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쇼핑가치, 브랜드인지도 그리고 다발가격 화장품의 판촉유형이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 Brand Awareness and Types of Promotion on Purchase of Bundled Cosmetic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9/10, 2007년, pp.1321 - 1332  

전향희 (정암미용고등학교)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hopping value, brand awareness, and the types of sales promotion on the purchase of bundled cosmetics. In experiment, 1) shopping value 2) brand awareness 3) types of sales promotion were manipul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화장품 호의도 .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 업태의 특성에 맞는 판촉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론과 제 언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 여대생 소비자들의 쇼핑가치와 화장품 브랜드인지도, 그리고 판촉유형의 형태를 함께 고려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최근 국내 . 외 화장품 판매의 주요 가격정책으로 부각 되는 다발 가격 매김 화장품의 구매행동인 호의도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쇼핑가치 집단에 따른 브랜드인지도와 판촉유형의 구매의도 효과를에 제시하였다.
  • . 외 화장품 판매의 주요 가격정책으로 부각 되는 다발 가격 매김 화장품의 구매행동인 호의도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치열한 경쟁상황으로 어려움에 처한 국내·외 화장품 업계 실무자들에게 경쟁력 있는 판촉 전략을 세우는데 유용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경희. (2002). 한.중.일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관리. 화장행동.구매행동 비교: 서울, 북경, 동경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세연. (2003). 브랜드인지도와 확장의 유사성 및 지각된 위험성이 온라인 브랜드확장에 있어서 브랜드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세희. (2000). 의류상품 소비자의 판매촌친 반응유형과 쇼핑성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윤. (2000). 자기감시, 위험지각, 광고소구유형이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6), 59-71 

  5. 김진우. (1995). 기대가격-실제가격 차이가 소비자의 묶음 상품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진원. (2000). 쇼핑가치, 점포속성 및 과업상황이 의복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태경. (1997). 여성 화장품 구매자의 소비가치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필구. (2000). 판매촉진활동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현진. (2001). 쇼핑가치, 판매촉진유형과 패션점포형태에 따른 소비자 패션점포 방문 행동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현정. (2005). 소비자의 쇼핑가치유형별 호텔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희정. (2005). 쇼핑가치와 상표제류가 인터넷 쇼핑업체의 PB 의류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나리. (2004). 번들 제품에서 준거가격제시 여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번들 제품 구성유형 및 실용적 쾌락적 제품군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효원, 김용숙. (2004). 신세대 여성의 소비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4(6), 59-74 

  14. 송혜인, 이옥희, 강영의. (2002). 20대 여성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6(11), 1593-1604 

  15. 신주홍. (2001). 화장품 브랜드선호도 결정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유창조, 정혜은. (2002).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쇼핑경험의 질이 재방문의사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효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의 구분, 소비자학 연구, 13(4), 77-101 

  17. 유필화, 곽영식. (2000). 가격매김 형태별 이익결정요인 검증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0(1), 183-212 

  18. 윤창욱. (2001).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유통경로 전략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명희, 이은실. (2003). 화장품 구매성향과 구매 후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2), 250-260 

  20. 이승희. (2000).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과시소비성향 및 의류 쇼핑동기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9(12), 842-852 

  21. 이유선. (2005). 초저가 화장품 브랜드의 지각된 가격과 매장 이미지, 지각된 품질이 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재형. (2002). 묶음가격이 소비자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이학식. (1995) 실용적/쾌락적 쇼핑가치와 쇼핑만족: 구조모델의 개발과 검정. 경영학 연구, 28(2), 505-538 

  24. 이호화. (2002). 판매촉진에 따른 백화점 화장품 매출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H 백화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이희승. (1995). 가격과 상표가 의류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정숙현. (2005). 화장과 화장품의 미용학적 상관성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한송이. (2002). 수입브랜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황윤조. (2005). 여고생들의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사회적 기대와 화장이미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Armstrong, G. M., Kenmdall, C. L., & Russ, F. A. (1975). Application of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work to public policy issues. Communication Research, 7, 235-247 

  30. Bar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3), 644-656 

  31. Batra, R. & Ahtola, O. T. (1991). Measuring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ources of consumer attitude. Marketing Letters, 2(4), 159-170 

  32. Bearden, W. O., Donald, R. L., & Jesse, E. T. (1984). Comparison price coupon and brand effects on consumer reaction to retail newspaper advertisement. Journal of Retailing, 60(8), 11-34 

  33. Bellenger, D. N. & Korgaonkar, P. (1980). Profiling the recreational shopper. Journal of Retailing, 56(2), 77-92 

  34. Blair, E. A. & Landon, E. L. (1981). The effect reference prices in retail advertisement. Journal of Marketing, 45(3), 61-69 

  35. Dolan, R. & Simon, H. (1996). Power pricing. New York: The Free Press 

  36.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86). Consumer behavior (5th ed.). NewYork: The Dryden Press 

  37. Eppen, G. D., Hanson, W. A., & Martin, K. (1991). Bundling-new products new markets, Low Risk. Sloan Management Review, 32(8), 7-14 

  38. Glassman, M. & Pieper, W. J. (1980). Processing advertising information: Deception, salience, and inferential belief formation. Journal of Advertising. 9(1), 3-10 

  39. Guiltinan, J. P. (1987). The price bundling of services: A normative framework. Journal of Marketing, 51(4),74-85 

  40. Hirschman, E. C. & Holbrook, M. B. (1982).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46(3), 92-101 

  41. Kotler, P. & Keller, K. L. (2006). Marketing management, 12E. Northwestern: prentice-Hall Inc 

  42. Mittal, B. (1994). An integrated framework for realating diverse consumer characteristics to supermarket coupon redemption. Jounal of Marketing Reserch, 31(11), 533-544 

  43. Robert, E. P. & Woodside, A. G. (1984). Personal values and consumer psychology. Lexington Books 

  44. Rossiter, J. R. & Percy, L. (1987). Advertising and promotional management.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45. Sherry, J. F. (1990). A sociocultura1 analysis of a midwestern flea marke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6), 13-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