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ish Oil의 첨가가 한우 거세우의 육성성적,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1, 2007년, pp.51 - 58  

박병기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  신종서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fish oil의 첨가가 한우거세우의 증체,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평균체중 440.8±32.4kg의 한우거세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fish oil을 첨가하지 않는 FO-0구와 fish oil을 3% 첨가하는 FO-3구의 2처리로 하였다.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fish oil의 첨가에 관계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Fish oil의 첨가는 배최장근의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최장근의 isoleucine 및 glycine 함량은 fish oil의 첨가로 감소되었으나(p<0.05), cystein 함량은 증가되었다(p<0.05). Fish oil의 첨가는 배최장근의 myristic acid 및 eicosenoic acid 함량은 감소시켰으나(p<0.05), oleic acidarachidonic acid 함량은 증가시켰다(p<0.05). 또한 배최장근의 EPADHA 함량은 fish oil의 첨가로 증가되었다(p<0.05).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육량지수 및 육량등급은 fish oil의 첨가에 관계없이 두 처리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육색은 fish oil의 첨가로 개선되었으며 (p<0.05),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는 fish oil의 첨가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한우거세우에 대한 fish oil의 첨가는 쇠고기의 지방산 중에서 풍미 및 기호성에 관여하는 oleic acid 함량, 인간의 건강과 관련이 있는 EPA 및 DHA 함량 및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enty Hanwoo steers (average body weight=440.8±32.4kg)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 was done with two treatment groups; FO-0, without fish oil and FO-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n-3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에너지를 함유하고있는 fish oil을 첨가 급여함으로서 쇠고기의 n-3 지방산 함량을 높임과 동시에 fish oil의 첨가가 한우 거세우의 증체, 배최장근의 조성 및 도체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fish oil의 첨가가 한우거세우의 증체,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평균체중 440.8±32.4 kg의 한우거세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fish oil을 첨가하지 않는 FO-0구와 fish oil을 3% 첨가하는 FO-3구의 2 처리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U.S.A 

  2. Ashes, J. R., Siebert, B. D., Gulati, S. K., Cuthbertson, A. Z. and Scott, T. W. 1992. Incorporation of n-3 fatty acids of fish oil into tissue and serum lipids of ruminants. Lipids. 27:629-631 

  3. Bourre, J. M. 2005. Where to find omega-3 fatty acids and how feeding animals with diet enriched in omega-3 fatty acids to increase nutritional value of derived products for human: what is actually useful? J. Nutr. Health Aging. 9:232-242 

  4. Calder, P. C. 1997.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cytokine production in health and disease. Ann. Nutr. Met. 41:203-234 

  5. Comerford, J. W., House, R. B., Harpster, H. W., Henning, W. R. and Cooper, J. B. 1992. Effects of forage and protein source on feedlot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Holstein and crossbred beef steers. J. Anim. Sci. 70:1022-1031 

  6. Dannenberger, D., Nuernberg, G., Scollan, N., Schabbel, W., Steinhart H., Ender K. and Nuernberg, K. 2004. Effect of diet on the deposition of n-3 fatty acids, conjugated linoleic and C18:1trans fatty acid isomers in muscle lipids of German Holstein bulls. J. Agric. Food Chem. 52:6607-6615 

  7. Department of health. 1994. Report on health and social subjects No. 46. Nutritional aspects of cardiovascular disease. London: HMSO 

  8. Folch, J., Lees, M. and Stanley, G. H. 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497-509 

  9. Gerster, H. 1995. The use of n-3 PUFAs (fish oil) in enteral nutrition. Int. J. Vit. Nutr. Res. 65:3-20 

  10. Kris-Etherton, P. M., Taylor, D. S., Yu-Poth, S., Huth, P., Moriarty, K., Fishell, V., Hargrove, R. L., Zhao, G. and Etherton, T. D. 2000.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food chain in the United States. Am. J. Clin. Nutr. 71(Suppl.):179S 

  11. Lorenz, S., Buettner, A., Ender, K., Nuernberg, G., Papstein, H. J., Schieberle, P. and Nuernberg, K. 2002. Influence of keeping system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longissimus muscle of bulls and odorants formed after pressuer-cooking Eur. Food Res. Technol. 214:112-118 

  12. Mandell, I. B., Buchanan-Smith, J. G., Holub, B. J. and Campbell, C. P. 1997. Effects of fish meal in beef cattle diet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J. Anim. Sci. 75:910-919 

  13. Mason, V. C., Bach, A. S. and Rudeom, M. 1980. Hydrolysate preparation for amino acids determinations in feed constituents. 3rd EAAP- Symposium on protein metabolism and nutrition. Braunchweig 

  14. .Mills, E. W., Comerford, J. W., Hollender, R., Harpster, H. W., House, B. and Henning, W. R. 1992. Meat composition and palatability of Holstein and beef steers as influenced by forage type and protein source. J. Anim. Sci. 70:2446-2451 

  15. Nicholson, J. W., Charmeley, G. E. and Bush, R. S. 1992. The effect of supplemental protein source on ammonia levels in rumen fluid and blood and intake of alfalfa silage by beef cattle. Can. J. Anim. Sci. 72:853-862 

  16. Ponnampalam, E. N., Trout, G. R., Sinclair, A. J., Egan, A. R. and Leury, B. J. 2001. Comparison of the color stability and lipid oxidative stability of fresh and vacuum packaged lamb muscle containing elevated omega-3 and omega-6 fatty acid levels from dietary manipulation. Meat Sci. 58:151-161 

  17. Rule, D. C., Busboom, J. R. and Kercher, C. J. 1994. Effect of dietary canola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bovine adipose tissue, muscle, kidney, and liver, J. Anim. Sci. 72:2735-2744. 

  18. Rule, D. C., Wu, W. H., Busboom, J. R., Hinds, F. C. and Kercher, C. J. 1989. Dietary canola seeds alter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ovin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Nutr. Rep. Int. 39:781-786 

  19. SAS. 1999.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Cary, NC, U.S.A 

  20. Scollan, N. D., Choi, N., Kurt, E., Fisher, A. V., Enser, M. and Wood, J. D. 2001. Manipulat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and adipose tissue in beef cattle. Br. J. Nutr. 85:115-124 

  21. Scott, T. W. and Ashes, J. R. 1993. Dietary lipids for ruminants: protection, utilization and effects on remodeling of skeletal muscle phospholipids. Australian J. Agric. Res. 44:495-508 

  22. Sturdivant, C. A., Lunt, D. K., Smith, G. C. and Smith, S. B. 1992. Fatty acid composition of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adipose tissues and M. longissimus dorsi of Wagyu cattle. Meat Sci. 32:449-458 

  23. Sukhija, P. S. and Palmquist, D. L. 1988.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otal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of feedstuffs and feces. J. Agric. Food Chem. 36:1202-1206 

  24. Wistuba, T. J., Kegley, E. B. and Apple, J. K. 2006. Influence of fish oil in finishing diet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cattle. J. Anim. Sci. 84:902-909 

  25. Wistuba, T. J., Kegley, E. B., Apple, J. K. and Davis, M. E. 2005. Influence of fish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and immune system characteristics of cattle. J. Anim. Sci. 83:1097-1101 

  26. Wood, J. D., Enser, M., Fisher, A. V., Nute, G. R., Richardson, R. I. and Sheard, P. R. 1999. Manipulating meat quality and composition. Proc. Nutr. Soc. 58:363-3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