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김밥 및 샌드위치의 냉장조건에서의 유통기한
Shelf-life of Prepacked Kimbab and Sandwiches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at Refrigerated Condi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2 no.4, 2007년, pp.323 - 331  

구민선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연구단) ,  김윤숙 (한국식품연구원 소재이용연구단) ,  신동빈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오세욱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연구단) ,  전향숙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김밥류 6종, 샌드위치류 6종에 대해 $10^{\circ}C$ 냉장 조건하에서 72시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분석하여, 품질 지표를 도출하고, 유통기한을 예측하였다. 저장 기간 중 시료의 단백질의 부패도를 나타내는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 중 김밥류의 휘발성염기질소는 저장 직전인 초기 $1.3{\sim}4.1mg%$에서 저장 72시간 후 $3.7{\sim}6.9mg%$로 약간 증가하였고, 샌드위치도 초기 $1.5{\sim}10.3mg%$에서 저장 72시간 후 $3.1{\sim}12.3mg%$로 증가하여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은 저장기간 동안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세균수는 저장 초기 김밥류에서는 $2.9{\sim}4.43\;logCFU/g$, 샌드위치는 $2.34{\sim}2.92\;logCFU/g$였으나 저장 48시간 후에는 김밥류에서 $4.51{\sim}5.36\;logCFU/g$로, 샌드위치에서는 $4.66{\sim}5.02\;logCFU/g$로 증가하였고, 48시간 이후에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각 제품의 종합적 기호도를 검사한 결과 일반김밥 4종은 저장 40시간까지 5점 이상을 유지하였고, 삼각김밥은 48시간까지, 샌드위치는 저장 42시간까지 상품성을 가지는 5점을 유지하였다. 저장기간과 일반세균수 및 관능검사와의 상호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대부분이 0.9가 넘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유통가능 기준인 관능 검사의 종합적 기호도 5점 이상, 일반세균수 $10^5CFU/g$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고 유통조건중의 안전성을 고려한 유통기한을 산출한 결과 $10^{\circ}C$ 냉장조건 하에서 일반 김밥은 $15{\sim}33$시간, 삼각김밥은 $32{\sim}33$시간, 샌드위치류는 $27{\sim}30$시간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self-life of Kimbab and sandwiches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 While the 12 different type of Kimbab (n=6) and sandwiches (n=6) were kept at $10^{\circ}C$ for 72 hours, quality changes including volatile basic nitrogen, aerobic plate count, pathoge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것과 동일한 일반 김밥류 4종, 삼각김밥류 2종과 샌드위치 6종을 제조 완료 즉시 냉장조건을 유지하면서 실험실로 운송하여 냉장저장의 최대 한계 온도인 10℃의 항온기에서 저장하면서 식품공전에 규정된 시험 방법에 의한 품질검사를 실시하여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며 상품가치가 있는 상용유통기한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박희옥, 김창민, 우건조, 박선희, 이동하, 장은정, 박기환 :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식중독 모니터링 및 추이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4) 280-294 (2001) 

  2. Labuza, Theodore P.: Shelf-life dating of foods. Food & Nutrition press Inc 

  3.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1994) 

  4. 김병삼, 신동빈, 박형우, 김상숙, 김기성, 임상동, 구민선, 김윤숙, 김성수, 이창호: 가공식품의 Shelf-life 설정 기술 교육. 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8) 

  5. Singh, R. P., Wells, J. H.: Use of time-termperature indications to monitor quality of frozen hamburger. Food Technol., 39, 42 (1985) 

  6. Taoukis, P. S., B, Fu, Labuza, T. P.: Time-temperature indicators. Food Technol., 45, 70-82 (1991) 

  7. Taoukis, P. S., Labuza, T. P.: Application of time-temperature indicators as shelf life monitors of food products. J. Food Sci., 54, 783-788 (1989) 

  8. Taoukis, P. S., Labuza, T. P.: Reliability of time-temperature indicators as food quality monitors under non-isothermal conditions. J. Food Sci., 4, 789-792 (1989) 

  9. 배현주, 박혜정: 즉석섭취 샌드위치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위해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7) 938-943 (2007) 

  10. 박신영, 최진원, 연지혜, 이민정, 오덕환, 홍종해, 박경진, 우건조, 박종석, 하상도: 김밥 제조단계에서의 김밥 주원료에 대한 위해미생물의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37(1) 122-128 (2005) 

  11. 김종규: 김밥 조리 조건에 따른 미생물 품질 평가와 중요 관리점의 관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9(2) 66-73 (2004) 

  12. 강국희, 최선규, 김경민, 김혜란, 고애경, 박신인: 김밥 세균 오염의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0(3) 175-180 (1995) 

  13. 서정희, 이애리, 김말남 :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세균학적 품질. 한국식품위생안정성학회지, 15(2) 61-67 (2000) 

  14. 박신영, 연지혜, 최진원, 이민정, 이동하, 김근성, 박기환, 하상도 : 편의점에서 판매중인 주요 RTE 식품 중 위해 미생물의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37(2) 274-278 (2005) 

  15. 곽동경, 김서희: 모의실험을 통한 편의점 판매용 김밥 도시락의 유통기한 예측. 한국식품위생안정성학회지, 11(3) 189-196 (1996) 

  16. 이효민, 이근영, 윤은경, 김현정, 강윤숙, 이동하, 박종석, 이순호, 우건조, 강승호, 양기화, 양지선: Food MicroModel과 황색포도상구균의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시중 유통 김밥의 최대 섭취유효시간 산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9(1) 49-54 (2004) 

  17.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7th ed.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MD. (2000) 

  18.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공전 (2002) 

  19. Duncan, D.B.: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 1-42 (1995) 

  20.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 규격 (2007) 

  21. MA. Patricia V. Azanza: Aerobic plate counts of Philippine ready-to-eat foods from take-away premises. J. Food safety, 25, 80-97 (2005) 

  22. H. D. Mepba, S. C. Achinewhu, S. N. Aso, C. K. Wachukwu: Microbiological quality of selected street foods in port harcourt, Nigeria. J. Food Safety, 27, 208-218 (2007) 

  23. Solberg, M, J. J. Buchalew, C. M. Chen, D. W. Schaffner, K. O'Neill, J. McDowell, L. S. Post, M. Boderck: Microbi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12) 68-72 (1990) 

  24. 곽동경, 김성희, 박신정, 조유선, 최은희; 편의점 판매용 김밥 도시락 생산 및 유통과정의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1(3) 177-187 (1996) 

  25. 식품의약품안전청 위해기준팀: 제7회 시험법연구회 세미나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