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류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Pomegranate with Added Pomegranate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1 no.4, 2008년, pp.492 - 498  

신순례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  신솔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  신길만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pan bread prepared with pomegranate powder. Three different powder concentration levels of 1%, 2% and 3% were added to flour to make the bread.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s of the bread added with to which pomegran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먼저 30℃의 물 600 ㎖에 밀가루 300 g과 석류 분말을 밀가루 대비하여 1~3%씩 각각 혼합하여 넣고 20분간 반죽하면서 수분흡수율(waterabsorption), 반죽의 점조도(consistency), 반죽의 형성시간(development time), 반죽의 안정도(stability) 등을 측정하였다.
  • 반죽이 원활하게 나오도록 5개의 반죽판 윗면, 롤러, 롤러판 및 스패튤라 양면에 식용유를 칠하였다. 반죽 시작 8분이 지난 다음 반죽날개의 방향을 오른쪽으로 바꾸고 반죽 추출판과 출구에 식용유를 칠하고, 초기반죽을 10 ㎜ 스패튤라를 사용하여 잘라낸 다음 식용유를 칠한 반죽판 위에 직각으로 자른 반죽을 놓고 롤러로 9~12회 정도 눌러 반죽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평평한 반죽의 중앙을 펀치로 눌러 자른 후 반죽 판에 놓고 resting chamber에 반죽 순서대로 넣었다.
  • 이때 반죽기는 24℃, resting chamber는 25℃로 조절하였고, 반죽기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냉각수로 조절하면서 반죽한 다음 30초 후에 또 다시 반죽하였다. 반죽이 원활하게 나오도록 5개의 반죽판 윗면, 롤러, 롤러판 및 스패튤라 양면에 식용유를 칠하였다. 반죽 시작 8분이 지난 다음 반죽날개의 방향을 오른쪽으로 바꾸고 반죽 추출판과 출구에 식용유를 칠하고, 초기반죽을 10 ㎜ 스패튤라를 사용하여 잘라낸 다음 식용유를 칠한 반죽판 위에 직각으로 자른 반죽을 놓고 롤러로 9~12회 정도 눌러 반죽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 석류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무게는 반죽이 완료된 시점에서 측정하였으며, 반죽 직후의 반죽 15 g을 100 ㎖ 메스실린더에 넣어 평평하게 만든 후 1차 발효 조건인 27±1℃, 상대습도 75±5%에서 30분간 발효시켰다. 발효가 끝난 직후 둥글게 올라온 반죽 윗부분을 평평하게 하여 발효팽창력을 0~180분 발효시키면서 반죽을 3회 반복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발효팽창력(㎖)으로 하였다.
  • 석류 분말 첨가한 식빵을 제조한 후 디지털 카메라(DSC-P 150, Sony Co, Tokyo, Japan)로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 석류 분말 첨가한 혼합분의 호화 특성을 Rapid Visco Analyzer(Newport Scientific Pty, Ltd, Australia)로 측정하였다. 즉, 알루미늄 용기에 밀가루를 3.
  • 석류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무게는 반죽이 완료된 시점에서 측정하였으며, 반죽 직후의 반죽 15 g을 100 ㎖ 메스실린더에 넣어 평평하게 만든 후 1차 발효 조건인 27±1℃, 상대습도 75±5%에서 30분간 발효시켰다.
  • 생리 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여러 가지 천연식물 소재를 식품으로 개발하고7),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제빵의 연구로써는 송화가루 첨가8), 식이섬유 첨가9) , 키토산 첨가10), 선인장 열매11) , 녹차분말 첨가12), 대두 단백질을 첨가 등13)의 복합분의 제빵 적성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우리의 식생활에서 빵류의 소비가 날로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기능성이 가미된 석류 식빵을 제조 개발하기 위하여 밀가루에 석류 분말을 1~3% 첨가하여 반죽의 일반성분 및 물리적 특성과 관능검사 등을 조사하였다.
  • 수분함량 14% 기준 밀가루 7 g을 정량한 후 증류수 25 ㎖를 넣고 고무마개를 한 다음 20~30번 격렬하게 흔들어 균일한 현탁액을 만들었다. 이 현탁액을 100℃ 비등수에서 60초 동안 호화시킨 다음 플란저가 낙하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 이때 alveogram의 Pmax(dough의 변형에 필요한 최대 저항력과 관계되는 압력), L(㎜, 팽창된 dough가 터질 때까지의 신장성), G(2.22√L, 팽창지표), W(dough의 baking strength)를 각 시료마다 5번 반복 실험하였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 밀가루에 석류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alveogram의 특성은 AACC방법에 따라 alveograph(NJ, Chopin Co, South Hackensack, Franc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밀가루 250 g과 석류 분말을 밀가루 대비 1~3%씩 각각 첨가하여 2.5% NaCl 용액을 133 ㎖ 넣고 반죽을 하였다. 이때 반죽기는 24℃, resting chamber는 25℃로 조절하였고, 반죽기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냉각수로 조절하면서 반죽한 다음 30초 후에 또 다시 반죽하였다.
  • 석류 분말 첨가한 혼합분의 호화 특성을 Rapid Visco Analyzer(Newport Scientific Pty, Ltd, Australia)로 측정하였다. 즉, 알루미늄 용기에 밀가루를 3.5 g씩 넣고 준비된 석류 분말을 밀가루 대비 1~3%씩 혼합하고, 증류수 25 ㎖를 가한 다음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50℃로 맞춘 RVA에서 1분간 교반한 다음, 12℃/분씩 상승시키면서 95℃까지 가열하고 이 상태에서 2.
  • 평평한 반죽의 중앙을 펀치로 눌러 자른 후 반죽 판에 놓고 resting chamber에 반죽 순서대로 넣었다. 한편, alveograph의 공기방출판과 템퍼에 식용유를 칠하고 반죽을 방출판의 중앙에 넣어 템퍼를 닫은 다음 링을 잠그고 템퍼링과 링을 직각으로 들어낸 후 공기를 주입하여 만들어진 반죽봉이 팽창한도에 이르렀을 때 측정하였다. 이때 alveogram의 Pmax(dough의 변형에 필요한 최대 저항력과 관계되는 압력), L(㎜, 팽창된 dough가 터질 때까지의 신장성), G(2.
  • 그 후 12℃/분 속도로 하강시키면서 50℃까지 냉각하였다. 호화개시온도(pasting temperature), 최고점도(peak visicosity), 최고점도에서의 온도(peakvisicosity temperature), 50℃로 냉각했을 때의 냉각점도(coldviscosity), breakdown 및 setback값을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한 석류 분말은 순천시내 한약방에서 석류 분말을 구입하여 100 mesh로 체질하여 밀가루 100% 기준으로 석류 분말을 1~3%씩 각각 다르게 첨가하였고, 식빵의 재료인 밀가루와 설탕은 삼양사(주)에서, 이스트는 제니코식품(주)(Seoul, Korea)에서, 소금은 성진식품(주)(Shinan, Korea)에서, 탈지분유는 서울 우유(주)(Seoul, Korea)에서, 버터는 서울 하인즈(주)(Seoul, Korea)의 회사 제품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첨가량은 control, 1%, 2%, 3%로 달리하여 4가지 시료로 제조하였고, 배합 비율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데이터처리

  • 2) Values are mean±SD, Values within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 for each groups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0.0 for window)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여 평균, 표준편차 및 분산분석 등을 실시했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22)를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밀가루에 석류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alveogram의 특성은 AACC방법에 따라 alveograph(NJ, Chopin Co, South Hackensack, Franc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밀가루 250 g과 석류 분말을 밀가루 대비 1~3%씩 각각 첨가하여 2.
  • 밀가루에 석류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farinogram 특성은 AACC방법에 따라서 실험하였으며, 밀가루와 석류 분말을 섞은 후 반죽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farinograph(Brabender Co, Duisburd, Germany)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 밀가루에석류분말을첨가하여falling number(Perten Instruments, South Hackensack, Sweden)는 falling number 1500을 사용하여 AACC방법17)에 따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수분함량 14% 기준 밀가루 7 g을 정량한 후 증류수 25 ㎖를 넣고 고무마개를 한 다음 20~30번 격렬하게 흔들어 균일한 현탁액을 만들었다.
  • 석류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pH는 Kim16) 방법에 준하여 제조한 후 1차 발효시킨 후 반죽 10 g을 채취하여 증류수 50 ㎖를 가한 다음 10,000 rpm에서 5분간 균질화하여 그 혼탁액을 pH meter(Orion, model 520A Inc, NY, USA)로 3회 반복 측정하였다.
  • 3. 일반성분 분석

    석류 분말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14)에 따라 분석하였다. 즉, 수분은 105℃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Micro 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건식회화법, 식이섬유는 Prosky 등15)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에 따라 분석하였다. 즉, 수분은 105℃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Micro 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건식회화법, 식이섬유는 Prosky 등15)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류의 주요 성분은 무엇인가? )는 유럽동남부에서 히말리야에 걸쳐 서식하는 석류과에 속한 낙엽소목으로서 옛날부터 열매와 줄기 껍질과 뿌리의 껍질을 건조하여 촌충의 구제, 설사, 이질, 구내염, 장출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한약재로 많이 쓰여왔다1) . 석류의 주요 성분은 alkaloide인 isopelletierine이며, 그 외 tannin인 punicalin, inuline, mannitol, sorbitol, malic acid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석류 껍질은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탄닌이 많아 수렴성 건위약2) , 항균작용을 억제하는 효과3,4)가 있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 및 장내균 조절에 대한 효과5)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오늘날 국민 소득 향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이 서구화되어6) 주식 대용으로서 빵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식문화의 고급화,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자연식품 및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 기능성 식품과 제빵의 소비와 생산이 점점 증가되어 있다.
석류는 옛날부터 어떻게 많이 쓰여왔는가? 석류(Punica grantum L.)는 유럽동남부에서 히말리야에 걸쳐 서식하는 석류과에 속한 낙엽소목으로서 옛날부터 열매와 줄기 껍질과 뿌리의 껍질을 건조하여 촌충의 구제, 설사, 이질, 구내염, 장출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한약재로 많이 쓰여왔다1) . 석류의 주요 성분은 alkaloide인 isopelletierine이며, 그 외 tannin인 punicalin, inuline, mannitol, sorbitol, malic acid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석류 껍질은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탄닌이 많아 수렴성 건위약2) , 항균작용을 억제하는 효과3,4)가 있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 및 장내균 조절에 대한 효과5)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석류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pH를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석류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pH를 측정한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pH는 5.5로 나타났으며, 석류 분말 1~3% 첨가구의 pH는 4.6~4.9로 3% 첨가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석류 분말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Kim 등19)은 제빵시 반죽의 발효 속도와 가스 보유력은 pH의 영향을 받으며, pH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cancer society. Cancer fats and figures, pp.12-17. 1989 

  2. Cooper, GM. Elements of human cancer. Jones and Bantlett Pubilishers. Inc. Boston. 1992 

  3. Wynder, EL and Gori, GB. Contribution of environment to cancer medicine. J. Nat L. Cancer Inst. 58:826-832. 1997 

  4. Wakabayashi, K, Nagao, M, Esumi, H and Sugimura, T. Food derived mutagens and carcinogens. Cancer Res. 52:2092-2096. 1992 

  5. Goodman, GH, Yen, YP, Cox, TC and Crownly, J. Effect of verapamilon in vitro cytoxicin and vinblastine in human tumor cell. Cancer Res. 47:2295-2311. 1987 

  6. Jeong, JW and Park, KJ.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Takju powder. Kor. J. Food Sci. Technol. 38: 52-58 

  7. Jaobsber, FR, Worman, SL and Daniels, NWR. The effect of datem emulsifier lipid binding in wheat flour doughs. J. Sci. Food Agriculture. 27:1064-1070. 1976 

  8. Lee, HS, Park, JR and Chun, SS. Effects of pine pollen powder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prepared with Korean domestic wheat flour. Kor. J. Food & Nutr. 14:339-345. 2001 

  9. Lee, YH and Moon, TW.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Kor. J. Food Sci. Technol. 26:228-294. 1994 

  10. Kim, JS. Effect of chitosan addition on the shelf-life of bread. Kor. J. Food & Nutr. 17:388-392. 2004 

  11. Shin, DH and Lee, YW.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rickly pear(Opuntia ficus-indica) powder. Kor. J. Food & Nutr. 18:341-348. 2003 

  12. Hwang, SY, Chio, OK and Lee, HJ. Influence of green tea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read flour and dough rheology of white pan bread. Kor. J. Food & Nutr. 14:34-39. 2001 

  13. Tsen, CC and Hoover, WJ. High-protein bread from wheat flour fortified with full-fat soy flour. Cereal Chemistry. 50:70-76. 1973 

  14.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80 

  15. Prosky, L, Asp, NG, Furda, I, Dervieriers, JW, Schweizer, TF and Harland, BA.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68:677-679. 1987 

  16. Kim, HK and Kim, SK. Wheat and milling industrial. Korea wheat and flour industrial association, pp.184-185. Seoul. Korea. 1997 

  17. AACC.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ry approved Methods,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54- $4^{\circ}$ chemists, St Paul. Mineesota. USA. 1983 

  18. SAS Institute Inc.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03. Sta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988 

  19. Kim, H, Chio, CR and Han, KS.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s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 Soc. Food Sci. Nutr. 36:72-80. 2007 

  20. Lee, JH, Kwak, EJ and Lee, Y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s added with red koji rice sourdough powder. J. Kor. Soc. Food Sci. Nutr. 37:333-341. 2008 

  21. Shin, GM and Park, JY.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the powder of poria cocos wolf. Kor. J. Food Preserv. 15:231-235. 2008 

  22. Kim, HK and Kim, SK. Wheat and milling industrial, pp. 184-185. Korea wheat and flour industrial association, Seoul. Korea. 1997 

  23. Oh, HJ and Kim, CS. Development of yeast leavened pan bread using commercial doenjang(Korean soybean paste). Kor. J. Food Sci Technol. 21:301-306. 2004 

  24. Kang, KC, Baek, SB and Rhee, KS. Effect of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on staling of cakes. Kor. J. Food Sci. Technol. 22:19-25. 1995 

  25. Chung, JY and Kim, CS. Development of buck-wheat bread properties. Kor. J. Soc. Food Sci. 14:140-147. 1998 

  26. Oh, YK and Chang, SK.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dough rheology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J. Kor. Soc. Food Sci. Nutr. 31:749-753. 2002 

  27. Kim, CS.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wheat bran. J. Kor. Soc. Food Sci. Nutr. 27:1125-1131. 1998 

  28. Hwang SY, Chio, OK and Lee, HJ. Influence of green tea powd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read flour and dough rheology of white pan bread. Kor. J. Food & Nutr. 14:34-39. 2001 

  29. Jeung, DS and Jeung, B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black rice flour. Kor. J. Food Sci. Technol. 35: 38-43.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