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 분말 첨가 크림수프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ream Soup Prepared with Mulberry Leaf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3 no.5, 2007년, pp.601 - 608  

박소희 (한성식품 기술연구소) ,  이종호 (경성대학교 외식산업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뽕잎 분말의 이용성을 식품에 증대시키기 위하여 뽕잎 분말 첨가 수준을 달리한 크림 수프를 제조하여 이에 따른 이화학적, 물성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크림수프의 pH, L값, 점도는 뽕잎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a값은 대조군이 -1.91로 가장 높았고 b값은 4:6인 배합비율 시료가 38.59로 가장 높았다. 뽕잎분말 첨가 크림수프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뽕잎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진함 정도, 풋내, 쓴맛, 텁텁함은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고소한 맛, 느끼한 맛, 밀가루 맛, 부드러움은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크림 수프의 기호도 검사 결과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 에서 1:9인 배합비율 시료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관능검사와 기호도 항목간의 상관관계에서 전반적인 기호도는 고소한 향, 고소한 맛, 부드러움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풋내, 텁텁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는 L값은 외관 기호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진함 정도와 텁텁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b값은 텁텁함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계적 점도는 부드러움과 정의 상관관계를, 텁텁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화학적 검사와 기계적 검사간의 상관관계에서는 pH 측정치가 기계적인 검사 항목과 높은 상관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뽕잎 분말과 밀가루의 배합비율을 1:9로 한 시료는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모든 항목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없거나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뽕잎 크림수프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ream soups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mulbery leaf powder were investigated. The pH, L-value, and viscosity of the cream soups decreased as the mulbery leaf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a-value -1.91 of the control was signific...

주제어

참고문헌 (20)

  1. Anastasiades A, Thanou S, Loulis D, Stapatoris A, Karapantsios TD. 2002. Rhe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pregelatinized maize starches. J Food Eng 52(1):57-66 

  2. Jung CS, Chae YC, Lee JH. 2000. Cookery science technology. Dosuh Press. Seoul, Korea. pp 206-211 

  3. Jung UJ, Woo KJ, Kim AJ. 2005.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by addition of mulberry leaf. Korean J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15(2):188-193 

  4. Kim AJ, Lim UH, Kim MW, Kim MH, Woo KJ. 2000. Mineral contents and properties of Pongihp julpyun preparation by adding mulberry leav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16(4):311-315 

  5. Kim AJ, Lim YH, Kim MH, Kim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yellow soybean powder an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18(6):567-572 

  6. Kim AJ, Rho JO, Woo KJ, Choi WS. 2003.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cooked ri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ating ratio of mulberry leaves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19(5):571-580 

  7. Kim AJ, Yuh CS, Bang IS, Woo KJ. 2006. Study on preparation and quality of jelly using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1):56-61 

  8. Kim JM, Lee YC, Kim KO. 2003. Effect of convection oven dehydration condition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ence Technol 35(3):393-398 

  9. Kim JM, Suh DS, Kim YS, Kim KO. 2004.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gruels and cak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ence Technol 36(3):410-415 

  10. Kim JS, Kang SS, Lee MW, Kim OK. 1995.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ralia continentails. Korean J Pharmacogn 26(2):239-243 

  11. Kim MW, Ahn MS, Lim YH.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with added mulberry leav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4):459-465 

  12. Kim SY, Lee WC, Kim HB, Kim AJ, Kim SK. 1998.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 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Food Nutr 27(6) : 1217 

  13. Kim YA. 2002.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Food Cookery Sci 18(6):632-636 

  14. Kim YA. 2003.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s. Korean J Food Science Technol 35(5):871-876 

  15. Koh SJ, Park HH, Lee K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ream soups added with rice flour and potato as a thickening ag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0(6):568-574 

  16. Lee JR, Hah YJ, Lee JW, Song YM, Jin SK, Kim IS, Hah KH, Kwak SJ.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fied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and persimmon leaf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4):330-336 

  17. Lee SY, Jung CS, Yoon HH. 2003. Sensory characteristics of cream soup prepared with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19(6):723-728 

  18. Lee WC, Kim AJ, Kim SY. 2003. The 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Jounal of Food science and industry. pp 2-14 

  19. Nam TH, Kim AJ, Woo KJ. 2004. Effects of mulberry leaf on the quality of Jeung-Pyun(Korean fermented rice cake). Korean J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14(4):379-386 

  20. Shin KH, Young HS, Lee TW, Choi JS. 1995.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 and antioxidant effects of Solanum lyratum. Korean J Pharmacogn 26(1) : 130-1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