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수유(Cornus officianalis)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돌연변이 활성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ornus officianal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 2008년, pp.1 - 7  

전연희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과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500 ppm의 농도에서는 합성항산화제인 BHT보다 높았고 천연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와 유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S. Typhimurium TA100에 대해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은 직접돌연변이원인 4-NQO 사용 시 항돌연변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은 $700{\mu}g/plate$ 첨가하였을 때 인체 간암 세포와 자궁경부암 세포의 증식을 모두 78% 이상 억제하였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은 비교적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이들 물질이 항산화와 항암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산수유에는 비타민 C를 비롯한 다른 항산화 성분도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항산화성도 추출물의 항산화력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었으며 인체 간암세포, 자궁경부암 세포 및 대장암 세포에 대해 항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Cornus officianalis have been studi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method. The inhibition effect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Typhimuriu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 항돌연변이 및 항암 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과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검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 항돌연변이 및 항암 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과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검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 항산화제를 과량 섭취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로는 butylated hydroxyanisole(BHA), butylated hydroxytoluene(BHT)와 같은 합성 항산화제와 토코페롤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가 있다. BHT와 BHA는 우수한 항산화력을 지니고 있지만 과량 섭취 시 암 유발 가능성 등 안전성이 논란이 되고 있으며, 토코 페롤은 가격이 높아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경제적 인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2). 이에 식품과학 분야에서는 천연 생물자원으로부터 항산화력이 우수한 물질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으며, 나아가 이들 생리활성 소재를 추출하여 첨가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
산화적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체내 시스템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환경오염 물질, 환경 호르몬, 흡연 및 알코올 등은 인체 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경우에는 체내 항산화 시스템에 의해 제거되어진다. 그러나 체내 산화-항산화 시스템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면 지질의 과산화, 단백질의 변성, DNA의 손상 및 면역계 교란 등으로 인하여 여러 성인병, 노화 및 암이 유발될 수 있다.
체내 산화-항산화 시스템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면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가?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경우에는 체내 항산화 시스템에 의해 제거되어진다. 그러나 체내 산화-항산화 시스템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면 지질의 과산화, 단백질의 변성, DNA의 손상 및 면역계 교란 등으로 인하여 여러 성인병, 노화 및 암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각종 질병과 노화로부터 예방하기 위하여 항산화제의 섭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ung DS. 2003. Player's training of physical strength and reactive oxygen. J Sports Sci 86: 32-39 

  2.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J Am Oil Chem Soc 52: 59-63 

  3. Oh HS, Kim JH.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Korean J Food Culture 21: 550-558 

  4. Kim EY, Baik IH, Kim JH, SR Kim,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5. Bors W, Saran M. 1987. Radical scavenging by flavonoid antioxidant. Free Rad Res Comm 2: 289-294 

  6. Park YK, Whang WK, Kim IH. 1995. The antidiabetic effects of from Cornus officinalis seed. Chung-Ang J Pham Sci 9: 13-22 

  7. Chung SR, Jeune KH, Park SY, Jang SJ. 1993. Toxicity and lectins constituents from the seed of Cornus officinalis. Korean J Phamacogn 24: 177-182 

  8. Kim YH. 1999. Isolation of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Cornus officinalis. Siebold 14: 287-292 

  9. Seo KI, Lee SW, Yang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99-103 

  10. Dai Y, Hang B, Huang Z. 1992. Inhibition of Corni fructus on experimental inflammation. Chung Kuo Chung Yao Ts Chih 17: 307-309 

  11. Yamahara J, Mibu H, Sawada T, Fujimura J, Takino S. 1981. Antidiabetic principles of Corni Fructus experimental diabetes induced by streptozotocin. Yakugaku Zasshi 101:86-90 

  12. Han SH, Woo NR, Lee S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 Crop Sci 14: 49-55 

  1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4.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15.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7.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8. Lee SE, Seong NS, Bang JK, Park CG, Sung JS, Song J.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11: 127-134 

  19. Chen JH, Ho CT.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and its related hydroxycinnamic acid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5: 2374-2378 

  20. Ahn BY, Kim DG, Choi DS. 1999. Antimutagenic effect of Salvia miltriorrhza Bung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197-202 

  21. Park SW, Kim SH, Chung SK. 1995. Antimutagenic effects and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Humulus japonicus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7-901 

  22. Moon SH, Park KY, Chung HY, Young HS. 1995. Antimutagenic effects of traditional herbal drugs on the aflatoxin Β1. J Food Hyg Safety 10: 219-224 

  23. Kim SA, Kim J, Woo MK, Kwak CS, Lee MS.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51-459 

  24. Lee KI, Park KY, Rhee SH.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toward aflatoxin B1 and 4-nitroquinoline-1-oxide. J Korean Soc Food Nutr 21: 143-148 

  25. Steele VE, Kelloff GJ. 2005. Development of cancer chemopreventive drugs based on mechanistic approaches. Mutat Res 591: 16-23 

  26. Kim BH, Park KW, Kim JY, Jeong IY, Yang GH.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arcinogenic compound from Corni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01-1007 

  27. Kim CH, Kim HS, Kwon MC, Bae GJ, Ahn JH. 2006. Increase effect of anticancer activities on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by the change of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317-321 

  28. Kim SA, Kim J, Woo MK, Kwak CS, Lee MS.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51-459 

  29.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30. Park YS. 2002. Antioxidant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23-31 

  31. Cuvelier ME, Richard H, Berset C. 1996.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enolic composition of pilot-plant and commercial extracts of sage and rosemary. J Am Oil Chem Soc 3: 645-652. 

  32. Kwak CS, 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21-929 

  33. Jimenez-Escrig A, Rincon M, Pulido R, Saura-Clixto F. 2001. Guava fruit (Psidium guajava L.) as a new source of antioxidant dietary fiber. J Agric Food Chem 49: 5489-5493 

  34. Iqbal S, Bhanger MI, Anwar F. 2005.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varieties of rice bran in Pakistan. Food Chem 93: 265-272 

  35. Jeong IY.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on of two flavonoid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62-166 

  36. Yoon SY, Lee HJ, Lee SS, Choi DH, Paik KH. 2000.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V)-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heartwood of Larix leptolepi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Mokchae Konhak 28: 78-84 

  37. Kim MJ. 1992. Comparative studies on nutrients in Lycil Fructus and Corni Fructu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