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환자의 불안 정도와 불안에 영향하는 요인 분석
Patients' Anxiety in Intensive Care Units and Its Related Factor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4, 2007년, pp.586 - 593  

고진강 (워싱턴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patients' anxiety in the ICU and to investigate related factors on the anxiety level. Methods: An exploratory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Forty-eight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asked to patients who had b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환자들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사들의 중재는 환자들의 질병 치유에 중요한 관건이 된다. 궁극적으로, 간호사가 중환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하여 명확하게 이해할 때 성공적인 중환자 간호에 대한 기대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들의 불안 정도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횡단면적 설문조사방법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들의 불안 정도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인구학 및 임상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환자가 경험하는 불안과 그 관련 요인을 논의의 중심에 두고 있는 본연구는 중환자가 경험하는 불안에 대하여 의료인들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성공적인 중환자 간호를 위한 기반 지식의 축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중환자의 불안을 중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대연구로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들의 불안 수준에 대해 파악하고, 불안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불안점수 평균은 5.

가설 설정

  • .중환자의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입원일수에 따라 불안이 증가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불안 정도의 변화에도 관심을 가지고 관찰해야 한다 특히, 심장계 중 환자실 환자의 경우 다른 중환자실 환자들보다 더 큰 불안을 느낄 수 있으므로, 더욱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ker, F., Denniston, M., Zabora, J., Polland, A., & Dudley, W. N. (2002). A POMS short form for cancer patients: Psychometric and structural evaluation. Psychooncology, 11 , 273-281 

  2. Coyle, M. A. (2001). Transfer anxiety: Preparing to leave intensive care. Intensive Crit Care Nurs, 17(3), 138-143 

  3. Csaba, B. M. (2006). Anxiety as an independent cardiovascular risk. Abstract. Neuropsychopharmacol Hung, 8(1), 5-11 

  4. Eddleston, J. M., White, P., & Guthrie, E. (2000). Survival, morbidity, and quality of life after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Crit Care Med, 28, 2293-2299 

  5. Greifzu, S. (2002). Caring for the chronically critically ill. RN, 65(7), 42-46 

  6. Kang, M. J. (1997). The study of the state anxiety and anxiety factors of lCU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7. Kiecolt-Glaser, J. K., Marucha, P. T., Malarkey, W. B., Mercado, A. M., & Glaser, R. (1995). Slowing of wound healing by psychological stress. Lancet, 346(8984), 1194-1196 

  8. Legault, S. E., Joffe, R. T., & Armstrong, P. W. (1992). Psychiatric morbidity during the early phase of coronary care for myocardial infarction: Association with cardiac diagnosis and outcomes. Can J Psychiatry, 37(5), 316-325 

  9. Li, D. T., & Puntillo, K. (2006). A pilot study on coexisting symptoms in intensive care patients. Appl Nurs Res, 19(4), 216-219 

  10. McKinley, S., Stein-Parbury, J., Chehelnabi, A., & Lovas, J. (2004). Assessment of anxiety in intensive care patients by using the faces anxiety scale. Am J Crit Care, 13(2), 146-152 

  11. Merriam- Webster Medical Dictionary (2005). Merriam-Webster Medical Dictionary. Retrieved March 28, 2007, from http://www2.merriam-webster.com.offcampus.lib.washington.edu/cgi-bin/mwmednlm?book Medical&vaanxiety 

  12. Moser, D. K., & Dracup, K. (1996). Is anxiety early after myocardial infarction associated with subsequent and arrhythmic events? Psychosom Med, 58, 395-401 

  13. Rattray, J. E., Johnston, M., & Wildsmith, J. A. W. (2005). Predictors of emotional outcomes of intensive care. Anaesthesia, 60, 1085-1092 

  14. Rincon, H. G., Granados, M., Unutzer, J., Gomez, M., Duran, R., Badiel, M., Salas, C., Martinex, J., Mejia, J., Ordonez, C., Florez, N., Rosso, F., & Echeverri, P.. (2001). Prevalence, detection and treatment of anxiety, depression, and delirium in the adult critical care units. Psychosomatics, 42(5), 391-396 

  15. Sanders, K. M., & Cassem, E. H. (1993). Psychiatric complications in the critically ill cardiac patient. Tex Heart Inst J, 20, 180-187 

  16. Stein-Parbury, J., & McKinley, S. (2000). Patients' experiences of being in an intensive care unit: a select literature review. Am J Crit Care, 9(1), 20-27 

  17. Sukantarat, K., Greer, S., Brett, S., & Williamson, R. (2007).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quelae of critical illness. Br J Health Psychol, 12, 65-74 

  18. Thomas, L. A. (2003). Clinical management of stressors perceived by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AACN Clin Issues, 14(1), 73-81 

  19. Yoon, J. H., & Kwon, H. J. (2002). The effect of family visits on physiologic responses and anxiety of ischemic heart disease patients in the coronary care unit. Chung-Ang Kanho Nonmunjip, 6(1), 61-72 

  20. Zeller, J. M., McCain, N. L., & Swanson, B. (1996). Psychoneuroimmunology: An emerging framework for nursing research. J Adv Nurs, 23(4), 657-66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