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환경에서 분리한 Pseudoalteromonas 속 균주들의 특징 및 색소 생성 최적 조건
Characterization of Pigment-Producing Pseudoalteromonas spp. from Marine Habitats and Their Optimal Conditions for Pigment Productio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8 no.12 = no.104, 2008년, pp.1752 - 1757  

정동우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진숙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제주도와 서해안 염전의 해수로 부터 각각 빨강 (JU11-1), 노랑(JU14), 주황(TA20)의 색소를 생성하는 3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들의 분류학적 특성 및 16S rRNA 서열 분석 결과 3 균주 모두 Pseudoalteromonas 속 세균으로 밝혀졌다. 이들 각각의 색소 최대 흡수파장은 각각 537, 378, 387 nm로 나타났다. 균주는 Marine broth 2216에서 잘 자랐으며, $30^{\circ}C$, 2% NaCl, pH 6-7 의 조건에서 Ju11-1과 Ju14는 배양 24 시간에, TA20은 배양 28 시간에 최대 색소 생성을 나타냈다. 탄소원으로 maltose를 1% 첨가하였을 경우 색소 생성이 우수하였으며, 질소원으로는 beef extract를 1% 첨가하였을 경우 최적의 색소 생성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marine bacteria producing pigments were isolated from seawater of Jeju-Do and local solar saltern in Korea. Based on phenotypic characteristics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the strains were identified as Pseudoalteromonas spp., which produced red (Ju11-1), yellow (Ju14), and orange (TA20)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색소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제주도를 비롯한 섬지역의 해안 해수와 서해안의 평화염전의해수로부터 색소생성능이 우수한 해양세균, Pseudoalteromonas 속 Ju11-1, Ju14, TA20 세 균주를 분리하여 균주들의 분류학적 특성과 최적 색소 생성 조건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색소는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색소는 크게 천연색소와 합성색소로 나누어지며 식품공업, 화장품, 의약품, 가축사료 첨가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19세기 이후 화학공업의 발달과 함께 합성 색소가 개발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져 왔지만 안정성 등이 문제가 되면서 이의 대안으로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서 점차 천연색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4,11].
색소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색소는 크게 천연색소와 합성색소로 나누어지며 식품공업, 화장품, 의약품, 가축사료 첨가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19세기 이후 화학공업의 발달과 함께 합성 색소가 개발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져 왔지만 안정성 등이 문제가 되면서 이의 대안으로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서 점차 천연색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4,11].
미생물 색소는 천연 색소의 어떤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천연색소는 주로 식물성 색소로 chlorophyll, carotenoid, phycopyrine, anthoxanthin, anthocyanin, 천연 carotine, xanthophyll 등이 알려져 있으며 천연 색소는 착색료 용도[14] 외에도 비타민 A 전구체, 면역기능의 활성화, 산소래디칼의 제거 등, 영양성과 약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15]. 그러나 지금까지 천연색소는 대부분 동물이나 식물에서 직접 추출하여 사용되었으나 추출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육조건과 자연환경에 따라 품질의 변화가 심하여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7,16].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상시 안정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 색소에 대하여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8,11,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enner, D. J., N. R. Krieg, J. T. Staley and G. M. Garrity. 2005.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pp. 467-478, 2nd eds., Vol. 2, Springer. USA. 

  2. Chun, C. H. and J. S. Park. 2000. Chemosystematic and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from coastal seawater, Korea. Kor. J. Microbiol. 36, 167-172. 

  3. Kim, C. H., S. H. Kim and S. I. Hong. 199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digiosin-like red pigment produced by Serratia sp. KH-95.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283-289. 

  4. Kim, H. J., H. J. Park, S. K. Bae, J. D. Kim, I. S. Kong and J. Y. Kong. 1996. Characterization of red-pigment produced by marine bacterium Vibrio sp. J. Korean Soc. Food Nutr. 25, 294-300. 

  5. Kim, J. D., D. S. Kang, M. Y. Kim, S. B. Roh, M. R. Choi, S. H. Song, S. H. Baek, H. J. Seo, D. H. Kim and J. Y. Kong. 2001. Production of carotenoid from halophilic Erythrobacter sp.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43-151. 

  6. Kim, T. S., M. J. Jung, B. H. Ryu, W. H. Joo, J. W. Park and Y. K. Jeong. 1999. Optimal growth conditions for carotenoid pigment production from marione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39-1243. 

  7. Kim, Y. H. and S. S. Lee. 1994. A Study of geenish pgments from Rhodopseudomonas viridis by aetone etraction: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fod clor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93-97. 

  8. Klassen, J. L. and J. M. Foght. 2008. Differences in carotenoid composition among Hymenobacter and related strains support a tree-like model of carotenoid evolution. Appl. Environ. Microbiol. 74, 2016-2022. 

  9. Lagarde, D., L. Beuf and W. Vermaas. 2000. Increased poduction of zaxanthin and oher pgments by aplication of genetic engineering techniques to Synechocystis sp. strain PCC 6803. Appl. Environ. Microbiol. 66, 64-72. 

  10. Lauro, G. J. 1991. A primer in natural colors. Cereal Foods Worl. 36, 949-953. 

  11. Lim, Y. W., S. A. Lee, Y. K. Park, S. B. Kim and J. S. Park. 2005. Diversity of denitrifying bacteria isolated from Daejeon sewage treatment plant. J. Microbiol. 43, 383-390. 

  12. Miura, Y., K. Kondo, T. Saito, H. Shimada, P. D. Fraser and N. Misawa. 1998. Production of carotenoids lycopene, $\beta$ - carotene, and astaxanthin in the food yeast Candida utilis. Appl. Environ. Microbiol. 64, 1226-1229. 

  13. Mortensen, A. 2006. Carotenoids and other pigments as natural colorants. Pure Appl. Chem. 78, 1477-1491. 

  14. Park, C. D., H. J. Jung and T. S. Yu. 2005. Optimization of pigment production of Monascus purpureus P-57 in liquid culture.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 66-70. 

  15. Rao, A. V. and L. G. Rao. 2007. Carotenoids and human health. Phamacol. Res. 55, 207-216. 

  16. Riboh, M. 1977. Natural colors. Food Eng. 49, 66-72. 

  17. Ryu, B. H. and M. J. Kim. 2000. Production of r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utilizing colloidal chitin. Kor. J. Microbiol. Biotechnol. 28, 264-269. 

  18. Ventosa, A., M. C. Marquez, F. Ruiz-Berraquero and M. Kocur. 1990. Salinicoccus riseus gen. nov., sp. nov., a New moderately halophilic Gram-Positive coccus. System. Appl. Microbiol. 13, 29-33. 

  19. Yeon, S. H., W. J. Jeong and J. S. Park. 2005. The diversity of culturable organotrophic bacteria from local solar salterns. J. Microbiol. 43, 1-10. 

  20. Yongsmith, B., S. Krairak and R. Bavavoda. 1994. Production of yellow pigments in submerged culture of a mutant of Monascus sp. J. Ferment. Bioeng. 78, 223-2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