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육부산물을 주재료로한 복합즉석조리식품의 안전성 연구
A Study on Safety of Ready-to-eat Compound Foods with a By-products of Meat as the Base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2 no.2, 2007년, pp.82 - 87  

송성민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길봉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명희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정지열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황원무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윤가리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선회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고종명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용희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인천관내에 유통 중인 식육부산물을 이용한 복합즉석조리 제품 총 51건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검사하였다. 주재료인 식육부산물은 납, 카드뮴, 수은 등 유해중금속 3종의 함량과 발생빈도가 높은 식중독균 9종의 오염여부를 조사하였다. 곱창전골의 주재료인 곱창의 경우는 잔류 ABS도 검사하였다. 복합즉석조리 식품에 포함되어있는 소스류는 대장균군을, 야채류는 잔류농약을 검사하였다. 유해중금속 검사 결과 제품 유형별로 납 $0.073{\sim}0.112ppm$, 카드뮴 $0.006{\sim}0.013ppm$, 수은 $0.746{\sim}0.978ppb$로 조사되어 외국이나 우리나라의 일반식품에 대한 허용기준 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곱창에 대하여 잔류 ABS를 검사한 결과 $0.8ppm{\sim}57.6ppm$(평균 10.3 ppm)이 검출되었다. 식품에 대한 ABS의 허용기준이 정해진 것은 없으나 먹는 물의 허용기준이 0.5ppm인 것과 비교하면 곱창에서 검출되는 ABS의 평균값은 먹는물의 20배를 초과한 수치이다. 식중독균의 오염여부를 조사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가 전체 51건 중에서 11건이 분리되어 21.6%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냈다. Salmonella spp.는 1건(2.0%)이 검출되었고, Clostridium perfringens는 3건(5.9%)이었다. 제품 유형별로는 곱착전골에 들어있는 곱창 34건 중 12건에서 식중독균이 분리되어 35.3%의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부대찌개의 주재료인 햄과 소시지는 25%(2/8), 기타 식육부산물 재료는 20%(1/5)의 검출율을 나타냈다. 선지찌개 중의 선지에서는 식중독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소스류에서 검출된 대장균군은 28.4%(27/95)의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부재료인 야채류의 잔류농약 검사 결과 총 45건의 시료중 4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는데, 클로로타로닐 2.8 ppm, EPN 10.3 ppm, 클로로피리포스 0.4 ppm, 인독사카브 0.7 ppm이었다. 콩나물 33건에서 켑탄과 카벤다짐을 분석한 결과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결과 시판되고 있는 식육부산물을 이용한 복합즉석 조리 식품은 위생상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온 해결하기 위해 현재보다 폭넓고 광범위한 검사가 필요할 것이며, 국민이 안심하고 선택해서 먹을 수 있는 식육부산물을 이용한 복합즉석조리 식품의 생산을 위한 기준과 규격의 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hazards of Ready-to-eat(RTE) compound foods which uses the by-product of meat. For this experiment, 51 samples of RTE compound foods in by-product of meat distributed in Incheon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were tested. Th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합즉석조리 식품의 경우 한 제품에 여러 가지 품목을 가지고 있어 각각의 품목에 대해 제품규격을 적용해야 하나 현재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3). 이에본 연구에서는 식 육부산물을 이 용한 복합즉석조리 식품의주재료인 식육부산물에서 중금속과 식중독균 9종을, 소스류는 대장균군을, 야채류는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특히 식육부산물 중 곱창에서는 세제(ABS) 검사를 통해 복합즉석조리 식품의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4,5,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곽동경, 이성애, 김성희 : 할인매장에서 판매되는 즉석조 리식품의 조리공정분류에 따른 중요관리점 설정, 연세인간생태학회지, 15, 39-48 (2001) 

  2. Na-Young Lee, Cheorun Jo, H. J. Kang, S. P. Hong, Y. H. Kim, K. H. Lee : Microbiological and Mutagenical Safety Evaluation of Gamma Irradiated Read-to-Eat Foods of Animal Orig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13-19 (2005)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규격 외 식품 및 즉석섭취편의식품의 위생 강화 방안연구 (2005) 

  4. E. Borch and P. Arinder : Bacteriological safety issues in red meat and read-to-eat meat products, as well as control measures, Meat Science, 62, 381-390 (2002) 

  5. R. J. Meldrum, R.M.M. Smith, P. Ellis, J. Garside :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ndoy selected ready-to-eat foods sampled between 2003 and 2005 in Wales, UK, Int. J. Food. Microbiology, 108, 397-400 (2006) 

  6. I-sanna Gibbons, Abiodun Adesiyun, Nadira Seepersadsingh, Saed Rahaman : Investigation for possible sources of contamination of ready-to-eat meat products with Listeria spp. and other pathogens in a meat processing plant in Trinidad, Food Microbiology, 23, 359-366 (2006) 

  7.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2005) 

  8. 환경부, 먹는물 수질공정 시험방법, 97-99 (2005) 

  9. Hyang-Mi Park, S. J. Kim, B. W. Sohn : A Study on the Level of Trace Elements in Livestock Products, Korean J. Vet. Serv., 13, 1-20 (1990) 

  10. Ji-Hun Jung, L. H. Hwang, E. S. Yun, H. J. Kim, I. K. Han : A Study on the contents of the heavy metal in meat and meat products, Korean J. Vet. Serv., 22, 1-7 (1999) 

  11. Hyo Jung Kim : Acute Toxicity of Surfactants LAS-Na and MES in mice, Kor. J. Food. Hygiene, 8, 163-169 (1993) 

  12. Soon-Nyn Hwang : A study on the Residual Surfactants and Microbial Contaminants on Stainless dish, Kor. J. Food. Hygiene, 8, 241-249 (1993) 

  13. 박종현, 박대우, 김종신 : 복합조리식품 제조공정상의 미 생물학적 위해관리, 식품과학과 산업 6월호, 4-17 (2003) 

  14. Gyung-Jin Bahk, S. J. Chun, K. H. Park, C. H. Hong, J. W. Kim :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h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Kor. J. Food. Hygiene, 18, 139-145 (2003) 

  15. Young-Suk Oh, Shin-Ho Lee : Hygienic Quality of Beef and Distribution of Pathogen during Cut-Meat Processing, Kor. J. Food. Hygiene, 16, 96-102 (2001) 

  16. 정소영외 19명 : 시중 유통농산물 중 농약잔류실태연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보, 97-108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