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0년대 한복에 나타난 배색 경향에 관한 연구 - 배색의 유형과 한복의 종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ation Trend of Hanbok in 2000's - Focused on Types of Coloration and Hanbok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4 = no.113, 2007년, pp.45 - 60  

이영혜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  강순제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racteristics of Hanbok's traditional coloration have been carried on, based on social/cultural background of the past. Today, Hanbok is classified as traditional Hanbok, improved Hanbok, living Hanbok. Their designs, materials and coloration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s study, first, we...

주제어

참고문헌 (36)

  1. 유희경 외 (1999) 한국 전통복식에 관한 소재 연구, 한국과학재단,p. 4 

  2. 소비시장의 양면성과 기업의 대응 (2002). CEO Information, 삼성 경제 연구소 

  3. 임원희 (2002) 한국전통복식의 배색 이미지, 건국대학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3 

  4. 이혜숙 외 (1998) 한복의 무늬배열 ? 무늬형태 . 의복색이 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생활과학연구지, 11. pp. 45-47 

  5. 조희래 (1995). 한국적 복식디자인을 위한 색동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p. 25 

  6. 김지언 (1995) 한국인의 녹색 상징의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7. 유희경 외 (1999). 한국 전통복식에 관한 소재 연구, 한국과학재단, p. 67 

  8. 김지언 (1995). 한국인의 녹색 상징의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9. 김영숙 (1988). 韓國 服節史에 나타난 傳統色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30-231 

  10. 유희경 외 (1999). 한국 전통복식에 관한 소재 연구, 한국과학재단, p. 83 

  11. 김영숙 (1988). 韓國 服節史에 나타난 傳統色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5 

  12. 김미진, 조우현 (2006). 한국 근대 서양화에 표현된 한복의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6(1), p. 5 

  13. 김지언 (1995) 한국인의 녹색 상징의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25 

  14. 김문영 (2005). 해외시장진출을 위한 한국전통색 활용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3 

  15. 유희경 외 (1999). 한국 전통복식에 관한 소재 연구, 한국과학재단, pp. 72-79 

  16. 유송옥 (2001) . 우리의 전통 예절, 문화재 보호재단. 계문사 

  17. 김순영 (2005).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자색계 색명 의 연상적 의미. 복식, 55(3), .pp 1-18 

  18.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74 

  19. 조효순 (1990). 服節, pp. 85-91, 대원사 

  20. 김미진, 조우현 (2006) 한국 근대 서양화에 표현된 한복의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pp. 1-12 

  21.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986).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 15, p. 56 

  22. 조효순 (1990). 服節, pp. 85-91 

  23. 김미진, 조우현 (2006). 한국 근대 서양화에 표현된 한복의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p. 11 

  24. 이현숙 (2006). 현대 한복의 장식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 

  25. 유혜경, 김찬주, 홍나영, 이주현 (2004). 복식학회 춘계 학술지, P. 53 

  26. The Color Coordination For Disigners (1990). KBS 한국색채연구소 

  27. 김순영, 남윤자 (2002). 조선후기와 현대의 여자한복 형태 비교. 복식, 52(5), pp. 61-77 

  28. 김장향, 함옥상 (1983) 韓服과 西洋服의 面分割에 따른 配色 感情效果에 관한 比較冊究. 과학논집, 5, p. 44 

  29. 강혜원, 고애란 (1991), 한복 및 한복의 선을 이용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5, pp. 12-15 

  30. The Color Coordination For Disigners (1990). KBS 한국색채연구소 

  31. 심화진 (1997). 중년여성의 생활사에 나타난 한복 착용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生活文化硏究. 11. pp. 115-133 

  32. 진솔 (2003), (2004 / 2005), (2005 / 2006) 

  33. A 꽃가마 (2005). 가을.겨울 생활한복 카탈로그 B 부흥사 (2005). 가을?겨울 생활한복 카탈로그 C 참멋. 2005 Autumn collection D 참멋. 2005 Spring collection E 韓服美人. 2005 Spring collection F 韓服美人. 2005 Autumn collection G 우리 의 옷 美A (2004). 다섯번째 H 천생연분. 2005 Spring Hanbok collection I 십장생 개량한복 (2002 / 2003) J 아씨 방. 2005 Fall/ Winter collection 

  34. A 꽃가마 (2005). B 부흥사 (2005), C 아씨 방 (2005). Fall/ Winter collection D 우리의 옷 美人 (2004), E 韓服美人 (2005), F 십장생 개량한복 (2002 / 2003) 

  35. 기쁜날은 우리옷 (2004). 신신세모시. 모시향기 (2005). 대광 우리옷 예나. 2005 SUMMER/HANBOK COLLECTION 

  36. A 우리 옷 다복사랑. 2005 B 서광실크 (장희빈 누비). 2005 / 2006 WINTER HANBOK COLLECTION C 십장생 개량한복 (2002 / 2003) D 우리옷 참멋 2004 / 2005 겨울 참멋 누비 E 우리의 옷 美人 (Z004), F 아씨 방(2005), G 꽃가마 (2005). 가을.겨울 생활한복 카탈로그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