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솔잎 발효액의 첨가에 의한 찐빵의 저장성 향상
Shelf Life Extension of Steamed Bread by the Addition of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Syrup as an Ingredi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5, 2007년, pp.616 - 621  

최동만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정순경 (창원전문대학 호텔제과제빵과) ,  이동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찐빵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제조시 솔잎발효액을 설탕 대용으로 사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발효하여 찐빵을 가공하였다. 솔잎 발효액의 양을 반죽의 가용성 고형분에 기준하여 밀가루 대비 8.3%, 11%, 18%로 첨가하여 반죽의 특성을 살펴보고, 제조된 찐빵의 저장 중 품질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를 포함한 처리구의 반죽은 pH $5.45{\sim}5.90$, 수분활성도 $0.94{\sim}0.96$의 범위를 유지하여 적절한 효모발효에 적당한 수준에 있었고 적절한 경도를 보여주었다. 솔잎 추출액의 첨가는 찐빵의 부피와 비용적을 20% 이상 증가시키는 데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솔잎 추출액이 많이 첨가되면 저장 중 찐빵의 경도 증가가 지연되어서 노화가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11% 이상의 함량으로 솔잎 추출액을 많이 첨가하면 관능적 품질에서 초기에 솔잎향으로 인하여 약간의 거부감이 있었으나, 저장 2일 후에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 솔잎 추출물이 첨가된 찐빵은 표면의 세균 및 곰팡이의 성장이 억제되어서(저장 4일에 대수값으로 $0.8{\sim}2.4$) 저장성 향상과 저장수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the storage stability of steamed bread,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syrup potentially with several functional properties was added in manufacturing the products at levels of 8.3, 11 and 18% based on Brix degree of the dough. The manufactured bread was stored at ambient cond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보고에서 밝혀진 솔잎의 항균 특성과 기능성을 찐빵에 이용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하였으며, 솔잎 성분이 첨가된 찐빵의 특성을 아울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ong ND, Rho YS, Kim NJ, Kim JS. 1990. A study on efficacy on Ulmi cortex. Korean J Pharmacogn 21: 217-222 

  2. Park CS, Kwon CJ, Chio MA, Park G, Choi KH. 2002.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ordyceps spp.,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ation 9: 102-108 

  3. Park CS. 1998.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380-385 

  4. Kim DW, Kim KS. 2003. Bread properties utilizing of extracts from Ulmus devidiana. Korean J Culinary Research 9: 1-10 

  5. Lee MJ, Kyung KH, Chang HG. 2004. Effect of mushroom (Lentinus Tuber-Regium) powde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37 

  6. Kim YS, Jeon SS, Jung ST. 2002. Effect of lotus root powder on the baking quality of white brea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413-425 

  7. Seo YH, Kim JH, Moon KD. 1998. Effects of Poria cocos powder addition on the baking properti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75-280 

  8. Choi OJ, Jung HS, Ko MS, Kim YD, Kang SK, Lee HC. 1999. Variation of residue and preference of bread with added flour of Angelica keiskei Koidz. during the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26-131 

  9. Kim EJ, Kim SM. 199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2-547 

  10. Park GS, Kim SJ, Park EJ. 2001. Physicochemical and texture of added Paecilomyaces japonica according to storage peri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85-497 

  11. Ha TY, Kim SH, Cho IJ, Lee HY. 2003. Effect of dietary fiber purified from Cassia tora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98-603 

  12. Lee YT, Chang HG. 2002. Effects of waxy and normal hull-less barley flours on bread ma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18-923 

  13.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Properties of dietary fiber extract from rice bran and application in bread 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02-508 

  14. Yoo YJ, Chang HG, Choi YS. 2005. Effect of defatted soy flou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301-310 

  15. Lee YH, Shin SH, Choi YS, Lee SY. 1996. Development of the health foods containing the extract from Pinus strobus leave. J Korean Soc Food Nutr 25: 379-389 

  16. Ryu IS, Oh NW. 1980. Bread b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varieties seen from their amino acid compos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05-208 

  17. Chung OK. 1981. A three way contribution of wheat flour lipids, shortening and surfactants to bread 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74-89 

  18. Kim SK. 1976. On bread staling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8: 185-190 

  19. Rhee C. 1983. A study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whole wheat bread-baking test of sheat variety 'cho-kw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215-219 

  20. Rhee C, Bae SH. 1982 Studies on bread-baking properties of naked barly flour and naked barley-wheat flour ble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70-374 

  21. 월간제과제빵. 2005. 제과제빵이론특강. 비엔씨 월드, 서울. p 34-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