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공기업의 BSC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우정사업본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BSC System Development of Korean Public Firms: Focused on Korea Post 원문보기

Information Systems Review, v.9 no.1, 2007년, pp.311 - 341  

신택수 (연세대학교 정경대학 경영정보학과) ,  유승록 (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기업형 조직인 우정사업본부에 대한 BSC(Balanced Scorecard)시스템 구축사례를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BSC 모델은 서로 상이한 전략목표로 인해 각각 다른 형태로 구축된다. 우정사업본부는 현재 정부기업으로서 공공부문의 성격을 많이 내포하고 있으면서, 또한 민간부문과 유사한 BSC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민간기업이 아닌 공기업으로서의 조직의 형태를 띠고 있다. 현재 공기업을 포함하는 많은 정부 산하기관들이 BSC를 도입했거나, 도입하려고 하지만, BSC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말미암아 예상보다 BSC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정사업본부의 BSC 사례분석을 통해 공기업의 BSC 시스템 구축의 주요 성공요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공기업의 BSC 시스템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BSC(Balanced Scorecard) system development of Korea Post as a Korean public firm. BSC models of public or private sector are generally developed in different types due to their different strategic goals. Korea Post as a government firm has dual characteristics of ...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곽채기, 공기업론 강의 교재, 전남대학교, 2003. 3. 5 

  2. 권미수외 16인, 공공부문의 성과평가 및 관리방안 연구: BSC를 중심으로, 한국전산원, 2005 

  3. 김범열, '균형잡힌 성과 기록표(BSC)의 성공적인 활용방안,' LG주간경제, 2003, pp. 25-29 

  4. 김범준, 이상열, '우정사업본부의 성과주의 예산제도 도입방안', 우정정보, 제55권, 2003, pp. 55-76 

  5. 김순기, 정순여, '정부조직의 성과관리: 균형성과표와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연계', 서강경영논총, 제13권 제2호, 2002 

  6. 김효정, 이영종, '우정사업 환경분석', 우정정보, 제57권, 2004, pp. 1-35 

  7. 김희경, 성은숙, BSC 실천 매뉴얼, 시그마인사이트컴, 2001 

  8. 문보경, '전략경영도구로서의 균형성과관리(Balanced Scorecard)', 우정정보, 2000봄, pp.31-54 

  9. 우정사업본부 재무관리과, '통합경영관리(ERP) 시스템 구축 성공', 정보통신부 우정사업부 보도자료, 2002. 11 

  10. 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 경영합리화 기본계획 (2003-2005년), 우정사업본부, 2003 

  11. 윤수재, 정부성과평가 시스템에서의 BSC 모델 활용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5 

  12. 정종섭, '경영혁신화두 BSC 구축전략 (5): 공기업 도입현황', 디지털타임즈, 2005. 11. 29. (http://www.dt.co.kr/contents.htm?article_no2005112902010860631001) 

  13. 정완진, '우정사업본부의 6시그마 경영: 혁신의 공공기업으로', 품질혁신 e-mail 교육, 제53 호, 2005. 08. 22 

  14. 행정자치부, '버리고 바꾸고 새롭게 만든다', 정부혁신사례집 정부혁신, 그 현장을 가다 제1권, 행정자치부, 2005 

  15. Eickelmann, N.S., 'A Comparative Analysis of BSC as Applied in Government and Industry Organiz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Balanced Scorecard Symposium, Antwerpen, Belgium, March 15-16, 1999 

  16. Jones, L.P., Public Enterprise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Korean Case, KDI Press, Seoul, 1975 

  17. Kaplan, R.S. and Norton, D.P.,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70, No.1, January-February 1992, pp. 71-79 

  18. Majone, G., 'Cross-National Source of Regulatory Policy making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Public Policy, Vol.11, No.1, 1991, pp. 79-106 

  19. Niven, Balanced Scorecard Step by 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John Wiley & Sons, 2003 

  20. OECD, 'BSC Online Members Survey', 2003 

  21. Olve, N.G., Roy, J. and Wetter, M., Performance Drivers, John Wiley & Sons Ltd.,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