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치과 진료실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요인 분석 (치과위생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n Relevant Factors in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in Dental Clinics - (Focusing on Dental Hygienists)원문보기
치과위생사가 치과 진료실에서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5년 10월과 11월에 인천경기도회와 서울시회 보수교육에 참여한 치과위생사 168명으로 하였으며, 감염예방에 관한 설문조사를 자기기입방식으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과 실천도 분석 결과, 연령(F=3.237, p=0.024)과 근무 경력(F=3.333, p=0.021)에서 유의한 실천도 점수의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과 교육경험 여부는 근무처(X=19.823, p=0.001)에 따라, 지식도는 연령(F=4.895, p=0.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감염예방 실천도 점수가 높았다(t=3.315, p=0.001). 4. 지식도와 실천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5.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도 분석 결과,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지식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1.336, p=0.183). 6. 조직관련요인과 실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7.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요인 분석 결과에서는 조직관련요인이 높을수록 지식도가 높을수록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감염예방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R^2=0.32$). 위의 분석 결과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교의 교육과정에 감염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치위생과 학생들의 감염예방 지식도를 높이고, 학교 졸업 후에도 근무병원 자체교육과 보수교육 등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치과위생사들이 스스로에게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도록 조직의 적극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치과위생사가 치과 진료실에서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5년 10월과 11월에 인천경기도회와 서울시회 보수교육에 참여한 치과위생사 168명으로 하였으며, 감염예방에 관한 설문조사를 자기기입방식으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과 실천도 분석 결과, 연령(F=3.237, p=0.024)과 근무 경력(F=3.333, p=0.021)에서 유의한 실천도 점수의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과 교육경험 여부는 근무처(X=19.823, p=0.001)에 따라, 지식도는 연령(F=4.895, p=0.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감염예방 실천도 점수가 높았다(t=3.315, p=0.001). 4. 지식도와 실천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5.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도 분석 결과,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지식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1.336, p=0.183). 6. 조직관련요인과 실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7.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요인 분석 결과에서는 조직관련요인이 높을수록 지식도가 높을수록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감염예방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R^2=0.32$). 위의 분석 결과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교의 교육과정에 감염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치위생과 학생들의 감염예방 지식도를 높이고, 학교 졸업 후에도 근무병원 자체교육과 보수교육 등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치과위생사들이 스스로에게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도록 조직의 적극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dental hygienists'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of dental hygienists by examining what factors there were in their preventing the infections in dental clinics. Method: The subjects of study were 168 dental hygienists who partici...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dental hygienists'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of dental hygienists by examining what factors there were in their preventing the infections in dental clinics. Method: The subjects of study were 168 dental hygienists who participated i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of Incheon & Gyeonggi-do association and Seoul city association in October and November 2005. For the data analysis, an SPSS WIN 13.0 program was used and its significance level was 0.05. In terms of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OVA was performed for general traits, practice, medical environments for knowledge and practi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 organization-related factors and practice,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trait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test was performed for practice and knowledg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preventing infec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ractice for preventing infections. Result: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F=4.895, p=0.003) and those with the education experiences in preventing infections had higher scores in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than those without them (t=3.315, p=0.001).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p<0.05), the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and the higher the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s, knowledge, education experiences, service career, the higher the practice for prevention of infections was ($R^2=0.32$). Conclusions: In order to enhance the dental hygienists' practice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treat the contents of the infection prevention in educational curriculum at schools and enhance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on the prevention of infection and to develop the programs, with which continuous education and PRS could be conducted through in-house education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of the hospital after school graduation and it has been believed that i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for dental hygienists to make efforts and interest in organizations actively so as to build up safe working environments.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dental hygienists'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of dental hygienists by examining what factors there were in their preventing the infections in dental clinics. Method: The subjects of study were 168 dental hygienists who participated i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of Incheon & Gyeonggi-do association and Seoul city association in October and November 2005. For the data analysis, an SPSS WIN 13.0 program was used and its significance level was 0.05. In terms of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OVA was performed for general traits, practice, medical environments for knowledge and practi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 organization-related factors and practice,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trait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test was performed for practice and knowledg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preventing infec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ractice for preventing infections. Result: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F=4.895, p=0.003) and those with the education experiences in preventing infections had higher scores in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than those without them (t=3.315, p=0.001).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p<0.05), the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and the higher the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s, knowledge, education experiences, service career, the higher the practice for prevention of infections was ($R^2=0.32$). Conclusions: In order to enhance the dental hygienists' practice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treat the contents of the infection prevention in educational curriculum at schools and enhance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on the prevention of infection and to develop the programs, with which continuous education and PRS could be conducted through in-house education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of the hospital after school graduation and it has been believed that i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for dental hygienists to make efforts and interest in organizations actively so as to build up safe working environme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치과위생사가 치과 진료실에서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5년 10월과 11월에 인천경기도회와 서울시회 보수교육에 참여한 치과위생사 168명으로 하였으며, 감염예방에 관한 설문조사를 자기기입방식으로 시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치과 진료실에서 감염예방의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치과 진료실에서 환자관리, 기구 및 장비의 소독멸균 관리, 진료 등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치과위생사가 감염예방을 실천하는데 어떤 요인이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감염예방 실천도와 일반적 특성, 조직관련요인, 진료환경, 지식도, 교육 경험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하였다.
제안 방법
설문지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강연 시작 전에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치과계에서의 교차감염방지12)와 선행연구13-14)를 참조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작성하여 사전 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 보완 하여 자기기입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4문항,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관한 2문항, 감염사고 실태조사에 관한 8문항, 감염예방 실천도에 관한 21문항, 감염예방지식도에 관한 9문항, 진료환경에 관한 8문항, 조직 관련 요인 5문항, 향후개선책에 관한 1문항으로 총 5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감염예방 실천도와 지식도, 조직관련요인은 3단계의 Likert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실천도는 “항상한다” 2점, “ 가끔한다” 1점, “하지 않는다” 를 0점으로 하였으며, 지식 도와 조직관련요인은 “그렇다” 1점, “아니다”와 “모르겠다”를 0점으로 점수화 하였다.
대상 데이터
연구 대상은 2005년 10월과 11월에 인천경기도회와 서울시회 보수교육에 참여한 치과위생사 168명으로 하였으며, 감염예방에 관한 설문조사를 자기기입방식으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2005년 10월과 11월에 인천경기도회와 서울시회 보수교육에 참여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하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200부를 배부하여 181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강연 시작 전에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치과계에서의 교차감염방지12)와 선행연구13-14)를 참조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작성하여 사전 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 보완 하여 자기기입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81부중 누락된 설문지 13부는 자료 분석에서 제외하고 총168부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실천도 및 지식도, 진료환경과 실천도 분석은 일요인 분산분석을 하였다.
셋째, 지식도 및 조직관련요인과 실천도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넷째, 일반적 특성과 교육경험의 관계는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다섯째,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른 실천도 및 지식도는 T-검정을 하였다.
여섯째, 감염예방 실천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론/모형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요인 분석에는 독립변수들 간의다중공선성이 존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계 선택 방법(stepwise method)을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지식도와 실천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조직관련요인과 실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1. 일반적 특성과 실천도 분석 결과, 연령(F=3.237, p=0.024) 과 근무 경력(F=3.333, p=0.021)에서 유의한 실천도점수의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과 교육경험 여부는 근무처(X=19.823, p=0.001) 에 따라, 지식도는 연령(F=4.895, p=0.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감염예방 실천도 점수가 높았다(t=3.315, p=0.001).
4. 지식도와 실천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5.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도 분석 결과,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지식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1.336, p=0.183).
6. 조직관련요인과 실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7.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요인 분석 결과에서는 조직 관련 요인이 높을수록 지식도가 높을수록 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감염예방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R2=0.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른 실천도 분석 결과를 보면, 교육경험이 “있다”에서 실천도 점수가 25.88점이었고, “ 없다”에서 실천도 점수가 23.31점으로 교육경험이 “있다” 에서 실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315, p=0.001).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도 분석 결과를 보면, 교육경험이 “있다”에서 지식도 점수가 6.40점이었고, “없다”에서 지식도 점수가 6.08점으로 교육경험이 “있다”에서 지식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1.336, p=0.183).
그러나 연령은 감염 예방 실천도와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따라서 조직 관련 요인이 높을수록 지식도가 높을수록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감염예방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른 실천도 분석 결과를 보면, 교육경험이 “있다”에서 실천도 점수가 25.88점이었고, 교육 경험이 “없다”에서는 23.31점으로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에 실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315, p=0.001). 이는 2005년 안권숙의18) 치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표준적 주의지침의 교육경험이 높은 조사대상자가 있는 집단에서 높은 이행율을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감염예방에 대한 근무처의 관심, 동료의 관심, 상사의 관심, 치침서 유무, 보호 장구 이용가능성을 보고자 하는 조직 관련 요인과 감염예방 실천도는 상관계수가 0.56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실천도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도 조직관련요인이 높을수록 감염예방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재욱19)의 병원근로자들의 감염관리 지침수행도가 조직관련요인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고, 병동의 감염관리에 대한 관심 정도가 높을수록, 상사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동료들의 관심이 높을수록, 위험상황 노출시 참고지침서 가용성과 보호 장비 가용성이 높을수록 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민정현11)의 연구 결과와도 같았다.
진료환경 부분인 진료실과 세면대 거리, 진료실과 소독실 거리, 담당업무, 지역, 일일 환자 수에 따른 실천도 분석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감염예방을 실천하는 데는 환경보다는 개인의 지식, 태도와 조직의 특성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후속연구
위의 분석 결과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교의 교육과정에 감염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치위생과 학생들의 감염예방 지식도를 높이고, 학교 졸업 후에도 근무병원 자체교육과 보수교육 등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치과위생사들이 스스로에게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도록 조직의 적극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는 자체 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치과 병원과 치과 의원에서는 아직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병원에서 일률적으로 감염예방에 대한 교육을 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교육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천도는 만점 40점에 평균이 24.41점, 지식 도는 만점 9점에 평균이 6.22점으로 실천도와 지식도는 향후 치과 진료실에서 감염예방 실태 비교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