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Hexane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
Antimicrobial and antivir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by n-Hexane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6 no.2, 2013년, pp.87 - 93  

이주현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최영호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박윤진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장효완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병수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ntivirus properties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s. The n-hexane extracts from Saururus chinensis showed the acti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aururus chiensis n-hexa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삼백초 n-hexane 분획물이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추후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적송수피 추출물의 항생제 대체효과에 관한 연구(Park, 2010), 복합 생균제에 유기산과 β-glucan을 이용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혼합급여 연구(Lee 등, 2011), 비육 사료에 한방 부산물 등을 복합 처리한 항생제 대체 물질 연구(Kang 등, 2007) 등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의 분획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Gram (+)와 Gram (-)에 대한 항균 효과와 소설사병 유발 바이러스(BVD)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민간에서 사용해온 삼백초를 이용하여 항균 효과 및 BVD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물질탐색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 실험 결과 삼백초 n-hexane 분획물이 항균 및 항바이러스 양쪽에 효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삼백초 추출 분획물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능을 동시에 지닌 천연소재로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축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본 연구자료로 이용될 수 있는 동시에 화학적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소재 개발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또한 MDBK (Madin-darby bovine kidney) 세포와 BVD (Bovine viral diarrhea) 바이러스에 대한 세포독성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삼백초 추출물에서 항균 효과와 항바이러스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추출 조건과 적정 농도를 통해 기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항균 및 항바이러스 사료 첨가 물질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백초의 효능과 관련되어 보고된 연구 결과는? 삼백초에 관한 연구로는 삼백초의 약물학적 연구 (Kwak와 Kwon, 1998), 마디수와 종근부위가 삼백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Park 등, 1998) 등의 보고가 있다. 알려진 삼백초의 효과로는 항암 및 항산화 효과(Lee, 2001; Park 등, 1997), 이뇨, 항균, 해독, 거담, 임질, 위장병, 간염, 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신, 1994; Lee, 2002), 황색포도상구균 및 장티푸스균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어진다(黃, 1994). 또한 삼백초는 각종 난치병 치료제로 사용하는데 이는 게르마늄을 비롯한 플라본계 탄닌과 아미노산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며(권, 1999), 성분에 관한 연구(Jung, 1992; Wang 등, 1996), 간세포 보호활성(Seong, 1998), 복강 대식세포의 형태변화와 유리기전(Jin 등, 1997; Jeon 등, 1998) 등에 대한 연구도 있어왔다.
삼백초의 개화기는 몇 월인가? 삼백초(三白草, Saururus chinesis)는 습지에서 잘 자라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多年生) 식물로 꽃이 피는 6∼8월에 2∼3개의 잎이 백색이기 때문에 삼백 초라 부르며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주로 제주도 고산지에서 자생하고 있다(김, 1984). 식 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큰 삼백초는, 현재 주로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차나 나물로 중국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Koh, 2004).
국내 항생제 사용을 전면 금지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그러나 과거 생산량 증대를 목적으로 사용해 오던 항생제 등의 사료첨가물이 축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최대한 사용이 자제되고 있다. 과거 연간 항생제 사용량이 다른 나라에 비해 과도하게 사용됨으로 인해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등 항생제 내성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Kang 등, 2010). 그래서 정부는 축산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축산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료용 항생제 첨가를 2005년부터 단계적으로 줄여왔으며, 2011년 7월부터는 항생제 사용을 전면 금지하였다(Park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권중안. 1999. 속 삼백초와 어성초에 대하여. 대한한약 3: 28-32. 

  2. 김재길. 1984. pp. 174. 천연약물대사전. 남산당, 서울. 

  3. 신민교. 1994. pp. 336-337. 임상본초학. 영림사, 서울. 

  4. 이연희. 2001. 임상과 축산에서 발견되는 항생제 내성균주의 현황.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5: 43-54. 

  5. 정석찬. 2007. 축산 항생제내성 및 항생제 사용실태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청. 

  6. 진영화. 2008. 질병관리 II-소 바이러스 설사병(Bovine Viral Diahhrea, BVD), 왜 중요한가. 낙농육우회보 28: 136-138. 

  7. 黃泰康. 1994. pp. 177. 常用中藥成分與藥理手冊. 中國醫藥料技出版社, 北京. 

  8. Hierholzer JC, Killington RA. 1996. Virus isolation and quantitation. pp. 35-46. In: Mahy BW, Kangro. HO(ed.). Virology Methods Manual. 1st ed. Academy Press, San Diego. 

  9. Jeon GH, Shin MK, Song HJ. 1998. Studies on the mechanism of nitric oxide (NO) induction in the pertoneal macrophages by Herba Saurui (HS). KOMS 19: 36-49. 

  10. Jin SW, Park SJ, Shin MK, Song HJ. 1997. Rhizoma Saururi (RS) induced the morphological change of the peritoneal macrophages through nitric oxide (NO). J of Hebology 12: 131-141. 

  11. Jung DS. 1992. A study on fatty acids and amino acids of Saururus Chinensis. Cheju Univ Jour (NaturalSci) 35: 111-118. 

  12. Kang SK, Kim YD, Choi OJ.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Defatted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s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32-238. 

  13. Kang SN, Kim JD, Kim IS, Jin SK, Lee MH. 2007. Effect of Replacing Antibiotics by Herb Extracts and Digestive Enzymes Containing Vitamin E and Oriental Medicinal Plants Byproduct on Blood Serum Cholesterol and Meat Qualities in the Hog Loin Me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87-94. 

  14. Kang TY, Kang ST, Ihn YH, Lee YH, Cho DY, Lee SJ, Son WG, Heo MS, Jeong DK. 2010. Prevention of Salmonella Infection in Layer Hen Fed with Microbial Fermented Citrus Shell. J of Life Sci 20: 190-196. 

  15. Koh MS.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Bail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98-1105. 

  16. Kott V, Barbini L, Cruanes M, Munoz JD, Vivot E, Cruanes J, Martino V, Ferraro G, Cavallaro L, Campos R. 1999. Antiviral activity in Argentine medicinal plant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64: 79-84. 

  17. Kwak JW, Kwon CH. 1988. Pharmacological studies on Saururus chinensis Baill. Kyung Hee University Bulletin of Kyung Hee Pharmaceutical Science 16: 137-154. 

  18. Lee IS. 2001.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water extracts on the cancer cell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cytotoxicit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13-216. 

  19. Lee IS, Lee SG, Kim HS. 2002.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11-416. 

  20. Lee SB, Kim BK, Park CH, Park GH, Jin YC, Kang HS, Kim YC, Kim YC, Bai SC, Kim SK, Choi YJ, Lee HG. 2011.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and Immunomodulator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Korean Native Chicke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53: 409-418. 

  21. Park SK, Oh GJ, Bae CI, Kim HJ, Han WS, Chung SG, Cho EW. 1997. Studies on the cytotoxic constituen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J Pharm Soc Korea 41: 704-708. 

  22. Park BS. 2010. Effect of Dietary Antibiotic Replacement with Korean Red Pine Bark Extracts in Broiler Diets. Journal of Life Science 20: 1047-1053. 

  23. Park JH, Park BG, Kim MJ, Park SG, Kim JH. 1998. Effects of seed tuber position and number of nodes on growth of Saururus Chinensis Baill. Korean J Medicine Crop Sci 6: 286-293. 

  24. Park YS, Kim JR, Kang BK, Choe YH, Kim BS. 2012. Inhibitory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coccidiosis. Korean J Vet Serv 35: 25-31. 

  25. Seong SH. 1998. Hepatoprotective lignans of Saururus Chinen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6. Wang EC, Shih MH., Liu MC, Chen MT, Lee GH. 1996. Studies of constituents of Saururus chinensis. Heterocycles 43: 969-9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