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원도 산지지역의 자연재해 분포 특성
The Distribution of Natural Disaster in Mountainous Region of Gangwon-do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3 no.6 = no.129, 2008년, pp.843 - 857  

이승호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  이경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산지지 역의 자연재해의 빈도 및 피해액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기후요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최근 5년($2003{\sim}2007$년) 동안 강원도 산지지역에서는 총 27회의 자연재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중 호우에 의한 재해가 16회로 가장 많다. 재해가 가장 빈번했던 지역은 평창군 진부면으로 총 9회 발생하였다. 강원도 산지지역에서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는 그 주변지역보다 크며, 산지지역 내에서는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피해가 더 크다. 강원도 산지지역의 북서부 지역에는 주로 호우에 의한 피해만 있었으며, 태풍에 의한 피해는 산지의 남부 지역에 집중되었다. 강풍에 의한 피해는 대부분의 산지에서 나타나는 반면 대설에 의한 피해는 적다. 강원도 산지지역에서 강수량, 강수강도 및 호우일수는 증가하였고 2000년대에 들어서 강수강도의 증가 경향이 뚜렷하다. 반면 2000년대 이후 강설일수, 강설량 및 대설일수는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다. 강원도 산지지역에서는 최근 호우에 의한 재해가 가장 빈번하였고 강풍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이나 호우와 함께 발생할 경우 그 피해가 크므로 호우 및 강풍에 의한 재해에 대한 대비가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distribution of natural disaster and trend of related climatic elements in mountainous region of Gangwon-do. In mountainous region of Gangwon-do, there have been 27 natural disasters of which heavy rainfall have the leading cause for the last 5 years(16 times in 2003-2007). It ha...

Keyword

참고문헌 (27)

  1. 공우석, 1999,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식물의 온도적 범위,' 대한지리학회지, 34(4), 385-393 

  2. 공우석, 2005, '지구온난화에 취약한 지표식물 선정,' 한국기상학회지, 41(2-1), 263-273 

  3. 구경아.박원규.공우석, 2001, '한라산 구상나무(Abies koreana W.)의 연륜연대학적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변동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4(5), 281-288 

  4. 박노욱.지광훈.장동호, 2004, '통계적 공간통합 모델을 이용한 태풍 루사로 발생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1(4), 69-80 

  5. 박종길.정우식.최효진, 2006, '기상정보 활용 및 방재를 위한 호우 사례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5(11), 1003-1010 

  6. 배선학, 2007, '2006년 인제군 집중호우의 원인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4), 396-408 

  7. 심교문.이양수.신용광.김건엽, 2005, '과수개화기와 관련된 기후변동성 및 기상재해,' 한국농림기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3-97 

  8. 심교문.이정택.이양수.김건엽, 2003, '20세기 한국의 농업기상재해 특징,' 한국농림기상학회지, 5(4), 255-260 

  9. 심우배, 2005,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해와 도시방재,' 국토, 281, 39-49 

  10. 윤성호, 1998,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태계 변동과 대책,' 한국작물학회 한국육종학회공동주관 심포지움 회보, 313-335 

  11. 윤성호.임정남.이정택.심교문.황규홍, 2001, '기후변화와 농업생산의 전망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4), 220-237 

  12. 이봉호.방진기.박희운.이정일.박노진, 1991, '유지작물의 기상재해와 피해 경감 대책,' 한국작물학회지, 36(5), 445-458 

  13. 이승호, 2008, '기후변화의 경향과 지역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산간지방을 중심으로-,' 강원광장, 82(3), 5-14 

  14. 이승호.허인혜.이경미.권원태, 2005, '우리나라 상세 기후지역의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41(6), 983-995 

  15. 이은걸.이현영, 1998, '한국의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 대한지리학회지, 33(2), 179-190 

  16. 주영철.임갑준.한상욱.박중수.조영철.김순재, 2000, '1999년에 발생한 기상재해 유형별 벼 수량반응조사 연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1), 1-8 

  17. 최돈향.윤성호, 1989, '농업 기후 지대 구분과 기상 재해 특성,' 품질연구, 13-33 

  18. Bloomfield, J. and Hamburg, S. P., 1997, Seasons of change: Global warming and new England's white mountains, Environmental defense fund 

  19. Breiling., M. and Charanza, P., 1999, The impact of global warming on winter tourism and skiing: a regional model for Austrian snow conditions, 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1, 4-13 

  20. Choi, Y., 2002, Trends in daily precipitation events and their extre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1(3), 189-203 

  21. Choi, Y., 2004, Trend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extreme ev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5), 711-721 

  22. Diaz, H. F., 2005, Monitoring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In U. M. Huber, M. A. Reasoner, and H. K. M. Bugmann (eds.), Global Change and Mountain Regions, An Overview of Current Knowledge, Springer, Berlin, 267-274 

  23. Elsasser, H. and Burki, R., 2002, Climate change as a threat to tourism in the Alps, Climate Research, 20, 253-257 

  24. Konig, U. and Abegg, B., 1997,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ourism in the Swiss Alps,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5(1), 46-58 

  25. Pauli, H., Gottfriend, M., and Grabherr, G., 2001, High summits of the Alps in a changing climate, 'Fingerprints' of climate change, adapted behaviour and shifting species ranges, 139-149 

  26. Theurillat, J. and Guisan, A., 2001,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vegetation in the European Alps: a review, Climatic Change, 50, 77-109 

  27. Thompson, L. G., 2000, Ice core evidence for climate change in the tropics: Implications for our future, Quaternary Science Reviews, 19, 19-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