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걀껍질이 배추의 생육과 무사마귀병 발병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gshell Powder on Clubroot Disease Control and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4 no.3, 2008년, pp.193 - 200  

김병관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임태헌 ((주)삼호유비 농생명과학연구소) ,  김윤희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박석환 (서원대학교 환경건설정보학과) ,  이상화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병진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달걀껍질을 1:5, 1:10, 1:15, 1:20, 1:25의 비율로 토양에 혼화처리 하였을 때 배추를 비롯한 몇 가지 작물의 종자 발아율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달걀껍질 혼화수용액의 pH는 증가하였으며, 수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Plasmodiophora brassicae의 휴면포자 활성율은 감소하였는데, 달걀껍질 혼화수용액에서의 불활성화율이 같은 pH의 수용액에서의 불활성화율보다 5배 이상 높았다. '노랑 봄배추'는 달걀껍질을 토양에 혼화하였을 때 무처리에 비하여 생육이 증가한 반면, 다른 작물들의 생육은 달걀껍질 처리구에서 무처리보다 저조하였다. '노랑봄배추'는 달걀껍질을 $1:20{\sim}1:15$로 토양에 혼화하였을 때 엽수는 무처리의 약 150%,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리의 약 470% 증가율을 보였다. 토양에 혼화한 달걀껍질 입자의 크기는 $0.8{\sim}2.0mm$일 때 배추 생장에, 그리고 0.4 mm 이하일 때 병 억제율에 가장 좋은 영향을 미쳤으나, 입자의 크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토양의 pH는 모든 달걀껍질 처리구에서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혼화비율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무사마귀병 방제가는 달걀껍질 1:20 처리구에서 58.5%로 공시살균제인 혹안나 처리구의 78.5% 보다는 낮았으나 배추의 지상부 생육에 있어서는 모든 달걀껍질 처리구에서 무처리나 대조약제 처리구 보다 높았다. 따라서 달걀껍질의 토양혼화는 배추 무사마귀병을 완전히 방제하지는 못하지만 배추의 생육을 촉진하여 감염포장에서도 배추 수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ending of eggshell powder into soil as ratio of 1:5, 1:10, 1:15, 1:20, and 1:25 did not affect seed germination rates of several crops including Chinese cabbage. The blending increased pH of distilled water and decreased the viability of resting spores of Plasmodiophora hrassicae. The ratio of n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원으로서 달걀껍질을 선발하여 배추재배에 응용함으로써 달걀껍질이 무사마귀병 발생과 배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것을 토대로 효과적인 병 방제 방안을 확립함으로써 배추 무사마귀병의 환경친화적 방제법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확인한 바로는 달걀껍질의 입자 크기가 2 mm 이하에서는 무사마귀 병의 발생에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포장에 처리할 때는 달걀껍질을 분쇄기로 갈아 입자크기 2 mm 이하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온실실험에서 달걀껍질의 배합비율이 20:1이었을 때 배추의 생육이 가장 좋았기 때문에 포장실 험에서도 달걀껍질 배합 비율을 20:1(2.5 kg/nf)로 처리 하여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 따라서 토양의 수분관리를 철저히 하고 pH를 높게 유지하면 병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김 등, 2000b). 본 연구에서도, 달걀껍질을 처리했을 때 pH가 상승하고 휴 면포자의 활성을 크게 떨어 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휴 면포자를 달걀껍질 수용액에 3일간 배양 하였을 때의 불 활성화율은 무처리의 약 6배 가까이 되었는데 (Fig.

가설 설정

  • 예전부터 무사마귀병의 방제에 석회를 사용(Campbell 과 Greathead, 1989)하여 왔던 것을 감안할 때, 석회와 같이 주성분이 Ca?+인 달걀껍질도 무사마귀병의 방제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으로부터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실제로 본 연구의 결과, 달걀껍질은 본 연구에서 조 사한 작물들의 종자발아에 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ano, T., Kageyama, K. and Hyakumachi, M. 1999. Surface disinfestations of resting spor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used to infect hairy roots of Brassica spp. Phytopathology 89:314-319 

  2. Buczacki, S. T. and White, J. G. 1979. The value of soil sterilants for the control of clubroot on a field scale. Plant Pathology 28:36-39 

  3. Campbell, R. N., Greathead, A. S., Myers. D. F. and de Boer, G. J. 1985. Factors related to control of clubroot of crucifers in the Salinas Valley of California. Phytopathology 75: 665-670 

  4. Campbell, R. N. and Greathead, A. S. 1989. Control of clubroot of crucifers by liming. pp. 90-99. In: Management of diseases with macro-and microelements. Engelhard, A. W.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5. Dobson, R. and Gabrielson, R. L. 1983. Evidence that clubroot development requires infection by both primary and secondary zoospor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Phytopathology 73: 559-561 

  6. Dobson, R. L., Gabrielson, R. L., Baker, A. S. and Bennett, L. 1983. Effects of lime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and fertilizer formulation on clubroot diseas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Plant Dis. 67: 50-52 

  7. Donald, E. C., Lawrence, J. M. and Porter, I. J. 2002. Evaluation of a fluorescent staining technique as an indicator of pathogenicity of resting spor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Australasian Plant Pathology 31: 373-379 

  8. 함영일, 권민, 김점순, 서효원, 안재훈. 1998. 강원도 고랭지 주 요 원예작물의 병해 발생 상황.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4: 668- 675 

  9. Iwama, H., Osozawa, S., Ushiroda, T. and Kubota, T. 1994. Analysis of soil water matric potential requirement for infection of turnip with Plasmodiophora brassicae using negative pressure water circulation technique. Soil Sci. Plant Nutr. 40: 293-299 

  10. 김두욱, 오정행. 1997. 배추 무사마귀병의 발생상황과 병원 (Plasmodiophora brassicae)의 병원성 및 배추품종의 병저항 성.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 95-99 

  11. 김충회, 조원대, 김흥모. 2000b. 배추무사마귀병균 휴면포자의 발아 및 생존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 한국농약과학회지 4: 66-71 

  12. Murakami, H., Tsushima, S. and Shishido, Y. 2000. Soil suppressiveness to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Soil Biology & Biochemistry 32: 1637-1642 

  13. Myers, D. F. and Campbell, R. N. 1985. Lime and the control of clubroot of crucifers: effects of pH, calcium, magnesium, and their interactions. Phytopathology 75: 670-673 

  14. Narisawa, K., Kageyama, K. and Hashiba, T. 1996. Efficient root infection with single resting spor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Mycol. Res. 100: 855-858 

  15. Narisawa, K. and Hashiba, T. 1998. Development of resting spores on plants inoculated with a dikaryotic resting spore Plasmodiophora brassicae. Mycol. Res. 102: 949-952 

  16. 농촌진흥청. 2001. 십자화과 채소의 뿌리혹병 발생생태 및 방제 대책 연구. 대형공동과제 완결보고서. 111 pp 

  17. Osozawa, S., Iwama, H. and Kubota, T. 1994. Effect of soil aeration on the occurrence of clubroot disease of crucifers. Soil Sci. Plant Nutr. 40: 445-455 

  18. Tanaka, S., Kochi, S. I., Kunita, H., Ito, S. I. and Kameya-Iwaki, M. 1999. Biological mode of action of the fungicide, flusulfamide, against Plasmodiophora brassicae (clubroot).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105: 577-584 

  19. Takahashi, H., Takita, K., Kishimoto, T., Mitsui, T. and Hori, H. 2002. Ca2+ is required clubroot resistants turnip cells for transient increases in PAL activity that follow inculation with Plasmodiophora brassicae. J. Phytopathol. 150: 529-535 

  20. 양창술, 김종식. 2002. 토양미생물실험법. 월드사이언스. 453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