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젠더 이미지 표현
Expressions of Gender Images According to Sex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2 = no.111, 2007년, pp.143 - 154  

최나리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우주형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s purpose is how express gender image according to sex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This study's objectives are the women's magazine Vogue, Harper's Bazaar and man's magazine GQ, Esquire published 2000-2005 within the country. The photography was classified with established a stand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의 신체적 성에 따라 유지되어 왔던 복식의 차이가 20세기에 들어 젠더에 따라 나타나고 있음을 알고,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을 통해서 신체적 성과 젠더가 복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을 통해 본 성별에 따른 젠더이미지 표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 이래로 남성과 여성으로 유지되어 오던 성 개념이 복식을 통해 표현되고 있고 이것이 패션사진에 가장 잘 반영되고 있음을 알고 현대의 다양한 젠더 이미지가 복식에 어떠한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 신체적 성과 젠더가 복식에 미치는 영향을 패션사진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앞으로의 패션 디자인에 있어성 개념의 표현에 관한 인식을 새로이 하고 그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그 중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이란 기본적으로 잡지를 위한 패션사진으로서 잡지에 기사 내지 화보화 되어 게재되는 것을 전제로 촬영한 사진을 말한다.14)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은 다양한 잡지의 성격처럼 재미있는 기획과 충분한 상상력을 가지고 사진을 제작해야 한다.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은 저널과 매거진의 성격을 균형 있게 갖추어야 하고, 항상 독자들에게 흥미가 있는 주제를 선택해야 하며 독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도 전달해야 하고 시대를 앞서가는 시각적인 표현력으로 만든 멋진 이미지들을 독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을 즐겁게 혹은 경이롭게도 해야 한다.
  • 것은 불가능하다.18)몸을 가리더라도 얼굴만으로도 충분히 성을 구별할 수 있다. 그것은 남녀의 얼굴이 몸만큼이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이정민. Fashionbiz. 2006 년 2월호. p. 64 

  2. 채수진, 김혜연 (1999).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03 

  3. 조세현 (2000). 조세현 패션사진. 서울: 김영사. pp. 10-11 

  4. 윤가현 (1998). 성문화와 심리. 서울: 학지사. p. 17 

  5.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 (Gender)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p. 10 

  6.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 (Gender)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p. 8 

  7. 이민선 (1993). 복식에서 성의 가시적 불일치에 관한 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8. 김명자 (1991). 의상학총론. 서울: 학문사. p. 297 

  9. 정흥숙 (2002). 서양복식문화사(개정판). 서울: 교문사, p. 359 

  10. 정흥숙 (2002). 서양복식문화사(개정판). 서울: 교문사, p. 363 

  11. 채수진, 김혜연 (1999).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10 

  12. 현대패션 100년편찬위원회 (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 교문사. pp. 297-299 

  13. 김희정 (2003).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적 일탈 연구 - 196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p. 29 

  14. 조세현 (2000). 조세현 패션사진. 서울: 김영사. pp. 20-21 

  15. 김성민 (2005). 대중 잡지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이 독자들의 '몸' 이미지와 수용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사진학회지, 12, p. 157 

  16. 홍주표 (2002).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구성요소와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현대 사진영상학회논문집 5, pp. 64-65 

  17. 이민선 (1993). 복식에서 성의 가시적 불일치에 관한 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 

  18. 지그문트 프로이트. 김정일 역 (1996).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서울: 열린 책들. p. 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