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상호적 반응성과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간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Interactive Responsiveness and Infant's Communicatio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5 no.3 = no.229, 2007년, pp.97 - 107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유진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interactive responsiveness and infant's communi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4 pairs of infants aged 13 to 24 months and their mothers. The infants' communication and their mother's interactive responsivene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는 어머니의 상호적 반응성이나 이런 반응성과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13~24월까지 영아들을 대상으로 월령에 따른 의사소통 기능과 수단을 포괄하는 의도적인 의사소통 발달을 살펴보고, 둘째, 영아의 월령에 따라 어머니의 상호적 반응성의 변화를 살펴보며,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상호적 반응성과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기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주 양육자인 어머니들에게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과 관련된 상호적 반응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에 매우 미흡한 영아기 의사소통 연구의 초석 마련과 이시기의 의사소통 및 언어발달을 촉진시키는 주 양육자를 위한 부모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이것은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 기능과 수단의 형태가 발달되면서 어머니가 영아의 의도를 더 분명하게 인식하게 되고 반면 영아도 어머니의 대화적인 차례 맡기에 반응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유추된다. 또한 언어적 표현을 하지 못하지만 몸짓 또는 발성의 전언어적 형태를 사용하더라도 영아의 의사소통적 시도에 우리나라 어머니가 민감하게 해석하고 반응해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 그러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영아의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이들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의사소통의 발달에 국한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영아기 의사소통이 이후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고 있으므로 후의 언어발달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13~24개월 영아의 월령집단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과 어머니의 상호적 반응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별로 얻어진 결과에 따라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13~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은 월령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2. 어머니의 상호적 반응성은 영아의 월령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곽금주, 김민화, 한은주 (2004). 어머니-영아의 상호작용 방식과 영아기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아동학회지, 25(5), 111-128 

  2. 김금주 (2000). 어머니 영아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기숙 (2004). 12개월,18개월, 24개월 유아의 의사소통 횟수와 의사소통 기능발달.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명순 (1999). 영아기의 의사소통능력. 삼성복지재단 제7회 학술대회: 올바른 보육은 요람에서부터 

  5. 박휴용 (1994). 유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성지현 (2000). 1세 어머니-영아의 언어와놀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임현숙, 배소영, 송승하 (2001). 한 낱말 단계 이동의 의사소통 특성 연구: 아동특성과 놀이조건을 고려하여. 언어청각장애연구, 6(2), 313-330 

  8. 장유경, 최윤영, 김소연 (2005). 한국 영아의 초기 의사소통: 몸짓의 발달. 아동학회지, 26(1), 155-167 

  9. 정경희 (2004). 한국 영유아의 비구어적 의사소통 및 의미발달.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홍경훈, 김영태 (2001). 아동의 의사소통 의도 습득에 대한 종단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6(1), 17-33 

  11. Bakerman, R., & Adamson, L. B.(1986). Infants' conventionalized acts: Gestures and words with mothers and peer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9, 215-230 

  12. Bates, E., Camaioni, L., & Volterra, V. (1975). The acquisition of performatives prior to speech. Merrill-Palmer Quarterly, 21, 205-226 

  13. Brady, N. C., Marquis, J., Fleming, K., & McLean, L. (2004). Prelinguistic predictors of language growth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3), 663-677 

  14. Bruner, J. S. (1975). From communication to languag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ognition, 3, 255-­287 

  15. Calandrella, A. M., & Wilcox, M. J. (2000). Predicting language outcomes for young prelinguistic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3(5), 1061-1071 

  16. Capiro, O., & Iverson, J. M. (1996). Gesture and words during the transition to two-word speech. Journal of Child Language, 2, 645-673 

  17. Capone, N. C., & McGregor, K. K.(2004). Gesture development: A review for clinical and research practic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173-186 

  18. Chapman, R. S. (2000). Children's language learning: An interactionist perspectiv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1(1), 33-54 

  19. Coggins, T. E., & Carpenter, R. L. (1981). The communicative inventory: A system for observing and coding children's early intentional communication. Applied Psycholinguistics, 2, 235­-251 

  20. Flom, R., & Pick, A. D. (2003). Verbal encouragement and joint attention in 18-month-old infant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6, 121-134 

  21. Goodwyn, S. W., & Acredolo, L. P. (1993). Symbolic gesture versus word: Is there a modality advantage for onset of symbol use? Child Development, 64, 688-701 

  22. Iverson, J. M., Capiro, O., Longobardi, E., & Caselli, M. C. (1999). Gesturing in mother-child interactions. Cognitive Development, 14(1), 57-75 

  23. Iverson, J. M., & Goldin-Meadow, S.(1998). Why people gesture when they speak. Nature, 396, 228 

  24. Masur, E. F., Flynn, V., & Eichorst, D. L. (2005). Maternal responsive and directive behaviours and utterances as predictors of children' s lexical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Language, 32, 63-91 

  25. Moore, C., & Corkum, V. (1998). Infant gaze following based on eye direction.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4), 495-503 

  26. O'Neill, M., Bard, K. A., Linnell, M., & Fluck, M. (2005). Maternal gestures with 20-month-old infants in two contexts. Developmental Science, 8(4), 352-359 

  27. Paavola, L., Kunnari, S., & Moilanen, I. (2005). Maternal responsiveness and infantinternal communication: Implications for the early communicative and linguistic development.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1(6), 727-­735 

  28. Reddy, V. (1999). Prelinguistic communication. In M. D. Barrett(E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ast Sussex: Psychology Press 

  29. Reinhartsen, D. B. (2000). Preverb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 essential step in the lives of infants with severe physical impairment. Infants and Young Children, 13(1), 49-59 

  30. Snow, C. E., Pan, B., Imbens-Baliey, A., & Herman, J. (1996). Learning how to say what one means: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s speech act use. Social Development, 5, 56-84 

  31. Tamis-Lemonda, C. S., Bornstein, M. H., & Baumwell, L. (2001). Maternal responsiveness and children's achievement of language milestones. Child Development, 72, 748-767 

  32. Wetherby, A. M., Cain, D. H, Yonclas, D. G., & Walker, V. G.(1988). Analysis of intentional communication of normal children from the prelinguistic to the multiword st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1, 240-252 

  33. Wetherby, A. M., & Prizant, B. M. (2003).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manual). Chicago: The Riverside Publisher 

  34. Wetherby, A., Warren, S., & Reichle, J. (1998). Introduction to transitions in pre linguistic communication. In A. Wetherby, S. Warren, J. Reichle(Eds.), Transitions in prelinguistic communication.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35. Wilcox, M. (1993). Issues regarding language readiness i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per presented to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Anaheim, CA 

  36. Yoder, P. J., & Warren, S. F. (2001). Relative treatment effects of two prelinguisticcommunication interventions on language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vary by mater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1), 224-2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