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즉석섭취 샌드위치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위해분석
Hazard Analysis of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Sandwich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7, 2007년, pp.938 - 943  

박해정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향후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즉석섭취식품 중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제조공정의 특성상 생물학적 위해 중 높은 빈도로 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 정성적${\cdot}$정량적 검출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시료는 편의점, 대형할인마트, 샌드위치 전문점, 개인운영제과점, 패스트푸드점, 급식소에서 판매되는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174개의 시료 중 18개, 전체 10.3%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은 평균 1.74 log CFU/g으로 0.30 log CFU/g에서 최대 4.08 log CFU/g까지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의 계절에 따른 검출량은 여름철(3.24 log CFU/g)이 겨울철(1.10 log CFU/g)에 비해서 3배 정도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영국 PHLS의 즉석섭취식품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본 실험의 전체 분석 대상 시료 중 95.4%가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또한 햄 치즈샌드위치에 대한 독소형성 확인 실험 결과 4.95 log CFU/g 이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증식되지 않으면 독소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샌드위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정량적 오염도 분석에 대한 본 실험 결과는 샌드위치를 포함한 즉석섭취식품의 정량적 위해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azard analysis of ready-to-eat sandwiches sold in various establishments. Sandwi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ce stores, discount stores, sandwich chain stores, bakery shops, fast-food chain stores, and food service operation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즉석섭취식품 중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미생물학 적 위해분석을 실시하여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샌드위치의 생물학적 위해 중 높은 분포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도 를 파악하여 샌드위치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정량적 위 해평가(quantitative risk assessment)를 위한 기초자료로 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즉석섭취식품 중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미생물학 적 위해분석을 실시하여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샌드위치의 생물학적 위해 중 높은 분포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도 를 파악하여 샌드위치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정량적 위 해평가(quantitative risk assessment)를 위한 기초자료로 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06. The Food Sanitation Act. http://moleg.go.kr 

  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6.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 http://kfda.go.kr 

  3. Bean NH, Goulding JS, Lao C, Angulo FJ. 1996.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1988-1992. Mob Mortal W Rep 45(SS-5): 1-66 

  4. Pan TM, Wang TK, Lee CL, Chien SW, Horng CB. 1997. Food-borne disease outbreaks due to bacteria in Taiwan, 1986 to 1995. J Clin Microbiol 35: 1260-1262 

  5. Suk SU, Park SC. 1985. Staphylococcal infants. J Infection 17: 115-122 

  6. Kim DH, Kwon KR, Lee KH, Ju YR, Oh KS, Kang HS. 1989. Studies on staphylococcal food-poisoning and enterotoxin prosactivity.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6: 111-121 

  7. Catteau M. 1993. Infections microbiennes d'origine alimentaire. Ann Falsif Expert Chim 86: 17-24 

  8. Atanassova V, Meindl A, Ring C. 2001.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al enterotoxin in raw pork and uncooked smoked ham-a comparison of classical culturing detection and RFLP-PCR. Int J Food Microbiol 68: 105-113 

  9. Eley AR. 1992. Microbial food poisoning. 2nd ed. Chapmoa & Hall, London 

  10. Stewart CM, Cole MB, Schaffner DW. 2003. Managing the risk of staphylococcal food poisoning from cream-filled baked goods to meat a food safety objective. J Food Prot 66: 1310-1325 

  11. Hasan A, Serdar C, Timothy HS. 2005. Incid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meals from military cafeterias in Ankara, Turkey. Food Control 16: 531-534 

  12. 한국소비자보호원. 1999. 샐러드(백화점.피자점.패스트푸드점 판매식품) 대장균 검출돼 비위생적인 샐러드 많다. 소비자시대 8월호 

  13. Park SY, Choi JW, Yeon JH, Lee MJ, Lee DH, Kim KS, Park KH, Ha SD. 2005. Assessment of contamination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in major RTE foods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74-278 

  14.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2000. Food Code 

  15. 식품음료신문 2003.3.14.일자. 패스트푸드 건강메뉴 개발 박차 

  16. Solberg M, Buckalwe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 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17. Chol SK, Lee MS, Lee KH, Lim DS, Lee KH, Choi KH, Kim CH. 1998. Changes in quality of hamburger and sandwich during storage under simulated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 27-34 

  18. Cha WS, Cho YJ, Kim JK, Park JH, Oh SY, Son YW, Kim MU, Yang JM, Hur HO. 1998. Changes of physical and microorganism for storage period of current sandwich. Theses Collection of Sangju National University 8: 531-538 

  19. PHLS (Gilber RJ, Roberts D, Bolton FJ, Louvois J, Little C, Donovan T, Nye K, Ribeiro CD, Richards J). 2000. Guidelines for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ome ready- to-eat foods sampled at the point of sale. Communicable Disease and Public Health 3: 163-167 

  20. Walls I, Scott VN. 1997. Use of predictive microbiology in microbial food safety risk assessment. Int J Food Microbiol 36: 97-102 

  21. Kang YS, Yoon SK, Jwa SH, Lee DH, Woo GJ, Park YS, Kim CM. 2002.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op. Korean J Fd Hyg Safety 17: 31-35 

  22. Fang TJ, Wei QK, Liao CW, Hung MJ, Wang TH. 2003. Microbiological quality of $18^{\circ}C$ ready-to-eat food products sold in Taiwan. Int J Food Microbiol 80: 241-250 

  23. Ha KS, Park SJ, Shim WB, Chung DH. 2003. Screening of MRSA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seb gene in producing strains isolated from food service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J Fd Hyg Safety 18: 79-86 

  24. Bae HJ. 2006.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55-660 

  25. 교육인적자원부. 2005.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26. Bahk GJ, Oh DH, Ha SD, Park KH, Joung MS, Chun SJ, Park JS, Woo GJ, Hong CH. 2005.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model for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b.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84-491 

  27. Marchall RT, Anderson ME. 1979. Microbial growth on the plate beef during extended storage after washing and sanitizing. J Food Prot 42: 389-392 

  28. Lee HM, Lee GY, Yoon EK, Kim HJ, Kang YS, Lee DH, Park JS, Lee DH, Woo GJ, Kang SH, Yong JS, Yand KW. 2004. Computation of maximum edible time using monitoring data of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p and food micromodel. J Fd Hyg Safety 19: 49-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