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대학생에서 수면의 질과 정서적 요인에 관한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Psychologic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3 no.3 = no.72, 2008년, pp.257 - 267  

강진규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임현대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이유미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신신체질환은 개개인의 서로 다른 성격,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기질적인 요소 등이 함께 반응하여 소화기계, 순환기계, 호흡기계 및 근골격계 등에 수많은 질환을 야기하며, 그 중에 만성통증도 역시 포함한다. 구강안면 영역의 증상으로 내원하는 이유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통증이며 증상에 영향을 주는 기여요인은 생물학적 요인, 행동요인, 환경요인, 사회요인, 정서요인, 인지요인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여요인은 개인의 성격, 인성에 좌우되어 증상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통증에 있어 수면은 하나의 기여요인으로 작용하며, 통증은 수면장애를 가져오거나 악화시키기도 하며, 수면장애 역시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수면의 질의 저하는 정서적 스트레스를 가속화 시킬 수 있는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구강안면 영역에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비교적 정확하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는 수면의 질 평가 및 정신 검사를 필히 시행하여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는 PSQI를 통한 수면의 질 평가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비교 평가하여 수면과 정서적, 심리적 상태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oor sleeper 는 남자가 18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PSQI 총수면 지수는 남자에서 $6.11{\pm}2.38$, 여자에서 $4.67{\pm}2.18$로 나타났다. SCL-90-R 지수는 남녀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oor sleeper에서 신체화(SOM), 강박증(O-C), 대인예민성(I-S), 불안(ANX), 공포불안(PHOB), 정신증(PSY)에서 유의성 있게 높은 평균치를 보였으며 전체 심도지수(GSI), 표출증상합계(PST)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또한 수면의 질에 따른 SCL-90-R의 T-점수는 주관적 수면의 질이 나쁠수록 강박증(O-C), 대인 예민성(I-S)에서, 수면장애가 심할수록 편집증(PAR), 정신증(PSY), 표출증상합계(Positive symptom total, PST)가, 주간수면장애에서는 우울(DEP), 불안(ANX), 적대감(HOS), 공포불안(PHOB), 편집증(PAR), 전체 심도지수(GSI)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균치를 보였다. 이와 같이 수면의 질과 정서적 상태는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구강안면 영역의 만성 통증에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된다. 이에 구강안면통증을 다루는 임상가들은 환자의 수면의 질과 정서적 상태에 대해 적절히 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추후 구강안면통증에 있어 수면과 정서적, 심리적 인성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ntophysical disease causes diseases in digestive, respiratory, circulating systems, including chronic pain, through combined reactions from differ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mental stress and temperamental factors. The most common symptom related to orofacial area is pain and the contrib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psychological factor by comparing the SCL-90-R according to different sleep quality. In the future, more studies on the influence of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psychological factor on orofacial pain are need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and psychological status through evaluating the SCL-90-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leep evaluated by the PSQI questionnair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inning WD, Evans RG.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L-90 in psychiatric inpatients. J Pers Assess 1977;41:304-310 

  2. Bertoft G. Screening of medical and dental history of patients with chronic orofacial pain and discomfort using a questionnaire. Swed Dent J 1996;20:95-106 

  3. Kim C, Chung JW. Comparison of Psychological Profiles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using SCL-90-R. Korean J Oral Med 2003;28:347-355 

  4. Lee SR, Kim HS, Kim YK.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al Malodor Patients. Korean J Oral Med 2001;26:225-241 

  5. Kim JY, Han KS, Jung DY, Lee SC. Predicting Factors for the Treatment Outcome of Intracapsular Pain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Korean J Oral Med 2002;27:77-87 

  6. Rodehn M. The importance of sleep. Nurs Stand 1999;13:44-47 

  7. Brown FC, Buboltz WC, Soper B.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leep treatment and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STEPS). J Am Coll Health 2006;54:231-237 

  8. Pilowsky I, Crettenden I, Townley M. Sleep disturbance in pain clinic patients. Pain 1985;23:27-33 

  9. Atkinson JH, Ancoli-Israel S, Slater MA, Garfin SR, Gillin JC. Subjective sleep disturbance in chronic back pain. Clin J Pain 1988;4:225-232 

  10. Morin CM, Gibson D, Wade J. Self-reported sleep and mood disturbance in chronic pain patients. Clin J Pain 1998;14:311-314 

  11. Carney CE, Edinger JD, Meyer B, Lindman L, Istre T. Daily activities and sleep quality in college students. Chronobiol Int 2006;23:623-637 

  12.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13. Derogatis LR, Rickels K, Rock AF. The SCL-90 and the MMPI: a step in the validation of a new self-report scale. Br J Psychiatry 1976;128:280-289 

  14. Schmitz N, Kruse J, Heckrath C, Alberti L, Tress W. Diagnosing mental disorders in primary care: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 and the Symptom Check List (SCL-90-R) as screening instruments.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1999;34:360-366 

  15. Lee YO, Lee SW. A study of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using SCL-90-R. J Craniomandibular Disorders : Facial & Oral Pain 1989;3:24-34 

  16. Wexler GB, Steed PA. Psychological factors and temporomandibular outcomes. Cranio 1998;16:72-77 

  17. Rojo L, Silvestre FJ, Bagan JV, De Vicente T. Prevalence of psychopathology in burning mouth syndrome. A comparative study among patients with and without psychiatric disorders and control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4;78:312-316 

  18. Jang YS, Tae IH, Ko MY, Ahn YW. Psychological Analysis of BMS Patients through the SCL-90-R. Korean J Oral Med 2008;33:49-57 

  19. Eli I, Baht R, Littner MM, Kleinhauz M. Detection of psychopathologic trends in glossodynia patients. Psychosom Med 1994;56:389-394 

  20. Kleinhauz M, Eli I, Baht R, Shamay D. Correlates of success and failure in behavior therapy for dental fear. J Dent Res 1992;71:1832-1835 

  21. Son I, Ko MY. A study on personality traits of the dental outpatients through SCL-90-R. Korean J Oral Med 1995;20:335-345 

  22. Aartman IH, de Jongh A, Makkes PC, Hoogstraten J. Treatment modalities in a dental fear clinic and the relation with general psychopathology and oral health variables. Br Dent J 1999;186:467-471 

  23. Tsai LL, Li SP. Sleep patterns in college students: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J Psychosom Res 2004;56:231-237 

  24. Lindberg E, Janson C, Gislason T, Bjornsson E, Hetta J, Boman G. Sleep disturbances in a young adult population: can gender differences be explained by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tatus? Sleep 1997;20:381-387 

  25. Suen LK, Ellis Hon LK, Tam WW. Association between sleep behavior and sleep-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Chronobiol Int 2008;25:760-7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