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내과계중환자실에서 72시간 이상 장기간 기계 환기를 받은 환자들의 자료가 부족하여 기저질환별, 기계 환기가 필요했던 원인질환별로 장기 예후를 관찰하며, 또한 1년째에는 삶의 질 평가를 같이 수행하여 이 환자들의 삶의 질 상태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 내과계중환자실에서 72시간 이상 기계 환기치료를 받은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1, 3, 6, 12, 24, 36개월 생존율을 전향적으로 관찰하고 1년 생존자를 대상으로 Short Form 36(SF-36)을 이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들의 1개월 생존율은 54.8%(40/73), 3개월 생존율은 39.7%(29/73), 6개월 생존율은 30.1%(22/73), 12개월 생존율은 20.5%(15/73), 24개월 생존율은 18.3%(13/71), 그리고 36개월 생존율은 16.9%(12/71)이었다. 3년간 생존율은 기계 환기가 필요했던 원인질환별로는 차이가 없었고, 기저질환별로는 신생물 또는 만성간질환이 만성폐질환이나 만성신장질환에 비해 예후가 불량하였다(p<0.05). SF-36을 이용한 삶의 질 평가에서 정상 대조군과 비교 시 정신적 건강영역에서 Role limiting due to emotional problem을 제외하고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결 론: 한 대학병원 내과계중환자실에서 72시간이상 장기간 기계 환기를 받은 환자들의 3년간 생존율은 낮았으며, 12개월까지 지속적으로 낮아지나 12개월부터 36개월까지는 유지되었다. 1년 시점에서 삶의 질 평가 시 이 환자들의 삶의 질 상태가 낮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re is little data on the 3 year prognosis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on long-term (>72 hour) mechanical ventilation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Methods: Patients with long-term mechanical ventilation from May 2003 through July 2003 in MICU of Asan Medical Center, S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의 한 대학병원 내과계중환자실에서 72시간 이상 장기간 기계 환기를 받은 환자들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기저질환별, 기계 환기 적응증별로 1, 3, 6, 12, 24, 36개월째 예후를 관찰하여 예후 판정에 적절한 시점을 보고자 하였으며, 1년째에는 이 환자들의 삶의 질 상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naus WA, Wagner DP, Zimmerman JE, Draper EA. Variations in mortality and length of stay in intensive care units. Ann Intern Med 1993;118:753-61 

  2. Thomsen GE, Morris AH. Incidence of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the State of Utah.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2:965-71 

  3. Connors AF, Dawson NV, Thomas C, Harrell FE, Desbiens N, Fulkerson WJ, et al. Outcomes following acute exacerbation of severe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154:959-67 

  4. Pontoppidan, H, Geffin B, Lowenstein E.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the adult. N Engl J Med 1972;287:799-806 

  5. Douglas SL, Daly BJ, Gordon N, Brennan PF.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short-term versus longterm ventilator patients. Crit Care Med 2002;30: 2655-62 

  6. Eddleston JM, White P, Guthrie E. Survival, morbidity, and quality of life after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Crit Care Med 2000;28:2293-9 

  7. Djaiani G, Ridley S. Outcome of intensive care in the elderly. Anaesthesia 1997;52:1130-6 

  8. Hurel D, Loirat P, Saulnier F, Nicolas F, Brivet F. Quality of life 6 months after intensive care: Results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using a generic health status scale and a satisfaction scale. Intensive Care Med 1997;23:331-7 

  9. Konopad E, Noseworthy TW, Johnston R, Shustack A, Grace M. Quality of life measures before and one year after admission to an intensive care unit. Crit Care Med 1995;23:1653-9 

  10. Dragsted L, Qvist J, Madsen M. Outcome from intensive care. IV. A 5-year study of 1308 patients: long-term outcome. Eur J Anaesthesiol 1990;7:51-62 

  11. Heyland DK, Cook DJ, Griffith L, Keenan SP, Brun-Buisson C. The attributable morbidity and mortality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159:1249-56 

  12. Angus DC, Linde-Zwirble WT, Lidicker J, Clermont G, Carcillo J, Pinsky MR. Epidemiology of severe sepsis in the United States: Analysis of incidence, outcome, and associated costs of care. Crit Care Med 2001;29:1303-10 

  13. Vincent JL, Sakr Y, Ranieri VM. Epidemiology and outcome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Crit Care Med 2003;31:S296-99 

  14. Nam BH, Lee SW. Tes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SF-36 health survey. J Korean Soc Health Stat 2003;28:3-24 

  15. Ware JE. SF-36 health survey. Manual & Interpretation Guide. Boston, MA: Quality Metric, Inc.; 1993 

  16. Cha BS, Koh SB, Chang SJ, Park JK, Kang MG. The assessment of worker's health status by SF-36. Korean J Occup Med 1998;10:9-19 

  17. Herridge MS, Cheung AM, Tansey CM, Matte-Martyn A, Diaz-Granados N, Al-Saidi F, et al. One year outcomes in survivors of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 Engl J Med 2003;348:683-93 

  18. Davidson TA, Caldwell ES, Curtis JR, Hudson LD, Steinberg KP. Reduced quality of life in survivors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mpared with critically ill control patients. JAMA 1999;281:354-60 

  19. Chatila W, Kreimer D, Criner G. Quality of life in survivors of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Crit Care Med 2001;29:737-42 

  20. Niskanen M, Ruokonen E, Takala J, Rissanen P, Kari A. Quality of life after prolonged intensive care. Crit Care Med 1999;27:1132-9 

  21. Engoren M, Buderer NF, Zacharias A. Long term survival and health status after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after cardiac surgery. Crit Care Med 2000;28:2742-9 

  22. Garratt A, Schmidt L, Mackintosh A, Fitzpatrick R. Quality of life measurement: bibliographic study of patient assessed health outcome measures. BMJ 2002;324:1417-21 

  23. Chrispin PS, Scotton H, Rodgers J, Lloyd D, Ridley SA. Short Form 36 in the intensive care unit: Assessment of accepta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Anaesthesia 1997;52:15-23 

  24. Ware JE,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1992;30: 473-83 

  25. McHorney CA, Ware JE, Raczek A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I. Psychometric and clinical tests of validity in measur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structs. Med Care 1993;31:247-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