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 요통환자들의 재활운동이 요부 근기능과 통증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on Lumbar Muscle Function and Pain Relife for the Middle-Aged Women with Low Back Pain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7 no.3, 2007년, pp.155 - 164  

한길수 (건국대학교) ,  이광수 (순천향대학교) ,  김영순 (서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ing on lumbar extension strength and relief of back pain in middle-aged women of low back pain. Twenty-nine subjects(total 29 people; CLBP 16, HLD 13) were trained twice per week for eight weeks and completed a maximum isometric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척추 재활운동 프로그램은 수술을 받은 요추 간판탈출증 수술환자나 수술을 받지 않은 만성요통환자 모두에게 중요하며 필수적이라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평균 연령이 40∼55세의 중년여성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허리 주변조직에 손상을 준 후 4 주간 침상안정을 취한 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와 수술을 받지 않은 만성요통환자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8 주간에 걸쳐 규칙적인 척추 재활운동을 적용하여 집단간 요부 근기능 향상에 따른 통증정도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권휘련, 이종하, 박은영(2006). 요부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들의 통증완화와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2), 527-536. 

  2. 김건도, 한길수, 김원식(2006). 등장성 재활운동이 만성요통 환자의 요부신전근력 향상 및 신체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5(4), 683-695. 

  3. 김선호(2006). 키네시오 테이핑이 요부의 근력, 유연성 및 통증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8, 261-268. 

  4. 김정수(2001). 디스크환자가 환자를 치료한다, 서울: 건강신문사. 

  5. 이상호(1999). 허리디스크, 서울: 열음사. 

  6. 소재무, 김건도, 한길수(2002).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수술 전.후 및 트레이닝 후 요부신전근력 발현에 대한 정량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1(5), 1027-1035. 

  7. 성경훈, 김명준, 석혜경(1999). 추간판탈출증 환자 중 레이져시술과 비 시술 그룹간 12주 운동의 효과.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7(1), 165-175. 

  8. 주성법, 이원재(2006). 키네시오테이핑과 운동치료 프로그램의 복합적용이 요추 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요부신전근력과 통증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537-546. 

  9. 천영일, 김광기, 김건도(2003). 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에 대한 등장성 재활훈련집단과 비훈련집단간요부신근력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42권 4호, 655-662. 

  10. 최희남, 유재현, 김명화, 지용석(2000). 8주간의 등장성 요부신전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요통 환자의 요부근력과 주관적 통증정동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9(1), 102-113. 

  11. 한길수, 소재무, 이경주, 문훈기(2006). 등장성 운동이 노인 요통환자의 자세변화에 따른 신전근력 비율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6(4), 195-203. 

  12. Astin, M., Lawton, D., & Hirst, M. (1996). The prevalence of pain in a disabled population. Soc Sci Med, 42(11), 1457-1464. 

  13. Caillent, R. (1988). Low Back Pain Syndrome. Philadelphia, PA: Daves Company. 

  14. Carpenter, D. M., Graves, J. E., Pollock, M. L., Leggett, S. H., Dan Foster, Bryon H., & Fulton, M. N. (1991). Effect of 12 and 20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of lumber extension torque production. Physical Therapy, 71: 580-588. 

  15. Cherkin, D. C., Deyo, R. A., & Loeser, J. D. (1994).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back sugery rates. Spine, 19, 1201-1206. 

  16. Daved, M.C., & Brain, W.N. (1999). Low back strengthening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ow back pain. Medicine & science in sport & Exercise, 31(1): 18-24. 

  17. Dettori, J. R., Bullock, S. H., Sutlive, T. G., Franklim, R. J., Patience, T. (1995). The effects of spinal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s and their associated postures in patients with acute low back pain. Spine, 20:2303-12. 

  18. Estrand, N. (1987). Med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back abnormalities and self reported back pain-a cross sectional study of male employees in a Swedish pulp and paper industry. Br. J. Ind, Med, 44, 327-336. 

  19. Foster, D., & Pollock, M. (1993). Adaptations in strength and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lumber extensor muscles fowlloing resistance training.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5: s47. 

  20. Frymoyer, J. W., Cats-Baril. W. L. (1991). An over-view of the incidences and costs of low back pain(review). Orthop Clin North Am. 22. 263-271. 

  21. Frymoyer, J. W. (1991). Predcting disability from low back pain. Clin Orthop. 279, 101-109. 

  22. Harvey, J., & Tanner, S. (1991). Low Back Pain in young athletes, Sports Med, 12(6):394-406. 

  23. Hasuse, M., Masatoshi, F., & Kikuchi, S. (1980). A new method of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bdominal and back muscle strength. Spine, 5, 143-148. 

  24. Huskisson, E. C. (1974). Measurement of pain. lancet, 2(7889), 1127-1131. 

  25. James, E., Graves, D, C., Webb, M. S., P. T., Michael, L., & Pollock, M. L. (1994). Arch Phys MedRehabil, 75, February. 

  26. Kahanovitz, N., Nordin, M., Gallagher, M., Viola, N. (1988). Comparative analysis of post opertive discectomy trunk strength and endurance, presented at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edic Surgeons, Atlanta. Georgia. 

  27. Kraus, H., & Nagler, W. (1983). Evaluation an exercise program for back pain, Am. Family Phys, 28: 153-158. 

  28. Lawlis, G, F., Cuencas, R., Selby, D., & McCoy, C. E. (1989). The development of the dallas pain questionnaire an assesment of the impact of spinal pain on behavior, Spine, 14: 511-516. 

  29. Lagrana, N. A., Lee, C. K., & Alexander, H. I. (1984). Quantitative assessment of back strength using isokinetic testing, Spine, 9, 287-290. 

  30. Manniche, C., Lundberg, E., Chritensen, I., Bentzen, L., & Hersselroe, G. (1991). Intensive dynamic back exercise for low back pain: a clinical trai. Pain, 47: 53-56. 

  31. Mayer, T. (1995). Trunk muscle endurance measurement ; isometric contrasted to isokinetic testing in control subjects, Spine, 20(8), 920-927. 

  32. Millon, R., Hall, W., Nilsen, K., Baker, R. D., Jason, M. I. V. (1982). Assesment of the progress of the back pain patient. Spine, 7:204-212. 

  33. Nelson, B., O' Reilly, E., Miller, M., Hogan, M., Wrgner., J., & Kelly, C. (1995). The clinical effects of intensive, specific exercise on chronic back pain: a controlled study of 895 consecutive patients with 1-yr follow-up. Orthopedics, 18: 971-981. 

  34. Pollock, M., Garazarella, L., & Graves, J. (1992). Effects of isolated lumbar extension resistance training on BMD of the eldery. Medicine & Science in Sports 7 Exercise, 24: s66. 

  35. Rich, S.V., Norvell, N.K., Pollock, M.L., & Risch, E.D et al. (1993). Lumber strengthening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Spine, 18: 232-238. 

  36. Shrrrye, V et al., (1993). Lumber strengthening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Spine, 18(2), 232-238. 

  37. Smith, E. L., Gilligan, C. (1984). Exercise sport and physical activity fir the elderly: Principles and problem of programing. Sport and Aging-The 1984 Olympic Scientipic Congress Proceeding, 5(20, 91-103. 

  38. Speroff, L. (2000). The perimenopausal transition. Annuals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900: 375-392. 

  39. Suzuki, N., & Endo, S. (1983). A quantitative study of trunk muscle strength and fatigue ability in the low back pain syndrome. Spine, 8, 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