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풍건조 황색 양파분말과 자색 양파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Hot-Air Dried Yellow and Red Onion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3, 2008년, pp.342 - 347  

이정옥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성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종진 (충남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색 양파와 자색 양파의 소비 촉진을 위한 양파분말 가공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열풍건조 양파분말을 제조하여 물리적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황색 양파분말 및 자색 양파분말을 1, 3, 5, 10% 첨가한 양파쿠키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반성분 측정 결과 황색 양파분말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이 자색 양파분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말의 색도는 양파 고유색 때문에 황색 양파분말에서 L값, b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색 양파 분말은 a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갈변도 측정결과에서는 황색 양파분말의 갈변도가 자색 양파분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측정 결과에서는 황색 양파분말의 페놀함량이 자색 양파분말보다 높았고, 총당 함량은 자색 양파분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반죽의 pH는 양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밀도는 대조군에 비해 양파분말 첨가군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성 후 쿠키의 경도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해 양파분말 첨가군이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색 양파분말 첨가군의 경도가 황색 양파분말 첨가군의 경도보다 단단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쿠키의 관능적 특성은 자색 양파분말 3% 첨가군이 양파 냄새, 양파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뒤를 이어 황색 양파분말 5% 첨가군이 좋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열풍건조 황색 양파분말의 경우 5% 첨가군, 열풍건조 자색 양파분말의 경우 3% 첨가군이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cessed food with the addition of onion powder by investiga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ous levels (0, 1, 3, 5 and 10%) of hot-air dried yellow and red onion powder. Moisture (11.59%), crude protein (4.56%), and crude ash contents (3.83%) of yell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풍건조법을 이용하여 황색 양파와 자색 양파분말을 제조한 후 양파분말의 물리적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양파분말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황색 양파분말 및 자색 양파분말을 첨가한 쿠키를 개발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2)Each value is mean±SD (n=20).
  • 2)Each value is mean±SD (n=3).
  • 2)Each value is mean±SD (n=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냉동건조법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또한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건조방법으로는 동결건조와 열풍건조법을 들 수 있다. 냉동건조법은 색, 맛, 조직 등의 변화가 적고 다공성 구조로 남기 때문에 복원성이 우수한 제품을 만들 수 있지만,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고가의 기기가 필요하며 건조시간이 또한 길어 에너지 소비가 많고 생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는 반면 열풍건조법은 냉동건조법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며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3).
양파에는 생리 활성 및 항산화 작용을 하는 화합물로 무엇을 함유하고 있는가? 양파의 주성분은 glucose, fructose 및 sucrose 등의 당분으로 단맛이 아주 독특하며, 다른 음식물과 곁들여 먹으면 비타민 B1의 흡수가 촉진되어 신진대사가 높아지고 피로 회복이 빨라 스테미너가 증강된다(3). 또한 quercetin 관련 물질과 allyl propyl disulfide, allyl sulfide, S-methylcystein-sulphoxide와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5), 중금속 제거(6), 혈중콜레스테롤 감소(7), 고혈압 및 당뇨병의 성인병 예방(8,9), 알레르기 반응억제(10)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파는 줄기의 색깔에 따라 흰 양파(white onion), 노란 양파(yellow onion) 및 붉은 양파(red onion)로 구분되고 맛에 따라서 단 양파와 매운 양파로 구분하는데(1), 향신료와 조미료로 그 용도가 다양하고 소비량이 증가하는데 반해 저장성이 극히 불량하여 그 대부분이 생산시기에 맞추어 애용되거나 거의 가공되지 않은 상태로 홍수 출하되어 가격하락과 아울러 자원낭비도 초래하고 있다(11).
양파는 줄기의 색깔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또한 quercetin 관련 물질과 allyl propyl disulfide, allyl sulfide, S-methylcystein-sulphoxide와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5), 중금속 제거(6), 혈중콜레스테롤 감소(7), 고혈압 및 당뇨병의 성인병 예방(8,9), 알레르기 반응억제(10)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파는 줄기의 색깔에 따라 흰 양파(white onion), 노란 양파(yellow onion) 및 붉은 양파(red onion)로 구분되고 맛에 따라서 단 양파와 매운 양파로 구분하는데(1), 향신료와 조미료로 그 용도가 다양하고 소비량이 증가하는데 반해 저장성이 극히 불량하여 그 대부분이 생산시기에 맞추어 애용되거나 거의 가공되지 않은 상태로 홍수 출하되어 가격하락과 아울러 자원낭비도 초래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ng HA, Cho JS. 1998. Antioxidant effects on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 peel and onion flesh. J Korean Dietetic Assoc 4: 14-19 

  2.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dded wheat flour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36-441 

  3. Shin JS, Lee OS, Jeong YJ. 2002.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onion vinegars by two stages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9-1084 

  4. Lee YK, Park YK. 1996. Indentification of isorhamnetin-4'-glucoside in onions. J Agric Food Chem 44: 34-36 

  5. Lee YK, Lee HS. 1990. Effects of onion and ginger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Food Sci Nutr 19: 321-329 

  6. Lee MK, Chung YH, Nam HK. 1999. Studies on the heavy metals elimination and antioxidation of the onion ethanolic extract. J Korean Oil Chem Soc 16: 143-146 

  7. Bakhsh R, Kgan S. 1991. Influence of onion (Allium cepa) and chaunga (Caraluma tubercula) on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s, total lipides in human subject. Sarhad J Agric 6: 425-431 

  8. Jain RC, Vyas CR, Mahatma OP. 1973. Hypoglycaemic action of onion and garlic. Lancet 2: 1491 

  9. Morimitsu Y, Kawakishi S. 1990. Inhibitors of platelet aggregation form onion. Phytochemistry Japan 29: 3435-3440 

  10. Middleton EJ, Drzeqiecki G, Krishnarao D. 1981. Quercetin an inhibitor of antigen-induced human basophil histamine release. J Immunol 127: 546-550 

  11. Jeong CH, Kim JH, Shim KH. 2006.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08-712 

  12.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42-347 

  13. Kim JM, Lee YC, Kim KO. 2003. Effects of convection oven dehydration condition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93-398 

  14.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added with oni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24-1128 

  15. Chun SS. 2003. Development of functional sponge cakes with onion powder. J Korean Soc Nutr 32: 62-66 

  16. Kim JG, Shim J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noodle added with onion powder.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269-274 

  17. Kang NS, Kim JH, Kim J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mixed with freeze dried oni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4: 47-53 

  18. Kang NS, Kim JH, Kim JK. 2007. Modific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powder by hot-air, vacuum and freeze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4: 61-66 

  1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hgton, DC 

  20. AACC. 1995.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9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1. Kim DH. 1995. Food Chemistry. Tamgudang Press, Seoul. p 401-417 

  22. Miller RA, Hoseney RC, Moris CF. 1997. Effect of formula water content on the spread of sugar-snap cookies. Cereal Chem 74: 669-671 

  23. Doescher LC, Hoseney RC, Millken GA, Rubenthaler GI. 1987. Effect of sugars and flours on cookies spread evaluated by time-lapse photography. Cereal Chem 64: 163-167 

  24. Finney KF, Morris VH, Yamazaki WT. 1950. Micro versus macro cookie baking procedures for evaluating the cookie quality of wheat varieties. Cereal Chem 27: 4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