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젖산균에 의한 당근 발효음료의 물리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2, 2008년, pp.210 - 216  

조순자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과) ,  오수명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장은경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황기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과) ,  이삼빈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당근을 이용하여 점질물 생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당근주스로부터 분리한 후 당근 발효음료 제조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발효 당근음료에 대한 물리화학적 성질 및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당근 생즙으로부터 분리된 점질물 생성 젖산균은 16S rDNA sequencing에 의해 Leuconostoc mesenteroides SM으로 동정되었다. Dextran의 최적생산을 위하여 $0{\sim}20%$(w/v)의 sucrose를 첨가한 당근 주스를 $25^{\circ}C$에서 24시간 발효한 결과, sucrose 농도 15%(w/v)일 때 발효 당근음료의 점조도가 $3.5\;Pa{\cdot}s^n$으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pH 3.8, 산도 0.88%를 나타내었다. 최적 조건에서 발효한 당근발효음료의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circ}C$에서 4주 동안 저장한 결과 pH 및 산도는 변화가 없었으나, 점조도 값은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발효 및 저장 기간 중의 ${\beta}-carotene$ 함량의 변화는 발효 전에는 $142\;{\mu}g/mL$에서 24시간 발효 후에는 $72\;{\mu}g/mL$으로 49% 파괴율을 나타내었다. 냉장 저장 1주에는 $54\;{\mu}g/mL$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젖산균을 이용하여 당근주스의 젖산발효를 수행하는 경우 탄소원 sucrose를 첨가함으로써 dextran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당근 발효음료의 침전물 억제 및 물성 개선을 할 수 있었다. 특히, 당근발효음료는 냉장 저장 4주 동안에도 색, 맛, 풍미, 물성 및 기능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isolated from a raw carrot was used for the fermentation of carrot juice (CJ). Lactic acid fermentation of CJ was performed at $25^{\circ}C$ for 24 hr with $0{\sim}20%$ sucrose concentration,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mucilage. The fermented C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근으로부터 분리된 Leuconostoc sp.에 속하는 젖산균을 이용하여 당근주스의 젖산발효를 통한 생고분자 dextran생산을 최적화하였으며, 당근 발효음료의 점성증가에 따른 물성개선효과를 포함한 안정성 및 기호성이 향상된 당근 발효음료로 전환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근의 카로틴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당근은 풍부한 식이섬유와 인체의 영양원으로 중요한 카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당근의 카로틴은 색깔과 영양을 결정하는 주요 물질로 비타민 A의 전구체로서 항암작용 및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1,2). 당근은 샐러드, 생식이나 라면스프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주스 원료로 활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3).
대중적인 주스 제품으로 당근주스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특히 식생활의 다양한 변화와 함께 바쁜 생활 속에서 야채 생즙으로 제품화된 것을 섭취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생즙의 재료로 그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4,5). 일반적으로 당근주스는 생 당근에서 추출된 후 침전물이 생겨 주스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며(6), 당도가 사과나 배 같은 과일보다 비교적 낮기 때문에 대중적인 주스 제품으로 한계점이 있다(7). 또한 당근은 중성에 가까운 pH를 가지고 있어 효소의 불활성화와 살균을 위하여 고온에서 가열 처리하거나 산성화시켜 저온살균한 후에 중성화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8).
β-carotene의 손실이 초래되는 주 원인은 무엇인가? 따라서 당근주스의 젖산발효는 당근의 고유한 색소성분인 β-carotene의 손실을 초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Kim 등(32)에 의하면 β-carotene의 함량 변화는 산화가 주요인이 되고 가열과정으로 이성질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β-carotene의 분해율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Chen 등(33)의 보고에서도 β-carotene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당근 즙을 냉장에서 12주간 저장했을 때 약간씩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rinsky NI. 1988. The evidence for the role of carotenes in preventative health. Am J Clin Nutr 7: 107-110 

  2.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a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26-32 

  3. Sohn KS, Seog EJ, Lee JH. 2006. Quality changes of carrot juice as influenced by clarification methods.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48-53 

  4. Lee KH, Choi HS, Kim WJ. 1995. Effect of several fac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six-vegetable and fruit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39-444 

  5. Jo JO, Jung IC. 2000. Changes in carotenoid contents of several green-yellow vegetables by blanching. J Korean Soc Food Nutr 16: 17-21 

  6. Lim SB, Jwa MK. 1996.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on the quality of carrot juice. J Korean Soc Food Nutr 25: 680-686 

  7. Lee HJ, Kim JG. 2000. The changes of components and texture out of carrot and radish pickles during the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3: 563-569 

  8. Park SY, Ko YT, Lee JY, Mok CK, Park JH, Ji GE. 1997. Fermentation of carrot juice by Bifidobacterium.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71-575 

  9. Kim MH, Kim MC, Park JS, Park EJ, Lee JO. 1999.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contents in various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73-279 

  10. Kim NM, Lee JW, Do JH, Yang JW. 2003.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72-279 

  11. Jung DS, Lee YK, Lim KW. 2000.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and vegetable mixed broth using by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58-1364 

  12. Kim SY, Choi EH. 2002. Optimization for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03-310 

  13. Lee KS, Park KH, Lee SH, Choe EO, Lee HG. 2003. The quality properties of dried carrots as affected by blanching and drying metho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86-1092 

  14. Kim SY, Choi EH. 199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0-96 

  15. Shon KS, Seog EJ, Lee JH. 2006. Quality changes of carrot juice as influenced by clarification methods.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48-53 

  16. Sohn KS, Lee JH. 2006. Clarific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using various clarific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29-634 

  17. Suh YK, Youn GH, Cho YH, Pack KY. 1999. Expression of some quantitative characters among breeding lines and their f1 hybrids in carrot. J Korean Soc Hort Sci 40: 697-701 

  18. Lee HJ, Kim JG. 2000. The changes of components and texture out of carrot and radish pickles during the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3: 563-569 

  19. Park KY, Cheigh HS. 2004. Kimchi: Handbook of food and beverage fermentation technology. Hui YH, Meunier- Goddik L, Hansen AS, Josephsen J, Nip WK, Stanfield PS, Toldra F, 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 621-634 

  20. Chang SK, Kim HJ. 2005.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ausage fermented by Leuconostoc citreum.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3-39 

  21. Vandamme EJ, De Baets S, Steinbuchel A. 2002. Biopolymers. Wiley-VCH Verlag GmbH, Weinheim, Vol 5, p 299-321 

  22. Santos M, Teixeira J, Rodrigues A. 2000. Production of dextransucrase, dextran and fructose from sucrose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NRRL B412(f). Biochem Eng 4: 177-188 

  23. Kim D, Thomas S, Fogler H. 2000. Effects of pH and trace minerals on long-term starv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ppl Environ Microbiol 66: 976-981 

  24. Son MJ, Jang EK, Kwon OS, Seo JH, Kim IJ, Lee IS, Park SC, Lee SP. 2008. Characterization of dextran produced from Leuconostoc citreum S5 strain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vegetable. Eur Food Res Technol 226: 697-706 

  25. Genc M, Zorba M, Oza G. 2002. Determin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boza by using physical and sensory analysis. J Food Eng 52: 95-98 

  26. Kang TH, Jung SJ, Kang SA, Jang KH, Jang EK, Kim SH, Kim IH, Kim SH, Rhee SK, Chun UH. 2002. Preparation of levan oligosaccharides by acid hydrolysis and its application in growth of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137-141 

  27. Park WB, Kim DS. 1995. Changes of contents of $\beta$ -carotene and vitamin 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ice of Angelica koidz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75-379 

  28. Shamala TR, Prasad MS. 1995. Preliminary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high and low viscosity dextran by Leuconostoc spp. Progress Biochem 30: 237-241 

  29. Jang KH, Choi JH, Lee JM, Lee JH, Jang SY, Jeong YJ. 2002.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kefir beverage added fruit juice. Food Science and Industry 7: 35-38 

  30. Lee JS, Han PJ, Suh KB. 1972. Studies on production of modified yogurt (soy cream) from soybean milk(I). Korean J Food Sci Technol 4: 194-199 

  31. Britton G. 1996. Carotenoid: Natural food colorants. Hendry GAF, Houghton JD, eds. Balckie Academic & Professional, New York. p 197-243 

  32. Kim HY, Lim YI, Russell RM. 2003. Changes in carotenoids contents in pureed and cooked carrot and spinach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83-95 

  33. Chen HE, Peng HY, Chen BH. 1996. Stability of carotenoids and vitamin A during storage of carrot juice. Food Chem 57: 497-5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