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과교육의 정체성 탐색 : 이미지와 성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Ident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Focusing on the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5 no.4 = no.230, 2007년, pp.1 - 16  

박미정 (신갈중학교) ,  채정현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dentity of home economics(HE) education by assessing perceptions of HE teacher, students, and general adults regarding the images and characteristics of HE education.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234 HE teachers, 505 students, and 264 general adults. Q...

주제어

참고문헌 (66)

  1. 고지영 (2003). 중국 조선족 정체성 변화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 곽노선 (2001). 기술. 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 학교장, 교육 전문직의 인식과 요구 및 관련 변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기순임, 채정현 (1998).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교육에 대한 견해와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5), 187-201 

  4. 김경미 (1993). 우리나라 가정학 본질 규명에 관련된 근본 개념들에 관한 분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교, 채정현 (2003). 중학생의 가정과교사 특성 지각과 가정과수업을 통한 인성적 도덕성. 대한가정학회지, 41(10), 57-73 

  6. 김승현, 정옥분 (1997). 제 6차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와 학습 만족도 및 주관적 학습 효과 연구.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9(2), 47-67 

  7. 김영나 (2003). 여자중학생의 당면 문제에 대한 가정교과 실천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용익, 정진현, 이춘식, 최명숙 (2001) . 지식기반 사회에서 초등학교 교원들에게 요구되는 기술적 교양에 기초한 초등 기술교육론 교재개발 연구. 연구보고 RR 2000-VI-2,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9. 김윤정 (2002). 제 7차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정명 (1997). 체육학의 정체성과 그 방법론에 관한 초방법론적인 고찰. 한국체육학회지, 36(4), 1-19 

  11. 김지혜 (2003). 고령화 사회의 '노년담론' 과 '노인의 정체성' 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김창환 (2005).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 교육철학, 제 33보, 7-22 

  13. 김항아 (1994). 우리나라 가정학의 당연 문제점과 그 역사적 . 철학적 배경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문수재 (1980). 인간 생태학과 가정학. 대한가정학회지, 18(4), 123-127 

  15. 박선영 (1999). 정보사회에서의 교육과 한국 문화의 정체성. 교육철학, 제 21보, 35-59 

  16. 박아청 (1998). 아이덴티티 論. 서울 : 교육과학사 

  17. 박아청 (2003). 정체감 연구의 전망과 과제. 서울 : 학지사 

  18. 박일록 (1997). 중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69-85 

  19. 박일록(1998). 중학교 남,녀 학생이 인식한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2), 29-42 

  20. 송은경 (1990).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의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송인자 (2003). 개화기 수신서에서의 성 정체성. 교육학연구, 41(2), 49-74 

  22. 신동순, 김상희, 오화자, 정효숙, 정혜경 (1997). 중학교 남녀 학생별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1), 71-82 

  23. 심영희 (1998).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정체성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심층 면접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17,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389-440 

  24. 왕석순 (2003) 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의 목표 규명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2), 79-99 

  25. 유석진 (1999). 정보통신혁명과 정체성 한국과 국제정치, 15(1), 131-155 

  26. 유지연 (1997). 실천적 문제 중심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식생활 내용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유태명 (1992). 교육과정의 국제적 비교-가정과 교육방향의 재조명을 위한 가정학 철학정립의 중대성-, 92년도 학술대회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43-59 

  28. 유태명 (2003)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가정과의 성격, 내용구조,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갖추어야할 소양에 대한 기초연구(I): 델파이 조사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0),149-171 

  29. 윤종건 (2002). 교사, 학생, 여선생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175 - 189 

  30. 윤지현 (1997). '가정생활' 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143-160 

  31. 윤형숙 (1998).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 정체성. 여성연구, 6, 목포대학교 여성문제 연구소. 69-92 

  32. 이경희 (1998). 21세 기 가정과교육의 발전방향. 교육연구 8(1), 강원대학교 교육연구소. 57-70 

  33. 이기열 (1987). 가정학의 전문성과 영역. 대한가정학회지, 25, 155-160 

  34. 이기훈 (1989). 중등학교에서의 교육방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89 학술대회자료집. 16-32 

  35. 이수희 (1999).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재개념주의 관점에 기초한 통합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이순영 (1999) . 30대 이혼여성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연숙(1995) . 가정과 교사의 중 . 고등학교 가정관리 교육내용에 대한 수업 요구도와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7(1), 81-95 

  38. 이연숙(2005) .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교과의 대안적 모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년 하계 학술대회 자료집. 77-93 

  39. 이영세 (1995). 가정학이 추구하는 가정의 안녕과 복지의 개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이은정 (2002) . 주부의 자아정체성의 위기와 극복과정-대구 . 경북 지역의 30대 중산층 주부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인희 (1987) . 가정과 교수법. 서울 : 수학사 

  42. 이종이 (1995)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이종이 (1997). 가정과교사의 가정과교육의 일반적 성격에 관한 인식과 관련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31-45 

  44. 이춘식 (2005) 실과(기술 . 가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기술 . 가정과 교육과정 분리에 대비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편 방향. 제2차 교육과정 포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년 8월 4일 

  45. 이춘식, 최유현, 유태명 (2001) 실과(기술 . 가정) 교육목표 및 내용체계 연구(1).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2001-2 

  46. 이학주 (2000). 의미변별법으로 측정한 교사의 자아상. 한국교사교육, 17(10), 183-205 

  47. 이혜정 (2002). 사회적 존재로 되어감의 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인류학연구, 5(2), 15 7 - 192 

  48. 장명욱(1981). 가정학원론. 서울 : 교문사 

  49. 정덕희 (1993). 구한말 개화기부터 8. 15광복까지 의 가정과 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정재삼, 금혜진 (2003).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쟁-학문적 정체성, 간학문성, 소프트 및 하드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과학연구, 34(2), 167 - 192 

  51. 정준영 (1998). 정체성 논의에 대한 Norbert Elias 의 문명화과정론의 사회학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정해숙 (2003). 중등 가정과 교육의 성격에 관한 성인지적 접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2), 56-66 

  53. 조용진 (2000). 가정교과의 자유교육적 성격. 중앙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54. 채정현 (1996). 가정과 교육과정 모형에 대한선호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8(1), 33-49 

  55. 채정현 (1998). 가정과교육과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1), 198-207 

  56. 최서희 (2003). 가정과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 탐색-인간생태학과 실천적비판과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최정혜 (2001). 중등 가정과 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등교육연구, 13집 ,135-158 

  58. 탁석산 (2000). 한국의 정체성. 서울 : 책세상문고 

  59. 한의수 (1983).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홍은화 (1995). 한국인의 정체성 연구 . 민족정체성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황익주 (2000). 유럽 통합의 진전과 아일랜드 민족 정제성의 변화: 인류학적 사례 연구. 국제. 지역 연구, 9(3), 123-143 

  62.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63. Brown. M. M.(l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Washington D.C. :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64. East. M.(1980). Home Economics - Past, Present, and Future. Boston: Allyn and Bacon, INC 

  65. Kotler. P.(1988). Marketing Management, 윤훈현 역. 서울 : 범한서적 

  66. Thomas. R. G.(1986). Alternative Views of Home Economics : Implications for K-12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4(2).162-1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