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rth Korea is one of the most vulnerable countries of the world for drought but still it is difficult to find scientific researches for understanding of the drought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eterological drought severity and classified the drou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북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기상학적 가뭄지수들 중에서 북한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가뭄평가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 내 지역별 가뭄 심도의 평가를 실시하고, 가뭄 우심 지역에 대한 유형화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북한 가뭄 피해에 대한 제한적이고 수동적인 정보 습득 차원을 벗어나 정성적인 가뭄 정보가 아닌 정량적인 가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자연재해에 취약한 북한에서 가뭄에 대비할 수 있는 기반 연구로써 북한지역의 기상학적 요인과 가뭄의 특성을 고려한 가뭄평가를 실시하고 군집분석을 통하여 가뭄지역을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가뭄특성을 살펴보았다.
  • 21개 기상측후소에서 산정된 기간별 강수량 및 가뭄지수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가뭄발생의 위험 정도를 재현기간과 크기로 추정하면 지역별 평가 및 비교가 가능하다(장민원 등, 2003). 본 연구에서는 농업 수리 시설 설계에 사용되는 한발 기준 10년 빈도에 해당하는 값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간별 강수량 및 가뭄지수에 대해서 21개 측후소별로 시계열을 작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 지역에서의 정성적인 가뭄 정보가 아닌 정량적인 가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뭄평가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기상학적 인자만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하천 유량, 관개 시설 또는 수자원 시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북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기상학적 가뭄지수들 중에서 북한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가뭄평가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 내 지역별 가뭄 심도의 평가를 실시하고, 가뭄 우심 지역에 대한 유형화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북한 가뭄 피해에 대한 제한적이고 수동적인 정보 습득 차원을 벗어나 정성적인 가뭄 정보가 아닌 정량적인 가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은 왜 가뭄이 발생하면 치명적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는가? 북한은 전 세계적으로 가뭄에 가장 취약한 국가들 중의 하나로써 수자원 부존량이 많지 않고 관개기반도 열악하기 때문에 가뭄이 발생하면 치명적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북한지역에서 발생했던 1999년과 2001년의 장기가뭄은 농작물 수확량의 감소와 심각한 식량부족을 불러왔고(FAO/WFP, 2001), 우리나라가 북한의 농업과 생산기반에 대한 실태 파악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북한지역 가뭄위험과 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아직도 북한지역 가뭄위험과 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북한의 기상, 수문, 토양, 그리고 통계 등과 같은 자료의 접근이나 품질에 있어서 제한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북한 재해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이 여전히 대외 의존적이고 거시적 수준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가뭄대책을 수립하고 대응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북한 가뭄 발생의 특성과 피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가뭄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Wilhite와 Glantz(1985)는 가뭄을 기상학적 가뭄, 기후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대기학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적 가뭄 등의 6개 범주로 구분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강우량 등의 기상조건을 분석하는 방법에서부터 저수량과 유역 유출량, 그리고 토양수분 등의 수문학적 조건들로 가뭄을 분석하는 방법들까지 가용수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들을 진행하여 왔고 다양한 정보들을 생성하고 농업수리기반 관련 정책과 관리에 반영하고 있다(장민원 등, 2003). 박성우 등(1982)은 한발 기준년 재조정의 연구에서 과우량과 과우일수란 개념을 적용하여 가뭄의 빈도표와 과우량에 따른 빈도별 등우량 일수도를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AO/WFP, 2001, Special Report, FAO/WFP Crop and Food Supply Assessment Mission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 Lee, K.S., Sadeghipour, J., Dracup, J.A., 1986, An approach for frequency analysis of multiyear drought dur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22 (5), pp. 655-662 

  3. McKee, T.B., N.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eprint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January 17-22, Anaheim, pp.179-184 

  4.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Vol.45, U.S. Weather Bureau 

  5. Thornthwaite, C.W., 1948, An approach toward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Geographic Review, Vol.38, pp.55-94 

  6. Wilhite, D.A. and M.H. Glantz.,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10, pp.111-120 

  7. 김상민, 박승우, 1999, 우리나라 주요 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한국농공학회지, 41(5), pp.43-52 

  8. 김현영, 1994, 과우량과 과우일수, 한국관개배수, 1 (2), pp.235-237 

  9. 노형진, 2005, (Excel 및 SPSS를 활용한) 다변량분석 :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10. 류재희, 이동률, 안재현, 윤용남, 2002,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5 (4), pp.397-410 

  11. 박상우, 전병호, 장석환, 2003, 다변량 분석기법에 의한 지점강우의 권역화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6 (5), pp.879-892 

  12. 박기욱, 김진택, 주욱종, 이용직, 2006, 농업가뭄의 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관개배수, 13 (1), pp. 72-81 

  13. 박성우, 안재숙, 이기춘, 1982, 한발기준년 재조정, 농업개발시험연구,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 

  14. 배승종, 정하우, 최진용, 1999, 토양수분 물수지 모형과 GIS를 이용한 가뭄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41 (6), pp.33-43 

  15. 신수현, 2005, 다중시기 정규식생지수(NDVI)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한반도 적용성 분석,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윤용남, 안재현, 이동률, 1997,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0 (4), pp.317-326 

  17. 이주헌, 정상만, 김성준, 이명호, 2006,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I. 정량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 (9), pp.787-800 

  18. 장민원, 정하우, 박기욱, 2003, 가뭄대책 행정지원을 위한 지역논가뭄평가모형 ADEM의 개발, 농촌계획, 9 (2), pp.29-37 

  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북한농업정보 http://www.krei.re.kr/kor/info/infor01_nklist.ph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