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지수 산정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Index Model of Work Type in Architectural Construction Work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2 no.6, 2007년, pp.63 - 68  

장성록 (부경대학교 안전공학부) ,  고성석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이종빈 (부경대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risk index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the risk index using Computing Model. For doing the objective, this research classified 22 work types in architectural construction work from the analysis Korean architectural stand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지수를 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14년 동안 건축공사에서 발생된 공종별 중대재해를 분석하고, 공종별 작업강도를 산출하기 위해 아파트 공사 세 곳을 조사하여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및 작업기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지수를 Table 2와 같이 도출하였다.
  • 단위로 지표가 발표되고 있다6). 기존의 위험도 평가 기법으로 체크리스트 기법, 결함수 기법 등과 같은 정 량적, 정성 적 평 가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경험이나 위험확률에 기초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제조업과 같이 반복되는 공정 에서나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의 공종별 위험지수를 구하기 위해 지난 14년(1992 ~2005년)“)간 건축공사에서 발생된 중대재해 사례와 각 공종별로투입된 작업인원 및 기간, 즉 작업강도를 고려한 위험지수 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건축공사의 공종별작업강도를 구하기 위해 연간 공사비 비중이 가장 높은 아파트 공사현장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心).
  •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지수를 구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건축 현장의 정성인 위험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건설관련 전문자의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AHP로 분석하여 공종별 위험지수를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푸집공사에서 커튼월 공사까지 22개의 공종에 대한 연간 작업투입인원 및 공사 기간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공사공종별 위험지수 산정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모델을 통해 나타난 공종별 위험지수 결과는 Table 2와 같이 나타났다.
  • 이처럼 실제 건설현장에서 존재하는 정성적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며 체계적인 분석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 공종별 작업 강도를 고려한 위 험지 수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AH頂를 이용해 도출된 위험지수의 결과mm와 본 연구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

가설 설정

  • ① H。(귀무가설) : Group 내의 공종별 위험지수가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재해통계, 2004-2005 

  2. 노동부, 산업재해현황, 2004-2005 

  3. 대한산업안전협회, 산업재해통계, 2004 

  4. 김동춘, 김화중, '철골공사 중대재해분석을 통한 위험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 제12호, pp. 217-224, 2001 

  5. 김용성, 이민우, 최순주, 이찬식, '건설공사의 위험지수 산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제2호, pp. 986-973, 1999 

  6. 이민우, 이찬식, '건설공사의 위험도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6권, 제5호, pp. 105-112, 2000 

  7. 노동부, 한국산업안전공단, '건설업 공종별 위험성 평가 모델', 2006 

  8. 이종빈, 노민래, 고성석, '재해사례분석을 통한 빌딩공사 재해 특성', 한국안전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101-107, 2004 

  9. 이종빈, 고성석, 장성록, '철근콘크리트조 건축공사의 공종별 위험성 평가', 한국안전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119-125, 2005 

  10. 고성석, 송혁, '정량화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빌딩공사 공종별 위험지수 산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1호, pp. 139-146, 2005 

  11. 노민래, 고성석, 이한민, 이종빈, '빌딩공사의 위험도 평가를 통한 위험지수 정량화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 2003 

  12. 건설교통부제정, 대한건축학회, '건축공사표준시방서', 2006 

  13. 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에 관한 지침', http://www.safetysite.co.kr/html/data1/etcs.htm, 1998 

  14. 한국산업안전공단, '건설 중대재해 사례와 대책', 1992-2004 

  15. 대한건설협회, 건설업통계연보, 2006 

  16. 성래경, SAS System과 SAS 언어, 자유아카데미,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