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휴대폰용 배터리의 기술개발 동향
Recent Trend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for Cellular Phone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0 no.1, 2007년, pp.31 - 35  

이형근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전자부품연구원) ,  김영준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전자부품연구원) ,  조원일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전자부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리뷰를 통하여, 휴대폰용 리튬이차전지의 최근 기술동향을 설명하였다. 휴대폰용 이차전지로는 니카드, 니켈-금속수소, 리튬이온 혹은 리튬이온폴리머의 세 가지 형태의 전지가 있으며, 리튬 이차전지가 에너지밀도 측면에서 가장 성능이 우수하다. 즉, 동일한 용량을 갖는 이차전지 가운데 가장 작고 가벼운 것은 리튬이차전지이다. 이러한 리튬이차전지의 시장은 매년 약 15%의 높은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연구개발은 $LiFePO_4$를 포함하는 새로운 양극, $Li_4Ti_5O_{10}$, Si, 주석 등의 새로운 음극소재, 새로운 전해질과 안정성 확보에 관한 것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view article, we are going to explain the recent development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for a cellular phone. There are three kinds of rechargeable batteries for cellular phones such as nickel-cadmium, nickel-metal hydride, and lithium ion or lithium ion polymer. The lithium seconda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그동안 우리나라 기업들에 의해 만들어진 세계 최초와 국내 최초인 제품들이 기업간의 치열한 경쟁의 산물로 다수 등장하였는데,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 800만 화소 카메라폰과 세계 최초 위성 DM缶폰을, LG전자는 지상파 DMB폰과 WCDMA DM缶폰을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팬택계열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인 Zigbee> 탑재한 단말기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Advanced Rechargeable Battery Market Survey, pp.2, 06 1Q 

  2. ETNEWS, Apr. 20, 2006 

  3. ETNEWS, Nov. 28, 2006 

  4. ETNEWS, Aug. 21, 2006 

  5. 오시형, 정운태, 조원일, 조병원, 한국전기화학회지, 8(1), 42 (2005) 

  6. 조원일, 신호철, 이병조, 조병원, 장호, 한국전기화학회지, 8(4), 168 (2005) 

  7. 박수길, 오미현, 김한주, 김영재, 임기조, 손원근, 한국전기화학회지, 9(1), 1 (2006) 

  8. 조원일, 이상명, 오시형, 이병조, 장호, 한국전기화학회지, 9(1), 6-9 (2006) 

  9. 김호성, 이충곤, 한국전기화학회지, 9(2), 34 (2006) 

  10. ETNEWS, Jan. 4, 2006 

  11. ETNEWS, Dec. 19, 2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