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식가 대용식(HMR) 선택 속성 분석
What's the consideration attribute on purchasing the HMR?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2 no.3, 2007년, pp.315 - 322  

정라나 (인하대학교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전공) ,  양일선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consumers seriously considered when purchasing HMRs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factor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adults in their twenties or older who had used HMRs and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건강편의식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Yang 등, 1998), 한국 대학생의 편의 식품에 대한 가치구조 평가 분석(Moon 등, 1999), 대학생들의 편의식 이용실태 조사(Kim & Jeong, 2002), take-out food 이용시 고려사항(Yu 등 2003)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가정식사 대용식(HMR) 구매시 소비자의 고려 속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식사 대용식(HMR)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과 용도에 따른 고려 속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식사 대용식(HMR)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을 조사하여,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및 용도에 따른 고려 속성 차이를 분석하고, 구매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려 속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osta AIA, Dekker M, Beumer RB, Rombouts FM, Jongen WMF. 2001. Consumer-orien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home meal replacemen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2: 229-242 

  2. Dade P. 1992. Trends in consumer tastes and preferences. In Denis C, Stringer M. Chilled foods: A comprehensive guide. Elis Horwool. Chickester, UK 

  3. De Boer M, McCarthy M, Cowan C, Ryan I. 2004. The influence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beliefs about convenience food on the demand for convenience foods in the Irish marke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5: 155-165 

  4. Jaeger SR, Meiselman HL. 2004. Perceptions of meal convenience: the case of at-home evening meals. Appetite, 42(3): 317-325 

  5. Kim HY, Jeong SJ. 2002. Dietar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Kangreung area on convenience food. Korean Journal of Society Food Cookery Science, 18(4): 440-447 

  6. Kim JY, Song HJ, Park SS. 2005. Segmentation of the Home Meal Replacement(HMR) Market by Lifestyle: The Case of S Department Store in Kan-Nam, Seoul.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8(2): 137-154 

  7. Lee HY, Chung L, Yang IS. 2005. Conceptualizing and prospecting for Home Meal Replacement(HMR) in Korea by Delphi technique. Korean J Nutrition, 38(3): 251-258 

  8. McHugh M, Greenan C, Kerrigan C. Withtman S. 1991. Food shopping and cooking cycles: 'Time' - A critical dimension. British Food Journal, 93(5): 12-16 

  9. Moon SJ, Yoon HJ, Kim JH, Lee-Kim YJ. 1999. A factor analysis on the walue system of convenience foods by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ety Food Science, 15(4): 327-337 

  10. Moomaw P. 1996. Home meal replacement finds its place at the table. Restaurant USA, Nov. http://www.restaurant.org /rusa/magArticle.cfm?ArticleID220. [Accessed the 6th of December, 2005] 

  11. Morris CE. 1998. HMRs challenge manufacturers. Food Engineering, 70(5): 67-72 

  12. Nam HJ. 2003. Study on Foodservice Industry from the Aspects of Consumer Choice Theory. Yonsei University, pp 29-32 

  13. Namgoong S. 1995. A Study on the Eating Out Behavior of Residents in the Seoul Area.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5(1):75-86 

  14. Pearson JM, Capps Jr. O, Gassman C, Axelson J. 1985. Degree-ofreadiness classification system for foods: development, testing and us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and Home Economics, 9(12): 133-145 

  15. Pepper AW. 1980. The relationship between fast food and convenience foods definitions and developmen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and Home Economics, 4(3): 249-255 

  16. Ritson C, Hutchins R. 1995. Food choice and the demand for food. In Marshall DW. Food choice and the consumer. Cambridge: Chapman & Hall 

  17. Sloan AE. 1997. What's cooking? Food Technology, 51(9):32 

  18. Solganik H. 1997. Making sense of HMR. Food Processing-USA, 58(7): 62 

  19. Yang IS, Lee JM, Lee YE, Yoon S. 1998. Trends and feasibility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of Korean food industry. Korean Journal of Dietary Culture, 13(3): 215-225 

  20. Yu SE, Han YS, Joo NM. 2003. A study on the take-out food usage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some regions in Gyenggi-do. Korean Journal of Society Food Cookery Science, 19(5): 546-5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