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업의 물류활동은 화물의 기종점 정보와 더불어 출발지와 도착지간 수배송특성, 업종간 거래관계, 가격흐름, 경로 등 다양한 공급사슬관점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그동안 공공부문의 물류관련 연구들은 물류현황조사 자료로부터 지역간 기종점 통행량에 기초하여 물류시설을 포함한 국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정책에 주로 활용된 경향이 있었다. 또한, 민간부문의 유통경로 관련 연구는 주로 상적인 유통경로에 한정되어 보다 종합적인 공급사슬관리 측면에서 기업의 물적 유통경로선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 전국물류현황조사중 기업의 물류실태조사에서 수행된 600개의 표본자료에 기초하여 기업들의 유통경로 선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자료들의 설문조사방식은 다양한 유통노드들이 제시되고, 기업들이 상위 매출액이 높은 품목들이 다양한 유통경로 상에서 어떻게 노드들을 이용하는지 조사되었고, 이를 공장순회형, 물류센터 중심형, 도매자 중심형, 소비자 중심형 등 4개로 유형화 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4개의 유통경로들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사업체 현황, 수배송현황, 취급화물 품목 등의 다양한 변수을 고려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물적유통경로연구의 시발점으로서 유통경로조사가 가지는 의의와 2001년 조사자료를 이용함에 따른 발견점보다는 한계점과 개선방향위주로 진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gistic activities of shippers contains only origin-destin commodity flow information, but also contract relationships, cash flows and distribution channels. Under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physical distribution channels,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betw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1년에 수행된 물류조사부문 중 기업의 물류실태조사를 이용한다. 기업물류실태조사는 기업의 실질적인 물류관리, 물류조직, 물류인력 등의 운영현황과 애로사항 등을 파악함으로써 정부의 기업물류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된 것이다. 주요 설문항목은 아래와 같다.
  • 대부분이 상적 유통의 관점에서 연구되었기 때문에 유통경로 상의 거래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기업이 가지는 물적 유통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1년 제2차 전국물류현황조사의 일환으로 기업이 선호하는 유통경로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문조사가 수행된바 있다.
  • 김상용 외(2001)는 수도권 지역의 농협 가공식품 판매 및 유통경로 현황을 서술하고 현 유통 및 물류체계상의 문제점을 조직, 유통경로, 판촉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판매대행 센터를 중심으로 한 물류체계를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고 판매대행 센터 설립을 위한 과제를 언급하였다.
  • 본 연구는 이들 4개의 유통경로들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사업체 현황, 수배송활동, 물류활동, 품목별 특성 등의 다양한 속성변수를 고려하여 선택에 미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실증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사용된 자료들의 설문조사방식은 다양한 노드들이 제시되고, 기업들이상위 매출액이 높은 품목들이 주로 어떠한 노드들을 이용하는지 조사되었고, 이를 4개-공장순회형, 물류센터 중심형, 도매자 중심형, 소비자 중심형-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4개의 유통경로들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사업체 현황, 수배송현황, 화물취급품목 현황 등의 다양한 특성변수를 고려하여 선택에 미치는 특성을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기업들이 선호하는 채널은 공장순회보다는 판매의 유통경로를 통하여 경로의 가치를 높이는데, 세부품목별로 보면 공장을 경유하는 것 외에는 물류센터, 도매자 그리고 소매자의 경로간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하에 2001년 제2차 전국물류 현황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된 유통경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유통경로를 유형화하고 유통경로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변수들을 찾아 그 영향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구성하여 진행한다.
  • 유통경로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 모두에게 있다는 점을 문헌연구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화물의 흐름을 물적인 유통경로 관점에서 실증분석이 시도되었다.
  • 세계 각국이 물류조사를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서 국가물류와 기업물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물류조사의 경우도 교통체계효율화법에 제시되어 있는 국가교통조사로서 전국 화물기종점 통행량 조사를 위한 조사방법을 설계하고 조사 작업을 수행하며, 교통수요분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류조사를 통하여 제시되는 전국 지역간 화물 기종점통행량(O/D)은 국가교통DB의 가장 핵심적인 분야로서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중기교통시설투자계획, 고속도로 및 기타 교통관련 사회간접자본시설의 배치계획과 복합화물터미널 등 물류시설의 입지계획과 같은 각종 교통계획수립 및 정책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이 상적유통에 치우쳐 있고, 물적 유통연구에 소홀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유통경로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 모두에게 있다는 점을 문헌연구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화물의 흐름을 물적인 유통경로 관점에서 실증분석이 시도되었다.
  • 기업은 다중, 다생산품을 생산하기에 이윤을 극대화할 유통경로는 무엇인가에 사할이 걸려있다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유통채널의 비용대비 자체효과 및 대체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교통수요의 수단선택모형을 통한 시간과 비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을 분석한 것과 같은 것이다.
  • 이와 같이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에서 유통경로의 역할이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 유통경로에 관한 논문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가능하지만 본 연구는 크게 상적인 관점과 물적인 관점 두 가지로 유형 화하여 개별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를 위해 다항로짓모형을 적용한다.2) 여기서, 물류센터를 경유한 경로를 베이스(reference)로 가정하고, 나머지 경로들과 비교하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유통경로 j를 선택할 확률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 둘째, 유통경로와 이용하는 교통수단간 관계이다. 소비자 중심형 유통경로가 타 경로보다 영업용 화물차에 의해 수송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4가지의 경로들은 기업들이 선택한 선택집합들에 속한 것이며, 이를 이산형 변수로 가정한다. 그리고 기업의 물류현황속성변수들이 이들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통경로란? 유통경로는 ‘사용자 및 소비자가 재화와 용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에 연관되어진 상호의존적인 조직의 단위’로 정의된다.(Coughlan 외, 2006) 이는 유통경로를 조직단위 중심으로 정의한 것으로, Pelton 외(2002)는 유통경로를 거래관계 중심으로 정의하여 ‘고객 가치가 재화와 용역의 구매, 소비, 처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거래관계’라고 하였다.
물적유통이란? 이와는 다르게 화주와 도매업자 간의 물동량에 초점을 둔 유통개념이 물적(物的) 유통이다. 물적유통이란 ‘기업및 개인이 이익을 얻고자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원산(原産)으로부터 최종 소비 시점까지 원재료, 최종 생산품, 관련 정보의 물리적 흐름을 관리, 계획, 실행하는 업무’(Armstrong 외, 2006)로 정의된다.
기업관점과 공공관점에서 유통경로분석이 가지는 의의는? 유통경로분석이 가지는 의의는 기업관점과 공공관점 간에다소 차이가 있다. 기업관점은 주로 상적 개념의 유통경로분석이 의의를 가지는데, 경로가 가치는 경제학적가치 또는 유통경로간 수평 및 수직구조의 분석을 통한 시장구조의 이해에 주안점을 둔다. 기업물류관점에서 기업들은 유통경로를 통해 협상을 통한 재무 및 계약관계를 체결하고, 보관․배송 등의 재고관리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생산업체와 유통업체간의 소비자 수요정보 교류를 통한 제품설계, 생산량 결정, 제품의 판매촉진 등의 업무를 포함하며 생산 및 재고관리를 통한 기업의 리스크 관리까지 유통경로를 통해 진행하고 있다. 또한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교환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거래를 표준화하며 재고를 관리하고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특정 재화와 용역을 쉽게 찾을 수있게 한다. 제조업체들은 공급사슬망에서의 유통경로 관리가 비용절감효과에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게 되었다.(Beckman 외, 1988). 따라서 기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유통경로, 특히 기업의 이윤과 직결되는 물적 및 상적 유통에 관한 보다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국외 많은 연구들이 유통경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한 반면, 우리의 경우 주로 상적인 물류에 치중한 경향이 있었다. 반면 공공의 관점은 물류가 어떠한 교통수단에 의해 얼마만큼 최초 출발지에서 경유지를 거쳐 최종 도착지에도달하는가에 관심이 있다. 다양한 화물들이 출발지에서 도착지간 연결시 물류시설을 경유할 경우와 경유하지 않을 경우의 비용차이분석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이와같은 화물수송수요분석을 통해 물류시설의 입지계획과 물류시설의 타당성 분석에 활용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물류시설의 경유에 대한 비용-편익적인 측면에서 정확한 메카니즘이 소개되고 있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계도원(1996) "승용차유통경로에서 딜러의 협력, 갈등,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제1호 pp.109-127 

  2. 김규창(1998) "농산물 종합물류센터조성을 위한 입지선정 평가요인 분석", 유통연구 제3권 제1호 pp.145-158 

  3. 김상덕.오세조(2006) "수요부문 풍요성과 동태성이 유통경로 성과에 미치는 영향-수직적 통합의 조절효과", 유통연구 제11권 제1호 pp.1-20 

  4. 김상용.유창조.김세나.최진표(2001) "농협 가공식품의 유통경로 체계화를 위한 판매대행센터 설립에 관한 사례", 유통연구 제4권 제3호, pp.87-103 

  5. 박봉두.박철(2000) "부산지역 중소제조업체의 유통경로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제5권 제3호 pp.55-75 

  6. 박충재(1996) "제조업 유통경로관리 특성과 개선방향", 유통연구 창간호, pp.65-81 

  7. 신동선(2005) "다단계 운송거래 실태 및 제고개선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정책연구 2005-05 

  8. 유병우.정세훈(1993) "유통경로 선택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국내와 외국투자 제약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로지스틱스연구 창간호, pp.37-68 

  9. 한계숙.김재욱.최지호(2006) "공급업체의 네트워크가 제조업체에 대한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유통연구 제11권 제3호, pp.55-78 

  10. 한상린.김형욱(1996) "유통경로의 거래내부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창간호, pp.129-146 

  11. 한국교통연구원(2006) 전국 지역간 화물 기종점통행량 자료의 현행화 

  12. 한국교통연구원(2007) 국가교통DBrn축사업중 주요 품목별 유통경로조사 

  13. Anthony D. Ross, Cornelia Droge(2004), "An analysis of operations efficiency in large-scale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1, pp.673-688 

  14. Armstrong, G., Kotler, P.,(2006) Marketing : An introduction (8th. ed.) 

  15. Baumol, W., & Vinod, H.(1970), "An inventory theoretic model of freight transport demand", Management Science, Vol.16, No. 7, pp.413-421 

  16. Beckman, M., Kurtz, D., Boone, L.,(1988) Foundations of marketing(4th. ed.) 

  17. Berkowitz, E., Kerin, R., Rudelius, W.,(1989) Marketing (2nd. ed.) 

  18. Committee on definition.(1960) Marketing definition : A glossary of marketing terms(Chicago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 Coughlan, A., Anderson, E., Stern, L., El-Ansary, A.,(2006) Marketing channels(7th. ed.). Swedish national freight model systems, RAND Europe 

  20. de Jong, G., Ben-Akiva, M., Bexelius, S., Rahman, A., de Voort, M., Florian, M., Maker, M., Gibbs, P., Hester, U., Lingbrant L., and Lundqvist, C.(2004), The specification of logistics in the Norwegian and Swedish national freight model systems, RAND Europe 

  21. de Jong, G. & Ben-Akiva, M. (2007) A microsimulation model of shipment size and transport chain choi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41, pp.950-965 

  22. El-Ansary, Louis W. Stern (1972) "Power Measurement in the distribution Channe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9 No.2, pp.47-52 

  23. Hean Tat Keh (1997), "The classification of distribution channel output: a review",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Volume 7, Issue 2, pp.145-156 

  24. Jiuh-Biing Sheu (2003) "Locating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centers-An integrated supply chain-based spatial interaction approach",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39, pp.381-397 

  25. Chu, J., PraDeep K. Chintagunta and Naufel J. Vilcassim (2007) "Assessing the Economic Value of Distribution Channels: An Application to the Personal Computer Industr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pp.29-41 

  26. McCalley, R. (1996) Marketing channel management 

  27. Pelton, L., Strutton, D., Lumpkin, J. (2002) Marketing channels : A relationship management approach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