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장품소비가치에 따른 화장품유형 및 가격별 국내.외상표선택
Type and Price of Cosmetics Brand Selection by Cosmetics Consumption Valu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4 no.7, 2010년, pp.1149 - 1161  

이정우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김미영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the dimensions of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and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brand selection through a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 and by product typ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s over age 20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권미화. (2000).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권미화, 이기춘. (2000).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가치에 따른 집단 간 차이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지, 7(1), 169-193. 

  3. 권복희. (2000). 소비가치에 따른 제품가치지각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동원. (1994).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선아. (2006). 소비자 유형별 색조화장품의 쇼핑성향연구.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2(1), 43-52. 

  6. 김숙례. (2001). 성인여성의 화장품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나수임. (2004). 직장여성의 의복소비자가치에 따른 패션트렌드선호경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67-81. 

  8. 남승규. (1995). 소비자 의사결정에서의 가치의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문희강, 추호정. (2008). 의복소비가치가 양면적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2), 1-14. 

  10. 박태희, 이명희. (2003). 백화점과 시장구매자의 의복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복식, 53(7), 83-94. 

  11. 백선영, 이선재. (2000). 청소년 소비가치가 의류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복식, 50(6), 59-72. 

  12. 성영준. (1998). 제품의 소비가치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소규만. (1997). 여성의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신혜진, 김주덕. (2007). 화장품소비자의 연령별에 따른 구매형태 및 성향. 한국미용학회지, 13(3), 1130-1146. 

  15. 이명희, 이은실. (2003). 화장품구매성향과 구매 후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2), 250-260. 

  16. 이지영. (1999).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소비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창수. (1997). 소비자의 선물구매에 따른 인지적 위험과 소비가치에 관한 실증적 연구-정보탐색행동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임경복. (2007).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추구 의복이미지와 의복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5(5), 810-824. 

  19. 정미숙. (2000). 여대생들의 피부관리와 화장습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채정숙. (2001).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구매 및 사용행동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9(11), 107-127. 

  21. 한희정, 김미숙. (2002). 소비가치와 의복구매 전 의사결정과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6(6), 853-864. 

  22. 현정희, 추태귀. (2005). 초저가화장품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6), 617-623. 

  23. 홍성순, 오은정. (2001).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조화장표현도와 색조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7), 85-99. 

  24. Bronowski, J. (1959). The value of science: New knowledge in human values. New York: Harper & row. 

  25. Rokeach, M. J. (1969). Beliefs, attitudes and values. San Francisco: Jossey Bass. 

  26. Rokeach, M. J.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The Free Press. 

  27. Sheth, J. M., Newman, B. I., & Gross, B. L. (1991).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s: Theory and application Cincinnati, OH: South-Western Publishing, Co. 

  28. Sheth, J. M., Newman, B. I., & Gross, B. L. (1999). Consumer behavior: Consumer & beyond. Forth Worth, TX: Dryden Press. 

  29. Vison, D. E., Scott, J. E., & Lamont, L. M. (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1, 44-50. 

  30. Zeithamal, V. A. (1988). Consumer perception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7), 2-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