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치를 함유한 고칼슘 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High Calcium Fish Paste Containing Anchovy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3 no.4, 2007년, pp.561 - 566  

배명숙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하정욱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인 칼슘의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영양성 및 기능성을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우유보다 배나 많은 칼슘 함유량을 가진 멸치를 분말화하여 각각 0, 5, 10, 15, 20%(w/w) 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칼슘 함유량, 색조변화, 물성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어묵에서 멸치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칼슘 함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무첨가군인 대조구의 kg당 0.4 g에 비하여 20% 첨가군에서 2.2 g으로 측정되었다. 멸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 a값은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에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군에서 AA로 측정되어 멸치분말 첨가량에 관계없이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하였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멸치분말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 경도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대조군과 5% 첨가군의 경우 맛, 향기, 조직감, 색깔,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5%, 20%에서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5%의 멸치분말을 첨가할 경우 물성적, 영양적으로 소비자들의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paste containing anchovy (FPA) was prepared, and its quality was evaluated by determining calcium content, color,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The calcium content of FPA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anchovy powder. The anchovy powder in the FPA tended to decrease l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각의 시료를 550℃에서 건식회화하여 HC1-1N 20 mL에 녹인 후 ICP(SPECTRO, German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Joseph, MI, USA)를 이용하여 1 단계에서세절과 혼합을 하였다. 그 후 10단계로 속도를 높이면서 5분 간격으로 염, 대두단백, 설탕, MSG, 크실로오스, 소르브산 칼륨, 밀가루멸치분말과 함께 배합비에 따라 차례로 넣고 얼음물을 첨가하면서 25분간 혼합하였다. 혼합 후 높이 1 cm, 지름 5 cm의 틀에 충전하여 성형한 후 37℃에 15분 동안 방치하였다.
  • 상태 정도로써 표시하였다. 네겹으로 접어서 균열이 생기지 않으면 AA, 두겹으로 접어서 균열이 생기지 않으면 A, 두겹으로 접어서 1/2이하로 균열이 생기면 B, 두겹으로 접어서 전체에 균열이 생기면 C, 두 겹으로 접어서 두 조각으로 되면 D로 평가하였다(Kang KH 등 1998).
  • 멸치분말 첨가량을 각각 0, 5, 10, 15, 20%로 하여 어묵을 제조하여 (Table 1), 각각의 색도 및 절곡검사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Hunter's color value인 명암을 나타내는 L 값 [lightness, 0 —100(100=white, 0=black)], 적색과 녹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a값[redness, -60—+60(-60=green, +60=red)], 그리고 황색과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Z? 값 [yellowness, -60~+60(-60=blue, +60=yellow)]을 측정하였고, 전체적인 변화를 알기 위해 National Bureau of Standards(NBS)의 정의에 따라색차(total color difference, Z1E)를 구하였다(Kim YY와 Cho YJ 1992).
  • 멸치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무첨가 어묵과 멸치 분말첨가량을 5, 10, 15, 20% 첨가한 어묵 및 멸치분말 자체의 칼슘함량을 측정하여 Fig. 1에 나타내었다. 무첨가 군에 비해 멸치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칼슘함유량도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무첨가군에서 kg당 0.
  • 멸치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질감, 향기, 색, 맛,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Table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멸치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 구에서 질감, 향기, 색, 맛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 시료를 일회용 접시에 가로, 세로, 높이가 1.5x 1x0.7 erf 크기로 잘라 2조각씩 제시하였으며, 시료의 평가는 제조 후 24시간 지난 것을 사용하였고, 어묵의 기름기로 인한 미각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평가 사이에 입가심 물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 어묵의 관능검사는 11명의 식품공학 전공 학생들을 선정하여 실험목적 및 각 측정치에 대하여 설명한 뒤 조직감(texture), 풍미(flavor), 색(color), 맛(taste),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 의 5개 검사항목으로 나누어 기호도가 낮으면 1, 가장 높으면 5의 점수를 주도록 하여 최고 5점, 최제점의 범위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료를 일회용 접시에 가로, 세로, 높이가 1.
  • 어묵의 물성 측정은 제조 후 48시간 후에 Rheometer 를 이용해서 압착시험법으로 측정하였는데, table speed60 mm/min, graph interval 30 msec, load cell(Max) 2 kg의 조건으로 힘을 가해 압착하였으며 직경 10 mm의 Adaptor No.l을 사용하였다.
  • 4%로 측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멸치 분말의 첨가에 따라 수분 함량을 조절하였다. 즉, 멸치 분말 5% 첨가군의 경우 1.27 g, 10%는 2.54 g, 15%는 3.81 g, 20%는 5.08 g 만큼의물을 적게 첨가하여 전체 수분 함량이 동일하도록 하였다. 냉동되어 있는 고기 풀은 혼합기 (KitchenAid K5SS, St.

대상 데이터

  • 2%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타 부재료로는 정제염(샘표), 대두단백(글루텐, Latenstein B.V. Co., Inc., AJ Nijmegen, Netherland), 설탕(백설설탕, CJ 주식회사, 서울), L-Monosodium glutamate(MSG, Vewongbudi, Indonesia), 크실로오스 (D-Xylose, Sinochem Jiangsu Suzhou Imp. & Exp. Co., Jiangsu, China), 소르브산 칼륨(Potassium Sorbate, AMC Chemical, London, UK), 밀가루(CJ 주식회사 중력 1 등급 무표백) 등을 이용하였다. 멸치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남해안산 건조 멸치[소멸(체장 3.
  • , Jiangsu, China), 소르브산 칼륨(Potassium Sorbate, AMC Chemical, London, UK), 밀가루(CJ 주식회사 중력 1 등급 무표백) 등을 이용하였다. 멸치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남해안산 건조 멸치[소멸(체장 3.69±0.6 cm, 체중 0.23±0.02 g, 수분 25.4%, 염도 6.9%)[를 구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믹서기(Mixer HR2870 Philips)를 이용하여 마쇄한 후 32 mesh의 체를 통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고기풀은 냉동 돔 연육(XiangshanSouth Aquatic Food Co., Ltd., Ningbo, China)을 이용하였으며, 고기풀의 성분은 어육 93.8%, 솔비톨 6%, 폴리인산염 0.2%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타 부재료로는 정제염(샘표), 대두단백(글루텐, Latenstein B.

데이터처리

  • 실험에서 얻은 모든 data는 SAS (SAS Institute. 1995. SAS/STAT Use'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program 중에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유의성이 있는 경우 다중범위검정(Duncan、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해 시료간의 유의차를 검증하였다(P <0.05).

이론/모형

  • 나타내는 Z? 값 [yellowness, -60~+60(-60=blue, +60=yellow)]을 측정하였고, 전체적인 변화를 알기 위해 National Bureau of Standards(NBS)의 정의에 따라색차(total color difference, Z1E)를 구하였다(Kim YY와 Cho YJ 1992). 어묵의 색도는 멸치 분말을 함유하지 않은 무첨가구에서 명도0값)가 8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OCS. 1990. Official method Ce 1B-89, Fatty acid composition by GLC in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OCS. 4th edition. Champaign, Illinois. Vol 1, pp 471 

  2. Auh JH, Lee KS, Lee HG. 1999. Development of branched oligosaccharides as a cryoprotectant in surim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5):952-956 

  3. Cho HO, Kwon JH, Byun MW, Lee MK. 1985. Preservation of fried fish meat paste by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6):474-481 

  4. Cho SH, Joo IS, Seo IW, Kim ZW. 1991. Preservative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on fish meat product. Korean J Food Hygiene 6(1):67-72 

  5. Choi BD, Kang SJ, Choi YJ, Youm MG, Lee KH. 1994.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3. Carotenoid compositions of ascidian tunic. Bull Korean Fish Soc 27(4):344-350 

  6. Chung KH, Lee CM. 1994. Function of nonfish proteins in surimi-based gel products. Korean J Soc Food Sci 10(2):146-150 

  7. Chung KH, Lee CM. 1996. Moisture-dependent gelation characteristics of nonfish protein affect the surimi gel texture. Korean J Soc Food Sci 12(4): 571-576 

  8. Chang DS, Cho HR, Lee HS, Park MY, Lim SM. 1998. Development of alginic acid hydrolysate as a natural food preservative for fish meat past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823-826 

  9. Hashimoto Y, Okaichi T. 1957. On the determination of TMA and TMAO. Bull Japan Soc Sci Fish 23:269-272 

  10. Hamada M, H Kumagai. 1988. Chemical composition of sardine scale. Nippon Suisan Gakkaishi, pp 54 

  11. Ha JU, Koo SG, Lee HY, Hwang YM, Lee SC. 2001. Physical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Agaricus bisp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4): 451-454 

  12. Ha JU, Koo SK, Hwang YM and Lee SC. 2001.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The Journal of KASBIR 1:32-36 

  13. Hew MS, Kim JS. 2002. Comparison of quality among boiled-dried anchovies caught from different sea. J Korean Fish Soc 35(2):173-178 

  14. Juaneda P, Rocquelin G. 1985. Rapid and convenient preparation of phospholipid and non-phospholipids from ray heart using silica cartridges. Lipids 20(1); 40-43 

  15. Kim YY, Cho YJ. 1992.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frozen surimi and jelly strength of kamaboko. Bull Korean Fish Soc 25(2):73-78 

  16. Kang KH, No BS, Seo JH, Hu WD. 1998. Food Analy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Academic press, Seoul. pp 387-394 

  17. Kim JS, Choi JD. 1998. Quality stability of emulsion curd-added surimi gel from fish with a red muscle during storage. Food Engineering Progress 2(2): 102-107 

  18. Kim JS, Yeum DM, Kang HG, Kim IS, Kong CS, Lee TG, Lee MS. 2001. Fundamental and application for canned foods. Hyoil Pub. Co, Korea, pp. 15-24 

  19. Koo SG, Ryu YK, Hwang YM, Ha JU, Lee SC. 2001.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2):288-291 

  20. KFDA. 2006.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1. Oh KS, Lee EH, Kim MC, Lee KH. 1987.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kipjack meat extract. J Korean Fish Soc 20(5):441-446 

  22. Park SM, Lee BB, Hwang YM, Lee SC. 2006.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clav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908-911 

  23. Park SM, Seo HK, Lee SC.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1256-1259 

  24. Ryder JM. 1985. Determination of ATP and its breakdown products in fish muscle by HPLC. J Agric Food Chem 33(4):678-680 

  25. SAS Institute. 1995. SAS/STAT Use'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26. Yook HS, Lee JW, Lee HJ, Cha BS, Lee SY, Byun MW. 2000. Quality roperties of fish paste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 (Halocynthia reretzi) tun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4):642-6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