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다시마 가공제품의 배변활동 개선 효과
Effects of the Products of Raw Sea Tangle on Chronic Idiopathic Constip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6, 2007년, pp.720 - 726  

오현경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현숙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다시마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가공제품이 배변활동과 장 내용물의 대장통과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지닌 연구대상자 32명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졌다. 이들 연구대상자를 8명씩 4개 실험군으로 나누어 2주간 1일 3회 식간에각각의 실험물질을 섭취하도록 하였고, 6주간의 휴지기간을둔 후, 다시 2주간 동일한 실험물질을 급여하였다. Control군은 150 mL의 생수를 3회 섭취하도록 하였고, +Control군은 생수 150 mL 이외에 생약 성분의 변비약을 취침 전에 1회복용하도록 하였으며, STT군은 생다시마차를 150 mL에 타서 3회 음용하도록 하였고, STB군은 150 mL로 포장된 생다시마음료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총 대장통과시간 측정은 방사능 비투과성 표지자($Kolomark^{TM}$)를 3일간 매일 아침에 섭취하도록 한 후 4일째에 단순 복부 엑스선 촬영을 하여구하였다. 본 실험결과, 연구대상자 스스로 판정한 자신의 배변활동은 생다시마차의 섭취로 변비가 개선되었다. 1차 실험에서 생다시마차의 섭취는 배변횟수증가, 배변시 힘주기 강도, 배변량 증가, 잔변감의 감소 및 주요 배변 시간대의개선 등 유의성 있는 효과를 보였다. 2차 실험에서는 비록 구체적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배변활동의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져 역시 배변활동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생다시마차의 배변활동 개선 효과는 생약제재의 변비약을 복용한 효과와 거의 같았다. 이외의 배변활동 항목인 대변의 굳기, 배변시 힘주기 및 배변 소요시간에 있어서도, 유의성은 없었으나 개선의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생다시마차가 생다시마 음료에 비해 변비 개선 효능이 좀 더 낮다고 판단된다.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의 총 대장통과시간은 +Control군만 1차와 2차 실험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예상했던 결과와 같으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식이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변비약이 결장의 운동기능을 향상시켜 장 내용물의 대장통과시간을 단축시킨 것이라고 해석된다. Control군은 1차 실험에서는 +Control군과 근사한 정도로 총 대장통과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2차 실험에서는 아무런 효과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생수의 음용 시 온도가 1차와 2차실험 간에 달랐기 때문이 아닌가 추측된다. 본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하루에 3회씩 냉장온도의 생수를 150 mL씩 섭취하는 것은 결장의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시판되는 변비약과 비슷한 정도라고 해석된다. 예상과는 달리 STT군과 STB군에서는 총 대장통과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는 배변활동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장통과시간의측정 방법이 갖는 제한점을 생각할 때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의 동 개선 효능은 인정된다. 생다시마차나 생다시마 음료도 1차 실험 때에는 차가운 상태로 음용했는바 차가운생수만큼 총 대장통과시간의 단축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점은 본 연구결과만으로는 해석하기 어렵다. 아마도 생수와 여러 물질의 혼합용액의 온도가 장에 끼치는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raw sea tangle products on idiopathic constipation. A total of thirty-eight women participated voluntarily in this study. They were placed into one of four groups by their total colonic transit time (TCTT) to make the four groups have the same TCT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다시마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가공제품이 배변 활동과 장 내용믈의 대장통과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지닌 연구대상자 32명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셨다.
  • 6주간의 휴지기간(wash-out) 을 두었다가 다시 2주간 각 싶험군에 동일한 싶험믈질을 급여하였다. 생수와 생다시마 옴료의 포장을 동일하게 하여 연구대상자들은 어떤 믈질을 섭취하는지 모르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상적인 식사와 생활은 통제하지 않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다시마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우선 다시마차와 다시마옴료의 시제품이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idaka H, Eida T, Takizawa T, Tashiro Y. 1986. Effect of fructo oligosaccharide on intestinal flora and human health. Bifidobacteria Microflora 5: 37-50 

  2. Kuda T, Fujii Shaheki T, Hasegawa A, Okuzumi M. 1992. Effects of brown algae on faecal flora of rats. Nippon Nogoeikagaku Kaishi 58: 307-314 

  3. Roe IW, Jung HC, Kim SY. 1990. Colonic transit time in chronic idiopathic constipation and diabetic constipation. Korean J Internal Med 39: 620-629 

  4. Cho YJ, Bang MA. 2004. Effects of dietary sea tangle on blood glucose, lipid and glutathione enzymes in streptozotoch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19: 419-428 

  5. Kim YY, Lee KW, Kim GB, Cho YJ. 2000.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J Kor Fish Soc 33: 393-398 

  6. Penman A, Sanderson GR. 1972.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sequence in alginates. Carbohydrate Res 25: 273-282 

  7. Haroun BF, Ellouali M, Sinquin C, Boisson VC. 2000. Relationship between sulfate groups and biological activates of fucans. Thrombosis Res 100: 453-459 

  8. Lee HS, Choi MS, Park SH, Kim YJ. 1996. A study on the develpoment of high-fiber supplements for the diabetic patients (1)-Effect of seaweed supplementation on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diabetic symptom contro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29: 286-295 

  9. Kim DS, Lim DJ, Moon SH, Suh HH, Park YI. 2004. Purification of fucoidan from Korean sea tangle (Laminaria religosa) and isolation of fucoidan degrading microorganism. Korean J Microbial Biotechnol 32: 362-365 

  10. Chiu KW, Fung AY. 1997. The cardivascular effects of green beans (Phaseous aureus), common rue (Ruta gravelens), and kelp (Laminaria japonica) in rats. Gen Pharmacol 29: 859-862 

  11. Nishino T, Yokoyama G, Dobashi K, Fujihara M, Nagumo T. 1989.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ructose-containing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the brown seaweed Ecklonia kurome and their blood- anticoagulant activities. Carbohydr Res 186: 119-129 

  12. Ushi T, Miauno T. 1980. Isolation of highly fucoidan from Eisenia bicycle and its anticoagulant and antitumor activities. Agric Biol Chem 44: 1965-1970 

  13. Jin DQ, Li G, Kim JS, Yong CS, Kim JA, Hun K. 2004. Preventive effects of Laminaria japonica aqueous extract on the oxidative stress and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ic rat liver. Biol Pharm Bull 27: 1037-1040 

  14. Roling E. 1985. Diet and constipation. J Family Practice 21: 337-338 

  15. Na HJ, Kim YN. 2000.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dietary fiber intake of 3rd grade high school girls. Korean J Nutr 33: 675-683 

  16. 해양수산통계연보. 2001. 해양수산부. p 1162 

  17. Kim JY, Kim OY, Yoo HJ, Kim TI. 2006. Effects of fiber supplements on functional constipition. Korean J Nutr 39: 35-43 

  18. Kim JE, Rhee PL, Kim YH, Kim JJ, Kho KC, Park SW, Rhee JC, Choi KW, Lim HK. 1999. The development of KolomarkTM a Korean radio-opaque marker for measuring colon transit time.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5: 136-139 

  19. Arhan P, Devroede G, Jehannin B. 1981. Segmental colonic transit time. Dis Colon Rectume 24: 624-629 

  20. Choi JY, Park HJ, Lee MS, Cho JS, Cho HS, Lee HR, Kim KW, Lee SI, Park IS. 1999. Contributing factors of colonic transit time in normal adults. Korean J Gastroenol 34: 330-337 

  21. Kim SH, Cho SS, Kim SS. 2004. Ver. SPSS 12K. SPSS Academy, Seoul 

  22. 박영수, 이동호. 2005. 변비의 치료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11(3): 51-57 

  23. Lee WJ, Lee JA, Choi WJ, Jeang SH. 2000. Postprandial colonic motor activity in chronic constipation. Korean J Gastroenterol 35: 326-3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