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5, 2007년, pp.810 - 821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강은희 (동아대학교 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job stress and coping of ICU Nurses. Method: Data was accumulated from 206 ICU nurses serving at least more than one year in 500 bed order hospitals during the period of three months from June1, to August 30, 2006. Results: The average job stress was $2.96{\p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Han과 Oh(1990)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문제중심적 대처, 긍정적 관점 대처, 사회적 지지 탐색적 대처, 희망적 대처, 무관심 대처 및 긴장해소 대처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중환자실 간호사들로 하여금 스트레스 상황에 적절한 대처전략을 사용하는지를 탐색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직무 수행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보다 긍정적이고 적절한 대처를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06년 6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3개월간부산광역시 소재 500병상 이상의 진료기관의 중환자실에서 1 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206명이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직무 수행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처전략을 향상시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환경, 병원행정 및병동관리, 대인관계, 간호직무로 평균 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가 직무 수행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영역별로 파악하여 보다 긍정적이고 적절한 대처를 사용하여 중환자 간호의 질을 높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설계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직무 수행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보다 긍정적이고 적절한 대처를 사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과 직무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표에서 제외하였으며, 근무특성 중 업무량 만족도(F=17.366, p= .000), 인간관계 만족도 (F=3.589, p= .008), 그만두고 싶은 충동(t=4.776, p= .000), 그만두고 싶은 충동 느끼는 이유(F=3.398, p= .006), 종사 예정기간(F= 2.846, p= .039), 교육의 양 정도(F= 8.932, p= .000)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그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500병상 이상 대형병원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영역별로 어느 정도인지 어떤 대처를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가 받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적절한 대처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중환자 간호의 질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e, H. S. (1998). A comparative research in nurses' job stress in general ward and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hi University, Seoul 

  2. Gil, S. G. (200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business satisfaction of nurses examining medical Insur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ae University, Pusan 

  3. Gurses, Ayse Pinar. (2005). Performance obstacles and facilitators, workload, quality of working life, and quality and safety of care among intensive care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Wisconsin, USA 

  4. Han, G. S., Kim, N. S., Kim, J. H., Lee, G. M., & Im, S. (2004). The causes of nurses' job stress. J Korean Acad Nurs, 34(7), 1307-1314 

  5. Han, J. S., & O, G. S. (1990). The relation among everyday occurences from stress, the Issue of health, the countermeasures and social support-targeting the youth. J Korean Acad Nurs, 20(3), 414-429 

  6. Jo, G. S. (1997). The relation among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the coping mode. the extent of social support and the symptoms of stress,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7. Jo, H. S. (2001). The cause of nurses' job stress and the coping sche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University, Jinju 

  8. Jennifer, M. F. (1999). The effects of chronic exposure to stresses on the intensive care n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Alameda 

  9. Jeon, S. H. (2004). A research in the job stress and the burnout experiences of nurses examining medical insur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Gwangju 

  10. Kim, G. J. (1991). A serious care and role of nurse. Life Nurse. 9. 44-45 

  11. Kim, B. S. (2000). Clinical nurses' job stress, coping method and business satisfaction. Jungang Collection of Nursing Papers, 2(2), 17-34 

  12. Kim, Y. T. (1989). The relation between the cause of nurses' job stres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Kim, E. H. (1996). A research in clinical nurses' job stress. J Nurs Science, 8(2), 151-165 

  14. Kim, M. H. (1997). The degree of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ducational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eoul 

  15. Kim, J. H. (2001).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the reaction Mode. Unpublished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Kim, E. J. (2002). The relation between burnout experiences and business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eonghi University, Seoul 

  17. Kim, H. S. (1993). Clinical nurses' burnout experiences and the reaction mo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Kim, S. J. (2003). The cause of stress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and the degree of adap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19. Kristina Berg. (2002).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ints in Norwa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acific Lutheran University, Tacoma, Washington, USA 

  20.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 Co 

  21. Lee, I. S. (1996). A research i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in some private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22. Lee, H. S. (2000).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hi University, Seoul 

  23. Lee, G. M. (2003).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Gwangju 

  24. Mun, K. W. (2003).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the coping mo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5. Park, H. S. (2002).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method of nurses examining medical insur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6. Schuler, R. S. (1980). Definition conceptualizations of stress in organiz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 184-215 

  27. Shin, H. S. (2003). The stress and the coping mode of nurses caring for burnt c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im University, Chunche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