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복효과에 기반한 배터리 사용 시간 연장 기법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Based on Recovery Effect 원문보기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Journal of IKEEE, v.18 no.1, 2014년, pp.96 - 105  

이종배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  이성수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의 비선형적 방전 특성인 회복효과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예측할 때에는 배터리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 때문에 배터리를 계속 방전시키지 않고 중간에 쉬는 시간을 만들어주면 더 많은 에너지를 끌어낼 수 있는데 이를 회복효과라 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교대로 방전시킴으로서 기기의 전력 공급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터리 셀 일부를 쉬게 하여 회복효과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 2개의 배터리 셀을 기존처럼 병렬 연결하여 방전시키는 것에 비해 배터리 셀을 교대로 방전시키면 배터리 사용시간이 약 7%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method based on the nonlinear discharge charisteristics called recovery effect. In general, the stored energy in a battery is considered in the prediction of battery lifetime. However,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in a battery, more energy can be d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사용시간 연장을 위한 배터리 셀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종류에 관계없이 배터리에서 지속적으로 전류를 끌어내는 경우에 비해 배터리의 방전을 멈추고 일정 시간 쉬게 하는 경우가 배터리에서 더 많은 전력량을 끌어낼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 연장을 위해 여러 개의 배터리 셀을 교대로 방전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2개의 배터리 셀을 교대로 기기에 연결하여 하나는 기기의 전력 공급을 담당하고 다른 하나는 쉬게 한다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셀은 배터리 사용시간이 감소하며, 쉬고 있는 배터리 셀에서는 사용시간이 증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배터리에서 지속적으로 전류를 끌어다 쓰는 경우에는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계속 낮아지지만, 시스템이 휴면 상태 (sleep mode)에 들어가서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끌어 쓰지 않는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배터리의 회복효과 (recovery effect)라고 한다. 회복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배터리에서 전류를 끌어쓰지 않는 휴지시간 동안에 전극에서 먼 전해질은 안정적으로 가까운 전해질 쪽으로 전자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더 많은 전하를 배터리에서 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방전률 효과 및 회복효과는 배터리의 사용시간 및 배터리 사용시간 연장을 위한 중요한 특성임을 알 수 있다.
회복효과란?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의 비선형적 방전 특성인 회복효과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예측할 때에는 배터리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 때문에 배터리를 계속 방전시키지 않고 중간에 쉬는 시간을 만들어주면 더 많은 에너지를 끌어낼 수 있는데 이를 회복효과라 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교대로 방전시킴으로서 기기의 전력 공급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터리 셀 일부를 쉬게 하여 회복효과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방전률 효과란? 그림 1은 같은 용량의 배터리에서 방전 전류에 따른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비교한 그림으로, 동일한 전력량이 충전되어 있더라도 방전 전류에 따라 방전 시간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4]-[6] 즉, 시스템이 끌어 쓰는 전류가 높아지면 배터리 사용시간이 줄어들고, 시스템이 끌어쓰는 전류가 낮아지면 배터리 사용 시간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방전률 효과 (rate capacity effect)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 Park, K. Jang, S. Woo, and J. Choi, "Design of a High-Resolution Integrating Sigma-Delta ADC for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Journal of IKEEE, vol. 16, no. 1, pp. 28-33, Jan. 2012. 

  2. C. Yim, J. Kim, and S. Park, "Synchronous Buck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Ripple Voltage for Mobile Applications", Journal of IKEEE, vol. 15, no. 4, pp. 319-323, Dec. 2011 

  3. J. Nam, J. choi, J. Baek, and H. Hwang, "A Study on Cell Equalizing of Secondary Battery", Proceeding of Power Electronics Annual Conference, pp. 143-145, Nov. 2006. 

  4. R. Rao, S. Vrudhula, and D. Rakhmatov, "Battery Models for Energy Aware System Design", IEEE Computer, vol. 36, pp. 1019-1030, Dec. 2003. 

  5. M. Doyle, and J. Newman, "Analysis of Capacity-Rate Data for Lithium Batteries Using Simplified Models of the Discharge Process", Journal of Applied Electrochemistry, vol. 27, no. 7, pp. 846-856, Jul. 1997. 

  6. F. Qin, M. H. Wahab, Y. Wang, and Y. Yang, "Battery Recovery Aware Sensor Networks", Proceedings of Symposium on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Mobile, Ad Hoc, and Wireless Networks, pp. 203-211, 2009. 

  7. Y. Jang and S. Lee,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Technology Using Recovery Effect", Journal of IEEK, vol. 48, no. 6, pp. 316-321, Jun. 2011. 

  8. T. Martin, "Balancing Batteries, Power, and Performance: System Issues in CPU Speed-Setting for Mobile Computing", PhD Thesis, Carnegie Mellon University,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