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특성에 따른 물적유통경로선택 분석
Physical Distribution Channel Choice according to Commodity Type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8 no.1, 2010년, pp.77 - 86  

박민영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  김찬성 (한국교통연구원 KTDB센터) ,  김은미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조사분석사업단) ,  박동주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에서는 민간 분야뿐만 아니라 공공물류에의 활용을 위해 좀 더 신뢰성 있고 개선된 화물수요추정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화물수요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지역 간 화물기종점통행량(OD)자료는 각 화물의 생산지와 소비지 사이의 이동과 전환관계가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환적시설이나 물류시설을 노드로 구분하지 않고 각 존의 물동량에 포함시킴으로써 화물의 정확한 이동이나 전환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인식하에 개별 의사결정자인 기업에 의해 이동되는 화물의 물적인 흐름을 분석하기 위한 물적 유통경로 선택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개별회사의 의사결정에 있어 매우 거시적인 개념이며, 개별 의사결정자인 기업이 유통경로를 선택할 때 어떠한 요소를 고려하는지를 살펴 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7 화물유통경로조사의 내수화물자료를 중심으로 기초통계 분석을 수행하고 물적 유통경로 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모형이 합리적인지 평가하기 위해 최종 모형에 대해 유통경로선택이론을 기초로 가설검증을 수행하고 적중률을 산출하였다. 선정된 최종모형의 가설 검증결과, 제조업체는 유통경로 선택시 도착지점의 시장특성, 업종 및 품목특성, 경로특성, 기업의 크기 및 경제력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developed physical distribution channel choice models reflecting decision making of the firms and studied how choice decision factors influence selection of distribution channel. The distribution channel survey data in Korea was used to do empirical study. As a choice set, distribution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개별의사결정자인 기업에 의해 이동되는 화물의 물적인 흐름에 있어 영향을 주는 기본적인 요인이 무엇이고 이들의 거시적인 선택행태를 추정하기 위해 내수화물을 대상으로 물적 유통경로선택모형을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 셋째, 최근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화물/물류분야에서의 모형에 물적유통 개념을 도입하여 물류 모형(Logistics model)을 개발하고자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장기적인 측면에서 국외 사례와 같은 물류 모형 개발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다만 국외 물적유통경로 모형 사례들은 주로 선택문제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변수를 비용요소로 설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개별 기업입장에서 유통경로 상 선택에 미치는 영향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기업의 전략적인 물류계획을 넘어 공공 물류에의 활용을 위해 가장적 유통경로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유통경로를 유형화하고 유통경로 선택에 있어 가장 기본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모형화를 통해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 국외의 경우는 물적 유통경로 개념을 넘어 화물교통모형에 물적인 개념을 도입하여 공공물류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고찰에서는 국내의 물적 유통경로 분석사례와 유럽․미국을 중심으로 국가 또는 지역 화물 모형에서의 물적 유통경로분석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물적 유통경로분석 사례는 김찬성 외(2007), 최영윤 외(2008)의 연구가 있다.
  • , 2006)에 따라 <표 3>과 같이 정리하였다. 이때 모형화를 위한 데이터 구축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데이터 구축가능여부를 제시하였다. 이를 고려한 유통경로 선택요인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국내에서도 화물수요추정방법에 있어 이러한 화물의 물적인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한계에 대한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에서는 첫 단계로써 거시적인 물적 유통경로 모형(Macro physical distribution channel choice model)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물적 유통경로분석 사례들과 동일하게 개별기업이 가지는 물적 유통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화물수요추정모형 개선에 활용하기 위해 가장 최근 자료를 이용하여 개별 기업의 의사결정에 있어 기본적으로 영향을 주는 기초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이항로짓 모형과 다항로짓 모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서 국내 기존 연구와의 차이를 두었다.

가설 설정

  • 둘째, 고가품 여부에 따라 수송형태에 있어 차이가 있다. 즉, 사무·계산 및 회계용 기계 등과 같은 고가품은 짧은 물적 유통경로를 통해 직접 수송될 가능성이 높다.
  • 업종 및 품목특성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였다. 첫째, 유통경로의 유형은 업종 및 세부품목의 특성, 소비재 및 생산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2007 화물유통경로조사는 제조업체와 운송업체로 업종을 구분하고, 제조업체 품목으로 전기전자·철강·양회·골재·음식료품을, 운송업체 품목으로 택배화물·컨테이너·벌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통경로란 무엇인가? 유통경로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용 또는 소비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관련되는 일체의 상호의존적인 조직’으로 정의된다.(Stern et al.
장기적 기업물류전략과 공공물류 시스템 전략, 국가화물수요추정과정의 개선측면에서 살펴볼 때, 상품의 생산지와 소비지의 위치별 물적인 전환관계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최근 국내에서는 신뢰성 있고 개선된 화물교통수요추정 방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화물교통수요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지역 간 화물기종점통행량(OD)자료는 환적시설이나 물류시설을 노드로 구분하지 않고 각 존의 물동량에 포함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화물의 정확한 이동이나 전환관계 파악을 곤란하게 만든다. 따라서 장기적 기업물류전략과 공공물류 시스템 전략, 국가화물수요추정과정의 개선측면에서 살펴볼 때, 상품의 생산지와 소비지의 위치별 물적인 전환관계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 간 화물기종점통행량(OD)자료는 어떤 한계점이 있는가? 최근 국내에서는 민간 분야뿐만 아니라 공공물류에의 활용을 위해 좀 더 신뢰성 있고 개선된 화물수요추정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화물수요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지역 간 화물기종점통행량(OD)자료는 각 화물의 생산지와 소비지 사이의 이동과 전환관계가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환적시설이나 물류시설을 노드로 구분하지 않고 각 존의 물동량에 포함시킴으로써 화물의 정확한 이동이나 전환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인식하에 개별 의사결정자인 기업에 의해 이동되는 화물의 물적인 흐름을 분석하기 위한 물적 유통경로 선택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국토해양부(2008), 2007년 국가교통DB구축사업 제5권 법정조사과제 추가조사 및 수행계획. 

  2. 김찬성.박민영.진기재.김준형(2007), "우리나라 주요 기업의 유통경로 실증분석", 제57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219-228. 

  3. 박영봉(1999), 마케팅, 박영사. 

  4. 서울시립대학교(2008), 공급사슬기반 화물교통수요모형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연구계획서. 

  5. 최영윤.김찬성.성홍모(2008), "우리나라 골재화물의 유통경로 특성분석", 제59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933-942. 

  6. Alan Rushton, Phil Croucher, Peter Baker (2006), The handbook of Logistics and Distribution Management, The Chartered Institute of Logistics and Transport(UK). 

  7. Gerard De Jong, Moshe Ben Akiva, Sten Bexelius, Adan Rahman, and Maarten Van De Voort(2004), The Specification of Logistics in the Norwegian and Swedish National Freight Model Systems, Rand Europe. 

  8. Gerard De Jong and Moshe Ben Akiva(2007), "A Micro Simulation Model of Shipment Size and Transport Chain Choi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41, pp.950-965. 

  9. Jeoren Boerkamps, Arjan van Binsbergen (1999), "GoodTrip - A New Approach for Modelling and Evaluation of Urban Goods Distribution", Paper Published in the Proceeding of City Logistics I. 

  10. L.A. Tavasszy(2006), "Freight Modelling - An overview of international experiences", Paper prepared for the TRB Conference on Freight Demand Modelling:Tools for Public Sector Decision Making. 

  11. Michael J. Fischer, Maren L. Outwater, Lihung Luke Cheng, Dike N. Ahanotu, and Robert Calix(2005), "Innovative Framework for Modeling Freight Transportation in Los Angeles County, Californi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906,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 pp.105-112. 

  12. Wisinee Wisetjindawat, Kazushi Sano(2003), "A Behavioral Modeling in Micro-Simulation for Urban Freight" Transportation,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ol. 5, October, pp.2193-2208. 

  13. WSP Policy & Research(2005), The EUNET2.0 Freight and Logistics Model, Final Repor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