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염퇴적물 관리방향 및 처리공법
Management and Remediation Technologies of Contaminated Sediment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2 no.3, 2007년, pp.1 - 9  

김건하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정우혁 (대전발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질오염 총량제가 시행됨에 따라 깨끗한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오염퇴적물의 관리 및 처리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염퇴적물의 발생원과 오염퇴적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오염퇴적물의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오염퇴적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법으로 준설공법과 자연정화법, 현장고정화/안정화, 생물학적 현장처리, 화학적 현장처리 공법에 대하여 요약 제시하였다. 또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캡핑공법을 소개하고, 오염퇴적물 처리를 위한 복합공법의 적용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otal Maximum Daily Load program is being implemented, needs for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 are rising to attain cleaner water resources. In this paper, impacts and management methods of contaminated sediment were reviewed. Remediation technologies for contaminated se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오염된 퇴적물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처리할 수 있는 정화공법을 고찰,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 1993). 다양한 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유기점토는 보다 높은 안전율을 요구하는 캡핑을 설계할 때 유효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재료들을 조합함으로서 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견고한 캡핑을 설계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염퇴적물 정화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인 오염퇴적물 정화방법으로는 준설, 자연정화, 퇴적물 제거, 캡핑, 생물/화학적 처리, 고정/안정화 등이 있다. Fig.
미국에서 70년대 오염퇴적물 문제가 제기되어 관리가 수행되었음에도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했다고 평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미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부터 오염퇴적물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이에 대한 관리가 수행되었음에도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했다는 자체적인 평가가 있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 것은 오염퇴적물의 평가가 기형어류 발생, 오염에 강한 종의 출현, 특정 저서생물 종의 사멸 등의 생태학적인 현상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생태계 및 국민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근거로 설정된 정부차원의 퇴적물 평가기준이 부재하였다는 것이다(USEPA, 1998).
미 환경청에서 퇴적물 오염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2는 미환경청과 산하기관의 다단계 검사구조의 모형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미환경청에서 사용중인 방법은 퇴적물 오염현황 파악을 위한 스크린 단계에서부터 최종적인 유해성평가까지 각 단계마다 오염퇴적물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다단계 검사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각 단계마다의 검사방법을 표준화해야 한다는 어려움은 있으나 일단 완성되면 지역적 특성 및 관리 목적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고 평가에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건하, 200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s 참가기, 한국수자원학회지, 37(1), 104- 107 

  2. 김건하, 정우혁, 2005, 低泥 캡핑(Sediment Capping)을 활용한 오 염퇴적물의 효율적인 처리, 대한토목학회, 자연과 문명의 조화, 53, 122-127 

  3. 김건하, 정우혁, 최승희, 2006, 영가철(Fe0)을 이용한 퇴적물내 Atrazine의 탈염소화,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11, 33-40 

  4. 나유미, 2005, 호소퇴적물 인 용출 제어를 위한 현장 처리제 개발 및 모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박사학위논문 

  5. 안재환, 지재성, 배우근, 이미경, 2004, 준설퇴적물의 블록화를 위한 타당성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21(1), 43-49 

  6. 안재환, 김미경, 이미경, 황병기, 2005. 퇴적물 준설에 따른 수환 경 영향 예측 모의, 대한환경공학회지, 27(11), 1228-1237 

  7. 이성재, 배범한, 박규홍, 강성원, 황규대, 지재성, 2003, 준설퇴적 물 분류 및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전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25(1), 55-63 

  8. 이재수, 김영철, 황길순, 2003. 장마 전후의 농엽용 저수지 퇴적 물의 변화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3(4B), 359-368 

  9. 이창희, 유혜진. 1998. 호소 및 하천 오염퇴적물 관리방안,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 전상호, 김휘중, 1990, 경포호의 준설에 의한 수질개선가능성에 관하여, 한국지구과학회지, 11, 174-180 

  11. 조홍제, 이병호, 김정식, 이근배, 2002, 도시하천의 하상퇴적토 준설에 따른 수질변화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5, 137-148 

  12. Abrams, M.M. and Jarrell, W.M., 1995. Soil phosphorus as a potential nonpoint source for elevated stream phosphorus level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4, 132-138 

  13. Ali, M.B., Tripathi, R.D., Rai, U.N., Pal, A., and Singh S.P., 199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level of lake Nainital (U.P., India): Role of macrophytes and phytoplankton in biomonitoring and phytoremediation of toxic metal ions, Chemosphere, 39, 2171-2182 

  14. Andersson, G. Cronberg, G., and Gelin, C., 1973, Planktocin changes following the restoration of lake Trummen, Sweden, Ambio, 2, 44-47 

  15. Baudo, R., Giesy, J.P., and Muntau, H., 1990, Sediment: Chemistry and Toxicity of In-Place Pollutants. Lewis Publishers, Inc., Chelsea, MI 

  16. Brooks, K.M., Stierns, A.R., Mahnken, C.V.W., Blackburn, D.B., 2003, Chemical and biological remediation of the benthos near Atlantic salmon farms, Aquaculture, 219, 355-377 

  17. Cullinane, M.K., Jones, L.W., and Malone, P.G., 1986, Handbook for stabilization/solidification of hazardous waste, EPA/540/2-86 /001, Hazardous Waste Engineering Research Laboratory, Cincinnati, OH 

  18. Eggen, T. and Majcherczyk, A., 2006, Effects zero-valent iron (Fe0) and temperature on the transformation of DDT and its metabolites in lake sediment, Chemosphere, 62, 1116-1125 

  19. Hammerschmidt, C.R., Fitzgerald, W.F., Lamborg, C.H., Balcom, P.H., and Visscher, P.T., 2004, Biogeochemistry of methylmercury in sediments of Long Island Sound, Marine Chemistry, 90, 31-52 

  20. Hanson, M.J. and Stefan, H.G., 1984, Shallow lake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dredging. In: Proceeding of the 4th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Symposium Lake Watershed management, Notrh American lake Management Society 

  21. Jafvert, C.T. and Rogers, J.E., 1991, Biological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Great Lakes. EPA/600/9-91/001.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Athens, GA 

  22. Lensyl Urbano, Brian Waldron, Dan Larsen, Heather Shook, 2006, Groundwater-surfacewater interactions at the transition of an aquifer from unconfined to confined, Journal of Hydrology, 321, 200-212 

  23. Levitt, J.S., N'Guessan, A.L., Rapp, K.L., and Nyman, M.C., 2003, Remediation of $\alpha$ -methylnaphthalene-contaminated sediments using peroxy acid, Water Research, 37, 3016-3022 

  24. Myers, T.E. and Zappi, M.E., 1989, New Bedford Harbor Superfund project, Acushnet River estuary engineering feasibility study of dredging and dredged material disposal alternatives. In: Report No. 9, Laboratory-Scale Application of Solidification/ Stabilization Technology. Technical Report EL-8815. US Army Engineer Waterway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25. Mohan, R.K., Brown, M.P., and Barnes, C.R., 2000, Design criteria and theoretical basis for capping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Applied Ocean Research, 22, 85-93 

  26. Murphy, T.P., Hall, K.J., and Yesaki, I., 1983, Coprecipitation of phosphate with calcite in a naturally eutrophic lake, Limnology and Oceanography, 28, 58-69 

  27. N'Guessan, A.L., Levitt, J.S., and Nyman, M.C., 2004, Remediation of benzo(a) pyrene in contaminated sediments using peroxy- acid, Chemosphere, 55, 1413-1420 

  28. Palermo, M.R., 1998, Design considerations for in-situ capping of contaminated sediment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7(6-7), 315-321 

  29. Pokorn, J. and Haauser, V., 2002, The restoration of fish ponds in agricultural landscapes, Ecological Engineering, 18, 555-574 

  30. Robinson, B., Duwig, C., Bolan, N., Kannathasan, M., and Saravanan, A., 2003, Uptake of arsenic by New Zealand watercress (Lepidium sativum),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01, 67-73 

  31. Santschi, P., Honener, P., Beniot, G., and Buchholtz-ten-Brink, M., 1990, Marine Chemistry, 30, 269-315 

  32. Thoma, G.J., Reible, D.D., Valsaraj, K.T., and Thibodeaux, L.J., 1993, Efficiency of capping contaminated sediments in situ- 2:mathematics of diffusion-adsorption in the capping layer, Environment Science Technology, 27, 2412-2419 

  33. USEPA, 1985, Removal and Mitig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s., Cincinnati, Ohio 

  34. USEPA, 1998, EPA's Contaminated Sediment Management Strategy: Reinventing Government to Streamline Decision-Making http://www.epa.gov/ostwater/ cs/manage 

  35. USEPA, 1993, Selection remediation techniques for contaminated sediment, EPA/823/B93/001, U.S. Environmental Research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ion, DC. and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Cincinnati, OH 

  36. USEPA, 2005a, Contaminated Sediment Remediation Guidance for Hazardous Waste Sites, EPA/540/R/05/01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Solid Waste and Emergency Response 

  37. USEPA, 2005b, Assessment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s (ARCS) Program, EPA/905/B94/003, Great Lakes National Program Office, Chicago, IL 

  38. Walling, D.E., Russell, M.A., and Webb, B.W., 2001, Controls on the nutrient content of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by British rivers,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66, 113-123 

  39. Wang, S., Jin, X., Bu, Q., Zhou, X., and Wu, F., 2006, Effects of particle size, organic matter and ionic strength on the phosphate sorption in different trophic lake sediment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28, 95-105 

  40. Wang, X.Q., Thibodeaux, L.J., Valsaraj, K.T., and Reible, D.D., 1991, Efficiency of capping contaminated sediments in situ-1: laboratory scale experiments on diffusion-adsorption in the capping layer, Environment Science Technology, 25, 1578-1584 

  41. Zeeman, A.J., 1993, Subaqueous capping of contaminated sediment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31, 570-5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