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자두와 후무사로 만든 자두와인 내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은 피자두 와인 ($478.4{\pm}5.6\;mg/L$)이 후무사 와인 ($200.6{\pm}7.5\;mg/L$)보다 2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피자두 와인 ($202.4{\pm}7.5\;mg/L$)이 후무사 와인 ($64.4{\pm}6.8\;mg/L$)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자두와인 자체의 항산화 효과를 DPPH 전자공여능으로 비교분석하였을 때 정제된 페놀화합물보다 그 활성이 크게 낮았으나, ethyl acetate로 추출한 중성 페놀화합물과 산성 페놀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은 mg/mL의 농도에서 정제된 페놀화합물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성페놀화합물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64.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동일 농도의 정제된 페놀화합물(chlorogenic acid 15.5%, quercetin 24.6%)의 활성보다 3배 이상 높은 값이었다. vero cell에 돼지설사바이러스(PEDV)를 감염시켜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분석한 결과 중성 페놀화합물이 저농도 ($10\;{\mu}g/mL$이하)에서 상용 항바이러스제인 ribavirin보다 세포독성효과 (CPE)를 더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류의 페놀화합물간에는 중성 페놀화합물이 산성 페놀화합물에 비해 최대 1.5배 정도 더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고농도 ($100\;{\mu}g/mL$)에서는 ribavirin이 페놀화합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나타나지 않아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이 바이러스 특이적인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plum cultivar wines (Prunus salicina L. cv. Soldam and P. salicina L. cv. Formosa) were determined using spectrophotometric methods. The total phenolic and flavanoid contents of Soldam wine were $478.4\;{\pm}\;5.6\;mg$ GA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자두에 포함된 폴리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아직까지 조사, 보고 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김천지역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피자두 (Prunus salicina L. cv. Soldam)와 후무사 (Prunus salicina L. cv. Formosa)를 원료로 제조한 자두와인에서 폴리페놀 함량과 그들의 항산화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유기용매로 추출한 페놀화합물 분획의 항바이러스 활성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많은 종류의 페놀성 phytochemical은 어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이들은 과일이나 채소 등에 다량 함유되어 식품의 형태로 체내에 흡수되고 있으며, 과일 및야채를 가공한 음료나 와인의 맛, 색깔 및 향 등의 감각적인 품질을 결정지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2). 많은 종류의 페놀성 phytochemical이 항산화, 항암, 항균, 항알러지, 항변 이원성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또한, 플라보노이드계통의 페놀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채소류 등을 매일 식이로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 및심장병의 위험도를 감소시킨다는 임상 결과도 보고된 바있다(8,9).
폴리페놀 화합물이란? 폴리페놀 화합물은 식물계에서 중요한 2차 대사물질로 방향족 벤젠환에 수산기가 치환되어 다양한 유도체를 형성 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phytochemical이다. 폴리페놀류 중에 플라보노이드는 배당체 형태로, 페놀산은 에스테르 형태로 주로 존재한다(1).
플라보노이드의 역할은 무엇인가? 폴리페놀류 중에 플라보노이드는 배당체 형태로, 페놀산은 에스테르 형태로 주로 존재한다(1). 이들은 과일이나 채소 등에 다량 함유되어 식품의 형태로 체내에 흡수되고 있으며, 과일 및야채를 가공한 음료나 와인의 맛, 색깔 및 향 등의 감각적인 품질을 결정지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2). 많은 종류의 페놀성 phytochemical이 항산화, 항암, 항균, 항알러지, 항변 이원성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D.O., Chun, O.K., Kim, Y.J., Moon, H.Y., and Lee, C.Y. (2003) Quantification of poly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in fresh plums. J. Agric. Food Chem. 51, 6509-6515 

  2. Kim, D.O., Jeong, S.W., and Lee, C.Y. (2003)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 Food Chemistry, 81, 321-326 

  3. Cao, Y., and Cao, R. (1999) Angiogenesis inhibited by drinking tea. Nature, 398, 381 

  4. Eberhardt, M.V., Lee, C.Y., and Liu, R. H.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 apples. Nature, 405, 903-904 

  5. Ito, A., Shamon, L.A., Yu, B., Mata-Greenwood, E., Lee, S.K., van Breemen, R.B., Mehta, R.G., Farnsworth, N.R., Fong, H.H.S., Pezzuto, J.M., and Kinghorn, A.D. (1998) Antimutagenic constituents of Casimiroa edulis with potential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J. Agric. Food Chem., 46, 3509-3516 

  6. Kawaii, S., Tomono, Y., Katase, E., Ogawa, K., and Yano, M. (1999)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the readily extractable fractions prepared from various Citrus juices on several cancer cell lines. J. Agric. Food Chem., 47, 2509-2512 

  7. Kim, M.Y., Choi, S.W., and Chung, S.K. (2000) 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the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 Food Sci. Biotechnol., 9, 199-203 

  8. Cook, N.C., and Samman, S.(1996) Flavonoids-chemistry, metabolism, cardioprotective effects, and dietary sources. 1996, J. Nutr. Biochem., 7, 66-76 

  9. Knekt, P., Jarvinen, R., Reunanen, A., and Maatela, J. (1996) Flavonoid intake and coronary mortality in Finland: a cohort study. Br. Med. J. 312, 478-481 

  10. 하동욱, 김천시 농업기술센터 

  11. Raynal, J., Moutounet, M., and Souquet, J.M. (1989) Interven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lum technology. 1. changes during drying. J. Agric. Food Chem., 37, 1046-1050 

  12. Donovan, J.L., Meyer, A.S., and Waterhouse, A.L. (1998)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unes and prune juice(Prunus domestica). J. Agric. Food Chem., 46, 1247-1252 

  13. Wang, H., Cao, G., and Prior, R.L. (1996)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J. Agric. Food Chem., 44, 701-705 

  14. 윤옥현, 강병태, 이재우, 한만덕, 최영훈. (2005) 자두주생성균주 사카로마이세스속 케이씨에스 7 및 이를 이용한 자두주의 제조방법. 특허 제 0483228호 

  15. Singleton, V., and Rossi, J.A.Jr.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6. Zhishen, J., Mengcheng, T., and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cs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7. Jaworski, A.W., and Lee, C.Y. (1987) Fractionation and HPLC determination of grape phenolics. J. Agric. Food Chem., 35, 249-251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Choi H.J., Kim J.H., Lee C.H., Ahn Y.J., Song J.H., Baek S.H., and Kwon D.H. (2009) Antiviral activity of quercetin 7-rhamnoside against porcinr epidemic diarrhea virus , Antiviral Res., 81, 77-81 

  20. Antonio, P., Alessandra, D.C., and Giampaola, C. (2003) From plum to prunes: influence of drying parameters on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Chem., 51, 3675-3681 

  21. Tomas-Barberan, F.A., Gil, M.I., Creme, P., Waterhouse, A.L., Hess-Pierce, B., and Kader, A.A. (2001) HPLC-DAD-ESIMS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nectarines, peaches, and plum. J. Agric. Food Chem., 49, 4748-4760 

  22. Chun, O.K., Kim, D.O., and Lee, C.Y. (2003)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ajor polyphenols in fresh plums. J. Agric. Food Chem., 51, 8067-8072 

  23. Smith, R.A., and Kirkpatrick, W. (1980). "Ribavirin: structure and antiviral activity relationships", Ribavirin: A Broad Spectrum Antiviral Agent. New York: Academic Press, 1-21 

  24. Knox, Y.M., Hayashi, K., Suzutani, T., Ogasawara, M., Yoshida, I., Shiina, R., Tsukui, A., Terahara, N., and Azuma, M. (2001) Activity of anthocyanins from fruit extract of Ribes nigrum L. against influenza A and B viruses. Acta Virol., 45, 209-215 

  25. Kanakis, C.D., Tarantilis, P.A., Polissiou, M.G., Diamantoglou, S., and Taimir-Riahi, H.A. (2005) DNA interaction with naturally occurring antioxidant flavonoids quercetin, kaempferol, and delphinidin. J. Biomol. Struct. Dyn., 22, 719-724 

  26. Sokmen, M., Angelova, M., Krumova, E., Pashova, S., Ivancheva, S., Sokmen, A., and Serkedjieva, J. (200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polyphenol extracts with antiviral properties from Geranium sanguineum L. Life Sci., 76, 2981-2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