량 및 고 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ttle is known about the genetic variability in lutein content for soybeans (Glycine max L.) cultivated in Ko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creen high quality soybean cultivars for lutein content. The lutein contents of 23 recommended varieties, 56 sauce varieties, 44 sprout 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국에서도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콩 자원의 lutein 함량 변이를 분석함으로써 신품종 육성연구와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orrissey PA, O'Brien NM. Dietary antioxidants in 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 8: 463-472 (1998) 

  2. Holt S. Soya: The health food of the next millenium. Korean Soybean Digest. 14: 77-90 (1997) 

  3. Coward L, Barnes N, Stetchell KDR, Barnes S. Genistein and daidzein, and their $\beta$ -gly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 Agr. Food Chem. 41: 1961-1967 (1993) 

  4. Mortensen A, Skkibsted LH. Importance of carotenoid structure in radical-scavenging. J. Agr. Food Chem. 45: 2970-2977 (1997) 

  5. Bone RA, Landrum JT, Tarsis SL. Preliminary identification of the human macular pigment. Vision Res. 25: 1521-1535 (1985) 

  6. Holden JM, Eldridge AL, Beecher GR, Buzzard IM, Bhagwat S, Davis CS, Douglass LW, Gebhardt S, Haytowitz D, Schakel S. Carotenoid content of U.S. foods: An update of the database. J. Food Compos. Anal. 12: 169-196 (1999) 

  7. Chasan-Taber L, Willet WC, Seddon JM, Stamfer MJ, Rosner B, Colditz GA, Speizer FE, Hankinson SE. A prospective study of carotenoid and vitamin A intakes and risk of cataract extraction in US women. Am. J. Clin. Nutr. 70: 509-516 (1999) 

  8. Seddon JM, Ajani UA, Sperduto RD, Hiller R, Blair N, Burton TC, Farber MD, Gragoudas ES, Haller J, Miller DT, Yannuzzi LA, Willet W. Dietary carotenoids, vitamin A, C, and E, and advanced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J. Am. Med. Assoc. 272: 1413-1420 (1994) 

  9. Granado F, Olmedilla B, Blanco I. Nutritional and clinical relevance of lutein in human health. Brit. J. Nutr. 90: 487-502 (2003) 

  10. Granado F, Olmedilla B, Blanco I, Rojas-Hidalgo E. Carotenoid composition in raw and cooked Spanish vegetable. J. Agr. Food Chem. 40: 2135-2140 (1992) 

  11. Mares-Perlman JA, Millen AE, Ficek TL, Hankison SE. The body of evidence to support a protective role for lutein and zeaxanthin in delaying chronic disease. Overview. J. Nutr. 132: 518S- 524S (2002) 

  12. Choung MG, Kang ST, Han WY, Baek IY, Kim HK, Shin DC, Kang NS, Hwang YS, AN YN, Lim JD, Kim KS, Park SH, Kim SL.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soybean germplasms. Korean J. Crop Sci. 51: 146-151 (2006) 

  13. Yun HT, Kim WH, Lee YH, Suh SJ, Kim SJ.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ates. Korean J. Crop Sci. 51: 174-178 (2006) 

  14. Lee SM, Lee HB, Lee J.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E in some grains. J. Korean Soc.Food Sci. Nutr. 35: 248-253 (2006) 

  15. Kanamaru K, Wang S, Abe J, Yamada T, Kitamura K.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et Zecc.) strains with high lutein content. Breeding Sci. 56: 231-234 (2006) 

  16. Edelenbos M, Christensen LP, Grevsen K. HPLC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carotenoid pigments in processed green pea cultivars (Pisum sativum L.). J. Agr. Food Chem. 49: 4768-4774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