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8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근골격계 요통환자의 생체역학적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8 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Biomechanical Function Recovery of Patients Suffering from Work-Related Back Problems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9 no.3, 2009년, pp.567 - 580  

김도형 (조선대학교) ,  이경일 (조선대학교) ,  정진영 (조선이공대학)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근골격계 요통환자들의 생체역학적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3명의 산업재해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요부근력과 근지구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요부기능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고, 요통으로 인해 낮아진 유연성을 증가시켜 정상인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자세의 교정 및 척추변형 정도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들기, 사회생활, 통증지속시간, 통증발생빈도 감소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작업관련성 요통환자들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고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has an influence on the physical recovery of the patients suffering from work-related back problems. Research objects consist of 43 patients suffering from back problems due to workplace accidents. The result of the study 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근력, 근지구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근력의 변인으로 악력과 배근력을 측정하였다. 악력과 배근력의 변화에서 악력은 실험 전후 변화가 없었으며 배근력은 실험 후에 전보다 37.
  •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력진단 요인의 측정은 G광역시 소재의 C대 체육대학 건강관리센터에 의뢰하여 실시하였으며 척추자세 검사는 C대 X-ray 촬영실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요통장애지수에 대한설문검사는 C대 병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 작업관련성 요통의 초기 단계에는 인간공학적 접근을 통해 작업 개선, 작업장 개선, 인양 안전 최대 허용중량 등을 결정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지만 단계가 진행될수록 적절한 치료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작업관련성 요통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본 연구자는 여러 가지 운동요법이 결합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체력 및 척추측만도 개선에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관련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통하여 작업관련성 요통환자의 체력, 척추자세, 요통장애 지수의 변화에 따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질환이란 무엇인가? ‘근골격계질환’이란 주로 단순 반복 작업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되어 목, 어깨, 팔, 팔꿈치, 손목, 손 등의 신경, 건, 근육과 그 주변조직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여기서 ‘단순반복작업’이란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동작 또는 자세를 지니는 작업형태를 말하며(노동부고시, 2000) 특정 업종에서 제한적으로 발생하기 보다는 대부분의 작업 현장에서 발생한다.
단순반복작업은 어떤 작업 형태인가? ‘근골격계질환’이란 주로 단순 반복 작업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되어 목, 어깨, 팔, 팔꿈치, 손목, 손 등의 신경, 건, 근육과 그 주변조직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여기서 ‘단순반복작업’이란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동작 또는 자세를 지니는 작업형태를 말하며(노동부고시, 2000) 특정 업종에서 제한적으로 발생하기 보다는 대부분의 작업 현장에서 발생한다.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은 다양한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위험 요인(risk factors)은 크게 작업 요인, 개인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 중 가장 위험한 요인은 무엇인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은 다양한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위험 요인(risk factors)은 크게 작업 요인, 개인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이 중 작업 요인이 가장 중요한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Kroemer, 1989; Kumar, 2001), 자동차 조립 작업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많이 발생하며 부적절한 허리의 자세가 요통 유발의 원인이 된다(Chung, Lee & Yeo,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선영(2002). 교정체조의 실시가 여자 중학생의 척추 측만증 개선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 강세윤(1993). 요통의 재활치료. 대한의학협회지, 35(2), 12-23. 

  3.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1999). 운동선수의 재활운동 프로그램 지침서. 

  4. 권휘련, 이종하, 박은영(2006). 요부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들의 통증완화와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2), 527-536. 

  5. 김달균(2001). 중학생의 척추건강 개선을 위한 교정 체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의 검증. 학교체육논문집, 91-122. 

  6. 김성수(2002). 만성요통환자에 있어서 체간회전운동이 요부신전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67-178. 

  7. 김용숙(2005). 작업관련성 요통환자를 위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 기능회복과 우울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8. 김정연, 이은주, 한은희(2001). 산업재해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의학회지, 13(2), 141-151. 

  9. 김주상(2000). 청소년에서의 척추측만의 교육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0. 김형수, 형인혁, 김은영(2008). 체간안정화 운동이 만성 요통환자의 근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8(4), 115-124. 

  11. 노동부(2000). 단순반복작업 근로자의 작업관리지침. 노동부고시 제 2000-72호. 

  12. 대한운동사회(2003). 치료적 운동의 원리와 실제. 서울: 대한미디어 

  13. 대한정형외과학회(1998). 정형외과학. 서울: 최신의학사 

  14. 문용각(2002). 등속성운동과 요통운동체조프로그램이 요통환자의 근기능 및 통증감소에 미치는 

  15. 문제호, 박준수, 박동식, 이수현, 박병권(1990). 요통학교가 만성요통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20(2), 339-346. 

  16. 양영애(2004). 직업성 만성요통에 대한 능동적 운동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 

  17. 양점홍(2002). 최신 트레이닝학.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18. 양점홍, 최재현(2008). 운동치료방법에 따른 운동과 운동중단 시 만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 유연성, 주관적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2, 881-890. 

  19. 유양숙(2001). 척수손상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산업사회, 12, 29-52. 

  20. 유재현(1999). 8주간의 등장성요부신전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과 주관적 통증 정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1. 이경봉(2008). 요부안정화 운동과 신전근강화운동이 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대학원. 

  22. 이영석(2001).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3. 이주립(1994). 요통과 Sit-up 변인들의 상관에 관한 연구. 대한스포츠의학지, 12(2), 226-231. 

  24. 이창진, 임영태(2003). 디스크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비만이 요부신전근력 향상 및 요통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5(2), 147-153. 

  25. 임용택(2003). 교정체조의 실시에 따른 여중생의 척추측만증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 1341-1347. 

  26. 임현술, 정민근, 김수근, 이종민(1998). 직업성 요통의 평가와 예방을 위한 방안 연구. 한국 산업 안전 공단. 

  27. 장경태, 최대혁, 박현, 고영한, 이대택, 김상원(2000).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서울: 한미의학. 

  28. 장소영(2002). 청소년기의 체격발달과 고관절 유연성과의 상관관계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29. 재활체조연구회(2005). 피트니스 스트레칭과 재활체조 요법. 서울: 대경 북스. 

  30. 조지훈, 이운용, 김경태, 최은수, 이대택(2004). 근력과 유연성 복합운동이 측만증 청소년의 측만각도와 요부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체육학회지, 43(3), 743-751. 

  31. 통계청(2008). 국민체력실태조사. 2007. 

  32. 한국대학에어로빅스연맹(2000). 아쿠아 에어로빅. 서울: 금광. 

  33. 한길수, 이광수, 김영순(2007). 중년여성 요통환자들의 재활운동이 요부 근기능과 통증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7(3), 155-164. 

  34. 허진강(2005). 만성요통근로자의 능동적운동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35. 허진강, 송재철, 노영만, 박동식, 양영애, 김윤신(2005). 만성요통근로자의 능동적 운동프로그램 효과. 대한산업의학회, 17(1), 44-57. 

  36. Akuthota, V., Nadler S. F.(2004). Core strengthening. Arch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5, 86-92. 

  37. Beimborn, D. S., & Morissey, M. C.(1988). Areview of the literature to trunk muscle pre-formance. Spine, 13(6), 655-660. 

  38. Biering-Sorensen, F.(1984). Physical Measurments as risk indicators for low back trouble over a one-year period. Spin, 9, 106-109. 

  39. Calliet, R.(1998). Low Back Pain Syndrome 4th Edition F. Adavis Company, Philadelphia. 

  40. Chung, M. K., Lee, I., & Yeo, Y. S.(2001). Physiological workload evaluation of screw driving tasks in automobile assembly job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8, 181-188. 

  41. Cobb, J. R.(1948). Outline of the study of Scoliosi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of American Academy of Orthopedic Surgeons, Annals of Arbor. Michigan, 5, 261-275. 

  42. Cooper, R. G., Clair, Forbes, W. S. T., & Jayson, M. I. V.(1992). Radiographic demonstration of paraspinal muscle wasting in patl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ritish Journal of Rheumat, 31, 359-394. 

  43. Ellen, K., & Katharine, M. B.(1996). BIOMECHANICS: A Qualitative Approach for Studying Human Movement (4nd), Boston: Allyn & Bacon A Simon & Schuster Company. 

  44. Fairbank, J. C. T., Mbaot, J. C., Davies, J. B. & O′Brien, J. P.(1980). The (Oswe 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66. 271-273 

  45. Goldberg, L., & Elliot, D. L.(1995). Exercise for prevention and reatment of illness. Philadelphia. FA Davis. 

  46. Hans, R. W.(1991). The effect of an exercise program on vital capacity and rib mobility in pati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Spine, 16, 88-93. 

  47. Jackson, C. P., & Brown, M. D.(1983). Annalysis of current approach and a practical guide to prescripition of exercise. Clinical Orthopedics, 178, 46-54. 

  48. Judd, F. K., & Brown.(1991). Suicide Following Acute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International Medical Society of Paraplegia, 29, 173. 

  49. Kroemer, K. H. E.(1989). Cumulative trauma disorders: Their recognition and ergonomics measures to avoid them. Applied Ergonomics, 20,(4) 274-280. 

  50. Kumar, S.(2001). Theories of musculoskeletal injury causation, Ergonomics. 44(1), 17-47. 

  51. Langrana, N. A., Lee, C, K., Alexander, H., & Mayot, C. W.(1984). Quantitative assessment of back strength using isokinetic testing. Spine, 9(3), 287-90. 

  52. Marcia, K. A., & Susan, J. H.(1995). Sports Injury Management(3rd ed). Massachusetts: Williams and Wikins Company. 

  53. Mannion, A. F., Taimela, S., Muntener, M., & Dvorak, J.(2001). Active therapy for chronic low back pain part 1. Effecks on back muscle activation, fatigability, and strength. Spine, 26(8), 897-908. 

  54. McQuade, K. J.(1987). Physical fitness and lateeal bending in health subjects. Spine, 5, 529-538. 

  55. Norris C.M.(2000) Back stability, 1st ed, Champaign. Human Kinetics, 3-66. 

  56. Prins, J., & Cutner, D.(1999). Aquatic therapy in the rehabilitation of athletic injuries. Sports. Medicine., 18(2), 447-461. 

  57. Robert, J. J., Blide, R.W., Mcwhorter K., & Coursey C.(1995). The effect of work hardening program on cardiovascular fitneess and muscular strength. Spine, 20(10), 1187-1193. 

  58. Sherry, V.(1993). Lumbar strengthening in chronic low back pain patlents. Spine, 18(2), 233-238. 

  59. Sullivan, J. G. B., Wetzel, F. T., & Atkinson, J. H.(1992). Chronic pain Management: The Spine, 3, 121-127. 

  60. Troup, J. D., Martin, J. W., & Lloyd, D.(1981). back pain in industry: a prospective survey. Spine, 6, 61-69. 

  61. Thorsteinsson, A., & Nilsson, J.(1982). Trunk muscle strength during constant velocity movement. Scandinavica, 98, 318-322. 

  62. Wilder, P. R., & Brennan, D. K.(1999). Physiological response to deep water running in athletes. Sports Medicine, 16, 374-3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