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Water Extracts from Ailanthus altissim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9, 2007년, pp.1113 - 1119  

이양숙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최진범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주은영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김남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방생명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죽나무(A. altissima)를 대상으로 뿌리와 줄기, 잎을 $80^{\circ}C$의 조건에서 물을 용매로 추출한 가죽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및 XO 저해 활성과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뿌리(74.83%)>줄기(70.01%)>잎(29.24%)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가죽나무 잎 추출물은 1.0 mg/ mL pH 1.2와 3.0의 조건에서 각각 95%와 89% 이상으로 줄기(55.17%)와 뿌리(33.33%)보다 높은 소거율을 보였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93%와 8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에서도 잎 추출물은 26.77%로 뿌리의 3.82%보다 7배 높았으며, 줄기 추출물에서는 SOD 유사활성 효과가 없었다. XO의 저해율은 세가지 추출물 모두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약 90% 이상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2.0 mg/mL의 농도에서 잎 추출물이 16.33%으로 뿌리(7.09%)와 줄기(5.21%) 추출물보다 약 2배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가죽나무 잎 추출물은 현재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뿌리와 줄기보다 전자공여능은 낮았으나 뿌리보다 7배 높은 SOD 유사활성 효과와 약 9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죽나무의 잎 추출물은 약 95%의 XO 저해 활성과 약 16%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뿌리와 줄기보다 저해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가죽나무의 잎에서도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뿌리뿐만 아니라 잎도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의 원료 및 첨가물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extracts from root, stem and leaf of Ailanthus altissima were utilized to determine antioxidant properties such as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nitrite scavenging abil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XO) and tyrosinase.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유용성분과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예상되는 가죽나무의 뿌리와 줄기, 잎을 각각 분리하고 80oC의 온도에서 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가죽나무의 각 부위별 물 추출물에대한 생리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Perry LM. 1990. Medicinal Plant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ttributed Properties and Uses. The MIT Press, London. p 431 

  2. Nguyen MT, Awale S, Tezuka Y, Tran QL, Watanabe H, Kadota S. 2004.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Vietnamese medicinal plants. Biol Pharm Bull 27: 1414-1421 

  3. Fridorich I. 1978. The biological activit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1 

  4. Hammond B, Kontos A, Hess ML. 1985. Oxygen radicals in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myocardial ischemia and repercussion injury, and in cerebral vascular damage. Can J Physio Pharmacol 63: 173-187 

  5. Imlay IA, Limm S. 1986. DNA damage and oxygen radical toxicity. Science 240: 1302-1309 

  6. Chance B, Sies H, Boveris A.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 527-605 

  7. 구본홍. 1994. 동의보감(허준 저). 대중서관, 서울. p 555, 1456 

  8. 國家中??藥管理局編委會. 1999. 中華本草. 上海科學技術出版社, 上海. Vol 5, p 3-6 

  9. 최영전. 1992. 산나물 재배와 이용법. 오성출판사, 서울. p 206 

  10. Kim J, Kim HK, Park SW, Choi JW, Lee CK. 1994.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constituents of Ailanthi cortex radicis II. Acute and renal toxicity of chloroform fraction on epoxide hydrolyzing system in liver. Kor J Pharmacogn 25: 47-50 

  11. Kubota K, Fukamiya N, Tokuda H, Nishino H, Tagahara K, Lee KH, Okano M. 1997. Quassinoids as inhibitors of Epstein-Barr virus early antigen activation. Cancer Letters 113: 165-168 

  12. Pascual-villalobos MJ, Robledo A. 1998. Screening for anti-insect activity in mediterranean plants. Indust Crops Prod 8: 183-194 

  13. Jeong YM, Park SK, Lee KJ, Kim YM, Yun YG, Kim WS, Han DM, An WG, Yoon YS, Jeon BH. 2003. Effect of Ailanthus altissima on the apoptosis and cell cycle of HL-60 leukemia cell line. Korean J Ori Phys Path 17: 914-922 

  14. 江蘚新醫學院. 1979. 中葯大辭典. 1th ed. 下冊, 上海. p 2577- 2579 

  15. Kazuya K, Katsuyoshi M, Kazuo K, Taichi O. 1994.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ilanthus integrifolia. Chem Pharm Bull 42: 1669-1671 

  16. Barakat HH. 1998.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constitutive phenolics of the structure of a new flavone glycoside gallate. Nat Prod Sci 4: 153-157 

  17. Lee DG, Chang YS, Park YK, Hahm KS, Woo ER. 2002. Antimicrobial effects of ocotillone isolated from stem bark of Ailanthus altisshima. J Microbiol Biotechnol 12: 854- 857 

  18. Kim KW, Baek JK, Jang YW, Kum EJ, Kwon YS, Kim HJ, Sohn HY. 2005. Screening of antibacterial agen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from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J Life Science 15: 715-725 

  19. Kim J, Lee CK. 1997.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constituents of Ailanthi cortex radicis Ⅲ. Antitumor activities of dicholoromethane fraction. Kor J Pharmacogn 28: 54-58 

  20. Hwang WG, Lee HC, Kim CK, Chun HJ, Jeung SI, Jeon BH. 2001. Induction of apoptosis in Jurkat T lymphocytes by extract of Ailanthus altissima. Kor J Pharmacogn 32: 274-279 

  21. Hwang WG, Lee HC, Kim CK, Kim DG, Lee GO, Yun YG, Jeon BH. 2002. Effect of Ailanthus altissima water extract on cell cycle control genes in Jurkat T lymphocytes. J Pharm Soc Korea 46: 18-23 

  22. Lee YS.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Ailanthus altissima. Korean J Food Preserv 14: 170- 176 

  23. Koh JH, Hwang MO, Moon JS, Hwang SY, Son JY.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71-179 

  24. Sung HS, Kim WJ. 1986. Effect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soluble solid's yield of Korean red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168-172 

  25. Sung HS, Yang CB, Kim WJ. 1985. Effect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saponin composition of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65-270 

  26. Kim NM, Sung HS, Kim WJ. 1993. Effect of solvents and some extraction conditions on antioxidant activity in cinnamo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04-209 

  2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8.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9. Marklund S,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30. Stirpe F,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1 

  31.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 53: 517-519 

  32. Lee YS.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89-394 

  33.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34. Jang MJ, Woo MH, Kim YH, Jun DY, Rhee SJ. 2005. Effects of antioxida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thrombogenic by the extract of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J Nutrition 38: 386-394 

  35. Kang MJ, Shin SR, Kim K. 2002.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v 9: 253-259 

  36.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a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37. Azuma K, Nakayama M, Koshika M, L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g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38. Kwon TD, Choi SW, Lee SJ, Chung KW, Lee SC. 2001. Effects of polyphenol or vitamin C ingestion on antioxidative activity during exercise in rats. Kor J Phys Edu 3: 891-899 

  39. Lee YS, Joo EY, Kim NW.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the Lespedeza bicolor. Korean J Food Preserv 12: 75-79 

  40. Moon SH, Lee MK. 1998. Inhibitory effects of xanthine oxidase by boiled water extract and tannic from persimmon leaves. Korean J Food Nutr 11: 354-357 

  41. Yeo SG, Park YB, Kim IS, Kim SB, Park YH. 199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154-159 

  42. Lee YS, Joo EY,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616-622 

  43. Jung SW, Lee NK, Kim SJ, Han DW.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