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등 과학 교과서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 글의 언어 구조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Texts used in the unit of Volcano and Earthquake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1, 2010년, pp.36 - 50  

신명환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맹승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글의 구조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과학 교과서 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로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의 글을 선정하였으며, '텍스트 구성적 의미', '상호 관계적 의미', '내용과 논리 관계 의미'의 측면에서 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과서의 글은 학교급에 따라 글의 구조를 비롯한 언어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며,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이러한 글의 구조적 특징 차이에 의해서도 과학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생소하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또한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과학의 언어가 지니는 구조적 특징에 대한 과학 교사의 중재자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variation of the tex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t each grade level in terms of linguistic features. Data included some of the written texts related to 'Volcano and Earthquake'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글을 포함한 학문적인 글에서 나타나는 주제부와 설명부의 특정한 전개 구조는?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주제부와 설명부의 특정한 전개 구조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앞 절의설명부가 뒷 절의 주제부로 연결되는 패턴이 여러 번반복되는 지그재그 구조(Zig-Zag structure, Eggins, 2004)가 있다. 둘째, 앞의 여러 절에서 진술된 내용을 요약하여 명사구의 형태로 표현하는 명사화 구조(nominalization structure, Eggins, 2004)가 있다. 셋째, 앞 절의 설명부에 제시된 여러 개의 요소들을뒷 절의 주제부에 다시 등장시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다중 설명부 구조(Multiple-Rheme structure, Eggins, 2004)가 있다.
양태성이란? 다음으로 진술 내용에 대한 저자의 판단과 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양태성(modality) 분석을 실시하였다. 양태성이란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probability), 빈도성(usuality), 의무성(obligation)을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 것이다’, ‘~일지도 모른다’, ‘~일수 있다’와 같은 양태 동사(modal verb)와 ‘확실히’, ‘아마도’, ‘어쩌면’과 같은 양태 부사(modal adverb)를활용하여 저자가 진술 내용에 대한 판단과 태도를조절할 때 사용된다(Eggins, 2004; Halliday and Matthiessen, 2004). 예를 들어 ‘이것은 화산이다’라고 진술하는 경우는 저자가 진술 내용에 대해 단정적이고 확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지만, ‘이것은 화산 일지도 모른다’라고 진술하는 경우는 다소 비단정적 이고 불확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있다.
변이성이란? 글을 통해 어떤 내용이 전달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변이성(transitivity)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이성이란 인간의 경험이 언어의 문법적인 체계 속에 반영된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글에서 나타내고 있는 변이성을 분석하면 역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에서의 경험내용을 유추할 수 있다(맹승호, 2008; Eggins, 2004; Halliday and Matthiessen, 2004). 변이성 분석은 주로 각 절(clause)의 구성 요소인 참여자 (participant), 술어(verb process), 상황부(circumstance) 의 유형과 각 구성 요소들 간의 조합된 형태를 분석 하여 글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경험 내용을 해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범모 역, 2007, 언어학의 역사: 스토아학파부터 촘스키까지. 한국문화사, 서울, 437 p. 

  2. 맹승호, 2008, 수업 담화 장르에 기반한 광물과 암석 단원과학 수업의 양태 변화: 담화 리지스터와 언어 코드적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08 p. 

  3. 맹승호, 이정아, 김찬종, 2007, 지구과학 논문과 지구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과학 언어적 특성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367-378. 

  4. 오강호, 고영구, 윤석태, 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해양영역에 관련된 용어 및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76-585. 

  5.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정영근, 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631 p. 

  6. 이정아, 맹승호, 김혜리, 김찬종, 2007,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242-252. 

  7.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8,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832-847. 

  8. 정재훈, 1999, 체계.기능 언어 이론의 이해. 언어정보, 2, 219-257. 

  9. 정화숙, 박현숙, 임영진, 김자림, 2005,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등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영역에 대한 용어와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 196-208. 

  10. 최행임, 이효녕, 조현준, 2008,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용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 363-371. 

  11. Bloor, T. and Bloor, M., 2004, The functional analysis of English: A Hallidayan approach (2nd ed.). Arnold, London, UK, 315 p. 

  12. Darian, S., 2003, Understanding the language of science. University of Texas Press, Austin, USA, 248 p. 

  13.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Continuum, London, UK, 384 p. 

  14. Fang, Z., 2005,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9, 335-347. 

  15. Fang, Z., 2006, The language demands of science reading in middl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 491-520. 

  16. Fang, Z. and Schleppegrell, M.J., 2008, Reading in secondary content areas: A language-based pedagogy.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r, USA, 135 p. 

  17. Halliday, M.A.K. and Martin, J.R., 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ittsburgh, USA, 283 p. 

  18. Halliday, M.A.K. and Matthiessen, C.M.I.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Arnold, London, UK, 689 p. 

  19. Lemke, J.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J, USA, 261 p. 

  20. Martin, J.R. and Veel, R., 1998, Reading science: Crit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s on discourses of science. Routledge, London, UK, 368 p. 

  21. Martin, J.R. and Rose, D., 2003, Working with Discourse: Meaning beyond the clause. Continuum, London, UK, 293 p. 

  22. Reeves, C., 2005, The language of science. Routledge, NY, USA, 131 p. 

  23. Robins, R.H., 1997, A short history of Linguistics (4th ed.). Longman, NY, USA, 437 p. 

  24. Schleppegrell, M.J., 2004, The language of schooling: A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J, USA, 190 p. 

  25. Unsworth, L., 2001, Evaluating the language of different types of explanations in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585-609. 

  26. Vygotsky, L.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MA, USA, 159 p. 

  27. Wellington, J. and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 UK, 152 p. 

  28. Westby, C. and Torres-Velasquez, D., 2000,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A sociocultural approach.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1, 101-110. 

  29. Yore, L.D., Hand, B.M., and Florence, M.K., 2004, Scientists' views of science, models of writing, and science writing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 338-369. 

  30. Young, R.F. and Nguyen, H.T., 2002, Modes of meaning in high school science. Applied Linguistics, 23, 348-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