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소 시비량이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and Flowering o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by Nitrogen Fertilization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5 no.6, 2007년, pp.429 - 433  

이창우 (경상대학교 농생대) ,  전승호 (경상대학교 농생대) ,  김홍영 (경상대학교 농생대) ,  신성철 (경상대학교 자연대) ,  강진호 (경상대학교 농생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위솔은 홍수출하와 관련된 일임성 식물이라 할지라도 전초로 이용되기 때문에 전초수량으로 수익성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전초수량을 증대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질소 시비량 (0, 5, 10, 20kg N/10a)이 바위솔의 생장과 소화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고자 8월 25일부터 매일 2시간의 암기중단 처리를 가하면서 8월 25일부터 11월 14일까지 4주간 간격으로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고사되는 개체의 비율이 증가하는 반면, 초장, 화서장, 엽과 포엽수 및 경직경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엽과 포엽중, 소화중, 경중, 근중, 지상부중 및 전체건물중도 형태적 형질과 마찬가지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3. 화서에 형성되는 소화도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암기중단 처리로 인하여 형성된 소화는 개화되지 않았다. 4. 11월 중순까지도 고사와 관련된 개화개체 비율은 질소 시비량에 관계없는 것으로 나타나 소화의 개화는 일장과 온도 등 다른 요인들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oot weight of Orostachys japonicus should determine its profitability.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effect of nitrogen (N) fertilization level (0, 5, 10, 20kg/10a) on its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flowering. Night-break treatment of 2 hours at midnight were done since Au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 CAM 식물은 질소 시비에 대한 생장반응이 일반작물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연구는 CAM 식물인 바위솔의 수익성과 관련된 전초 수량을 높이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질소 시비량이 바위솔의 생장, 형태와 소화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 었다.
  • 이용되기 때문에 전초수량으로 수익성이 결정된다. 연구는 전초수량을 증대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질소 시비량 (0, 5, 10, 20 kg N/10a)이 바위솔의 생장과 소화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고자 8월 25일부터 매일 2시간의 암기중단 처리를 가하면서 8월 25일부터 11월 14일까지 4주 간격으로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던 브F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athaara GN, Felker P, Land M (1989) Influence of nitrogen and phosphorus application on Opuntia engelmanii tissue N and P concentrations, biomass production and fruit yields. J. Arid Environ. 16:337-346 

  2. Heintze W (1973) Influence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flowering of Sedum bellum. Acta Hort. 31:57-62 

  3. Jang SH, Lee SG, Kang JH, Park JC, Shin SC (2006) Determination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l aglycone contents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grown under various cultivation condition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5):311-316 

  4. Jeon SH, Hong DO, Lee CH, Kim HY, Shin SC, Kang JH (2006)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by transplanted seedling siz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3):153-157 

  5. Kang JH, Jeon SH, Yoon SY, Hong DO, Shin SC (2005a)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by controlling daylength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3): 114-117 

  6. Kang JH, Jeon SH, Yoon SY, Hong DO, Shin SC (2005b) Effect of different temperatures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4):186-189 

  7. Kang JH, Park JS, Kim JW (1995) Effect of long-day and nightbreak treatments on growth and anthesi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Crop Sci. 40(5):600-607 

  8. Kang JH, Ryu YS, Cho BG (1996) Effect of night-break period on growth and anthesis of Orostachys japonicus. Korean J. Crop Sci. 41(2):236-242 

  9. Kang JH, Ryu YS, Kang SY, Shim YD, Kim DI (1997) Effect of night-break timing on growth, bolting and anthesis of Orostachys japonicus. Korean J. Crop Sci. 42(5):597-603 

  10. Ladha JK, Pathak H, Krupnick TJ, Six J, van Kessel C (2005) Efficiency of fertilizer nitrogen In cereal production: Retrospects and prospects. Adv. Agron. 87:85-156 

  11. Lee CW, Jeon SH, Kim HY, Shin SC, Kang JH (2007) Effect of night-break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4):256-260 

  12. Lee SY, Ahn JH, Kim HJ (2004)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lowering by nitrogen levels in Sedum sarmentosum. Korean J. Hort. Sci. Technol. 22(4):426-430 

  13. Shin DY, Lee YM, Kim HJ (1994) Anatomy and artificial seed propagation in anti-cancer plant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Crop Sci. 39(2):146-157 

  14. Taiz L, Zeiger E (2002) The Control of Flowering. p. 559-590. In L. Taiz and E. Zeiger (eds.). Plant physiology (3rd ed.). Sinauer Associate Inc., 23 Plumtree Road/PO Box 407, Sunderland, MA 01375,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