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차원 타원형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복합재료의 열팽창 계수 연구
Study o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for Composites Containing 2-Dimensional Ellipsoidal Inclusion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1 no.2, 2007년, pp.160 - 167  

이기윤 (충남대학교 고분자 바이오재료공학과) ,  김경환 (충남대학교 고분자 바이오재료공학과) ,  정선경 (자동차부품연구소) ,  전형진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주상일 (충남대학교 고분자 바이오재료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하나의 좌표축과 하나의 종횡비$(\rho_\alpha=a_1/a_3)$를 갖는 2차원적 형태의 섬유 형태$(a_1>a_2=a_3)$ 그리고 디스크 형태$(a_1=a_2>a_3)$의 충전제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분석은 Eshelby의 equivalent 텐서의 일반적인 접근과 Lee와 Paul의 접근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 개발된 탄성 모듈러스의 전개 과정을 따른다. 배열된 등방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의 영향이 종횡비에 따라 조사되었다. 이 모델은 복합체를 해석하기 위해서 한쪽 방향으로 배열된 충전제이어야 하며, 균일한 물성의 기지재와 충전제가 완전한 결합을 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연구된다.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는 배열된 종단방향$(\alpha_{11})$과 횡단방향$(\alpha_{33})$으로 조사되었다. Chow와 Tandon 그리고 Weng이 발표한 에폭시 수지와 유리 섬유의 복합체의 재료특성 데이터로부터 종횡비에 따른 열팽창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길이 방향의 열팽창 계수 $\alpha_{11}$는 감소하여 충전제의 열팽창 계수에 접근한다. 그러나, 횡단방향의 열팽창 계수 $\alpha_{33}$는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충전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는 감소하여 충전제의 열팽창 계수에 수렴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the solutions predicting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composites including fiber-like shaped$(a_1>a_2=a_3)$ and disk-like shaped$(a_1=a_2>a_3)$ inclusions like two dimensional geometries, which was analyzed by one axis and a single asp...

주제어

참고문헌 (25)

  1. K. Y. Lee and D. R. Paul, Polymer, 46, 9064 (2005) 

  2. G. P. Tandon and G. J. Weng, Polym. Composite, 5, 327 (1984) 

  3. T. S. Chow, J. Polym. Sci., Polym. Phys. Ed., 16, 959 (1978) 

  4. T. S. Chow, J. Polym. Sci., Polym. Phys. Ed., 16, 967 (1978) 

  5. P. J. Yoon, T. D. Farnes, and D. R. Paul, Polymer, 43, 6727 (2002) 

  6. J. D. Eshelby, Proc. Roy. Soc. Lond., A241, 376 (1957) 

  7. T. Mori and K. Tanaka, Acta Metall., 21, 571(1963) 

  8. T, Mura, Micromechenics of Defects in Solids, 2nd Ed., The Hague, Martinus Nijhoff, p. 74 (1987) 

  9. R. Hill, J. Mech. Phys. Solids, 12, 199 (1964) 

  10. J. C. Halpin, Primer on Composite Materials Analysis, Technamic Pub. Ca. Inc., Lancaster, 1992 

  11. C. L. Tucker and E. Liang, Compos. Sci. Technol., 59, 655 (1999) 

  12. K. Wakashima, M. Otsuka, and S. Umekawa, J. Compos. Mater., 8, 391 (1974) 

  13. B. Yalcin and M. Cakmak, Polymer. 45, 6623 (2004) 

  14. Z. Hashin and B. W. Rosen, J. Appl. Mech., 31, 223 (1964) 

  15. T. W. Chou, S. Nomura, and M. Taya, J. Compos. Mater., 14, 178 (1980) 

  16. W. B. Russel, Appl. Math. Phys., 24, 581 (1973) 

  17. Y. Benveniste, Mech. Mater., 6, 147 (1987) 

  18. T. D. Fornes and D. R. Paul, Polymer, 44, 4993 (2003) 

  19. D. A. Brune and Bicerano, J. Polymer, 43, 369 (2002) 

  20. R. F. Gibbson, Principles of Composite Material Mechanics, McGraw-Hill, New York, 1994 

  21. R. Hill, J. Mech. Pbys. Solids, 11, 357 (1963) 

  22. J. E. Ashton, J. C. Halpin, and P. H. Petit, Primer on composite materials: analysis, Techomic Pub., Stamford & Conn., 1969 

  23. T. D. Fornes and D. R. Paul, Polymer, 44, 4993 (2003) 

  24. J. C. Halpin, J. Compos. Mater., 3, 732 (1969) 

  25. J. C. Halpin and N. J. Pagano, J. Compos. Mater., 3, 720 (19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