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염소 처리에 의한 적색육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 of Red Meat by Chlorine Dioxide Treatment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2 = no.192, 2007년, pp.222 - 227  

이승환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신희영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구경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진유영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전소정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채현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경빈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돈육과 우육의 품질 변화에 이산화염소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돈육 삼겹살과 우육 안심은 이산화염소 용액 30, 50, 100 ppm 처리한 후 $4{\pm}1^{\circ}C$에서 저장하였다. 이산화염소 처리는 총 호기성 균수, 곰팡이 및 효모 수를 처리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시켰다. 저장 10일 후 총 호기성 균수는 삼겹살의 경우, 이산화염소 100 ppm 처리군이 1.48 log CFU/g에서 4.73 log CFU/g으로 증가한 반면에 대조군은 2.19 log CFU/g에서 6.22 log CFU/g으로 증가하였다. 안심의 경우, 대조군이 3.98 log CFU/g에서 5.97 log CFU/g로 증가하는 동안 100 ppm 처리군은 3.13 log CFU/g에서 4.73 log CFU/g으로 증가하였다. pH와 VBN 값은 모든 시료가 저장 중 증가하였으나 처리군 사이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처리군에서 TBARS 값이 증가하였는데, 처리군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관능평가는 돈육과 우육이 각각 저장 8일, 6일 이후에는 바람직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이산화염소 처리가 적색육의 위생적인 안전성 확보와 품질수명 연장을 통한 저장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chlorine dioxide ($ClO_2$) treatment on the quality changes of pork and beef were examined. Pork belly and beef tenderloin samples were treated with 30, 50, and 100 ppm of $ClO_2$ solution, respectively, and stored at $4{\pm}1^{\circ}C$. The $ClO_...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돈육과 우육의 품질 변화에 이산화염소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돈육 삼겹살과 우육 안심은 이산화염소 용액 30, 50, 100 ppm 처리한 후 4士1。(?에서 저장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돈육과 우육에 대한 이산화염소의 처리를 통한 적색육의 저징..
  • . 유통 중의 미생물학적인 안전성 확보를 도모하고자 연구하여, 이에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im KW, Mustapha A. 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slide roast beef by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acidified sodium chlorite. Food Microbiol. 24: 89-94 (2007) 

  2. Shrestha S, Min Z. Effect of lactic acid pretreatment on the quality of fresh pork packed in modified atmosphere. J. Food Eng. 72: 254-260 (2006) 

  3. Gordon G, Kieffer RG, Rosenblatt DH. The chemistry of chlorine dioxide. Vol, 15, pp. 202-286. In: Progress in Inorganic Chemistry. Lippard SJ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USA. (1972) 

  4. Benarde MA, Israel BM, Oliveri VP, Granstorm ML. Efficiency of chlorine dioxide as a bactericide. Appl. Microbiol. 13: 776-780 (1965) 

  5. White GC. Hand Book of Chlorination. Van Nostrand Reinhold Co, New York, NY, USA (1972) 

  6. Chandry MA, Bibi N, Khan M, Khart M, Badshah A, Qureshi MJ. Irradiation treatment of minimally processed carrots for ensuring microbiological safety. Radiat, Phys. Chem. 71: 169-173 (2004) 

  7. Andrews LS, Key AM, Martin RL, Grodner R, Park DL. Chlorine dioxide washing of shrimp and crawfish an alternative to aqueous chlorine. Food Microbiol. 19: 261-267 (2002) 

  8. Bae JH, Lee DS. Acute toxicity of chlorine dioxide to cultured-flounder (Paralichthlys olivaceus) and its bactericidal efficacy. Korean J. Lab. Anim. Sci. 15: 87-91 (1999) 

  9. Youm HJ, Ko JK, Kim MR, Song KB.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on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ure cell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14-517 (2004) 

  10.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Method 4-54.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995) 

  11. KFD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n. pp. 222-223 (2002) 

  12. Ahn DU, Olsin DG, Jo C, Chen X, Wu C, Lee JI. Effects of muscle type, packaging, and irradiation on lipid oxidation, volatile color in raw pork patties. Meat Sci. 49: 27-39 (1998) 

  13. Shin HY, Goo KJ, Park SG, Song KB.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25-330 (2006) 

  14. SAS.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Inc., Cary, NC, USA (2001) 

  15. Stivarius MR, Pohlman FW, McElyea KS, Apple JK. Microbial, instrumental color and sensory color and odor characteristics of ground beef produced from beef trimmings treated with ozone of chlorine dioxide. Meat Sci. 60: 299-305 (2002) 

  16. Unda JR, Molins RA, Zamojcin CA. Sanitation of fresh rib eye steaks with chlorine dioxide generating binary systems. J. Food Sci. 54: 7-10 (1989) 

  17. Ko JK, MA YH, Song KB. Effect of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ies of chicken breast. J. Food. Sci. Nutr. 10: 122-129 (2005) 

  18. Park WM, Choi WH, Yoo IJ, Kim WJ, Jeon KH, Chung DH. Animal products and processing :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on the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ausages during storage. Korean J. Anim. Sci. 39: 60-61 (1997) 

  19. Tan W, Shelef LA. Effect of sodium chloride and lactates on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 in refrigerated and frozen fresh ground pork. Meat Sci. 62: 27-32 (2002) 

  20. Jimenez-Villarreal, Pohlman FW, Johnson ZB, Brown AH. Effects of chlorine dioxide, cetylpyridinium chloride, lactic acid, and trisodium phosphate on phys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round beef. Meat Sci. 65: 1055-1062 (2003) 

  21. Ko MS, Yang JB. Effects of wrap and vacuum packaging on shelf life of chilled pork. Korean J. Food Nutr. 14: 255-262 (2001) 

  22. Lee JE, Jung IC, Kim MS, Moon YH. Postmortem changes in pH, VBN, total plate counts and K-value of chicken meat. Korean J. Food Sci. Res. 14: 240-244 (1994) 

  23. Han GJ, Shin DS, Kim JS, Cho YS, Jeong KS. Effects of propoli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oriental medicinal seasoning pork.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5-81 (2006) 

  24. Jin SK, Kim IS, Hur SJ. Changes in microbe, pH, VBN, of exportation by-products of pork and establishment of shelf-life during storage at $4^{\circ}C$ . Korean J. Int. Agr. 14: 58-64 (2002) 

  25. Sallam KhI, Samejima K.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quality of ground beef treated with sodium lactate and sodium chlorid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Lebensm. -Wiss. Technol. 37: 865-871 (2004) 

  26. An JH, Kim YJ. Effect of feeding mugwort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m. Res. 23: 16-20 (2003) 

  27. Swain T. Secondary compounds as protective agents. Ann. Rev. Plant Physio. 28: 479-501 (1977) 

  28. Chae HS, Yu YH, Ahn CN, Yoo YM, Jeong SG, Ham JS, Lee JM, Singh NK. Influence of different levels of NaCIO, lactic acid, and acetic acid on meat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duck breast during storage. J. Anim. Sci. Technol. 48: 269-278 (2006) 

  29. Kim D, Jang YG, Park GH, Lee YC. Effects of sub-freezing systems on the freshness of pork loin, beef loin, and tun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41-348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